View : 771 Download: 0

도시농업을 통한 여성들의 일과 돌봄의 공동체 사례 연구

Title
도시농업을 통한 여성들의 일과 돌봄의 공동체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Women’s Community of Work and Care through Urban Agriculture : Focusing on Keumchon Agriculture Network and Healthy Farmers Social C0-op in Keumchon-gu, Seoul
Authors
강지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허라금
Abstract
The study describes and analyzes the outcome of a case study on urban agriculture and food projects run by women in Keumchon-gu, Seoul (the projects include community farming, food project, school gardening) to show how urban farming by women contributes to the welfare of local communities and to establishing a basis for a sustainable and autonomous local food system. While looking at the achievements and significance as well as the limitations, the study will discuss how such women-initiated community urban agriculture and food system movement has a potential to empower women, address the problems of community care, and ultimately play a role in mitigating ecological degradation and climate change Urban agriculture in Korea has rapidly grown since the mid-2000s due to an increased interest and demand for safe food. While a lot of women have been participating in urban farming and related movement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what motivates these women to do so, what role they are playing in the community by doing so, or what are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urban agriculture. This study was conceived as a response to redress the shortage and shed some light on the phenomenon. Two organizations were studied for this purpose; Keumchon Urban Agriculture Network(KUAN) and Healthy Farmers Social Co-Op(HFSC), an offshoot of KUFN. Starting in 2010 as a training center for green farming instructors- a job creation project for women, KUFN, along with HFSC, developed into a urban agriculture organization that gradually encompasses various urban agriculture and food projects and community activities such as care. The study looks at how the movement has helped to create jobs for women, to empower and enhance autonomy for them, resulting in an improved welfare for the whole community in Keumchon-gu. It also analyzes the process where their farming project expanded to include food project with the ultimate goal of creating a healthy and circular food system for the community. It also describes the process where these women came to incorporate community care into their farming and food projects as they realized that for women it is hard to separate work from care and the burden of care can be better shared by community with stronger sense of needs and goals. The content of study consists of four parts. First, the women in Keumchon started their work as a training center for eco-farming instructors, but they expanded their activities to creating and running community garden, securing spaces where there were not enough plots, and utilizing school gardens. In the process, the activists met and worked with local women, and the increased intera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m led to a creation of network which in turn strengthened the community as whole. In a modern urban environment where community ties are weak, an urban farming project offers an alternative where community members meet and solve its problems together, as shown by the example of keumchon-gu women who have learned to work together to share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safe food as well as to take care of their community. Second part concerns the process where the farming project came to pay attention to care of the community. As the women activists shifted their focus from training eco-farming instructors to farming some rented weekend farms in Keumchon-gu, they got to meet various members of the community. What became clear to them was how these residents were in need of help in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but were not getting much assistance and thus feeling isolated. The women activists therefore began to be involved in community care. In doing so, they worked with local residents to secure empty plots for farming and turned the space for ‘open communication for work and leisure for the community.’ For many of those involved, this resulted in a realization of the power of working together in solving common problems and making meaningful progress for the community. Third, Healthy Farmers Social Co-Op(HFSC) became separated from Kuemchon Urban Agriculture Network and extended its activities from just urban farming to food project. In this era of globalized food system and climate crisis, food is linked to a number of complex issues in food economics and politics. Therefore food issue should not be viewed in isolation but by taking into a whole cycle of food system encompassing production, transportation, distribution to waste disposal. Women farmers of Keumchon aim to establish a circular local food system that runs a sustainable cycle from producing food at local farm, to running farmer’s market for destribution and common kitchen for consumption, side dish cafe or children’s cafeteria, and finally to decomposing the waste to make natural fertilizer. The success of the process requires vitalizing and strengthening communal cooperation. In this era of climate crisis and globalized food system, community based food system is not just about securing safe food but is a first step in a path toward creating a sustainable society. In this regard, urban farms are not merely space for growing food but a starting point for creating local food system. In this respect, the project at Keumchn is meaningful in that it teaches us a lot about how to solve the food problem we are facing today, in what direction a urban agriculture movement can follow, and what means to employ to vitalize communities to that goal. Fourth, the two urban agriculture organizations are based on the work of women, who work the plots, run eco-farming instructor training classes, secure farming plots, run a social Co-op and farmers market, and operate side dish cafe and children’s cafeteria. The purpose of their work is not to gain profits but to meet the needs of their community. Therefore their work is alternative, local economy movement, or rather a regional circulation economy with a focus on ethics of caring for each other and creating sustainable living together. Fifth, urban agriculture communities aim to establish autonomous economic basis which promote sustainable economic activities and cooperative community care as a combined process. In the case of the women in this study, the women activists didn’t intentionally expand from need for their children to the social care in the area. Rather, the local women came to a common realization on the importance and values of community care through a lot of interactions with local people, which proves that women do not separate work and care, but integrate them. Of course these activities are yet to be firmly established as part of local economy and community life, but their achievement is significant in the movement of urban agriculture, local food system and care. It also showcases a potential of the movement as a starting point for sustainable and eco-friendly cities, and community economy based on ethics of care. The women involved in the movement are playing a leading role in steering the community to a eco-friendly, sustainable, and community-based society. In this respect, the women activists in Keumchon are at the front line of promoting alternative social and economic system through women’s initiatives. They bring out changes in communities, find and implement solutions for environmental challenges. In conclusion, the projects rooted in daily life and community needs can play a role in reversing the trend of globalization, strengthening localization, creating autonomous circular economy and restoration of community ties, and enhancing the status of women in communities. ;이 연구는 금천구에 있는 여성들의 도시농업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여성들이 도시텃밭과 먹거리, 학교텃밭 등 도시농업을 통해 여성들의 도시농업공동체가 어떻게 지역공동체에 기여하고 있으며 지역먹거리체계를 구축해 가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여성들의 도시농업공동체의 의미와 의의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여성들의 도시농업 활동의 성과와 한계는 무엇이며 어떠한 여성주의적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고 기후위기, 생태적 위기, 돌봄의 위기시대에 이러한 여성들의 도시농업 활동이 가지고 있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요구와 다양한 관심 속에 도시농업은 급성장하였다. 이러한 도시농업에 많은 여성들이 참여하고 있고 도시농업활동가로 일하고 있지만 여성들이 왜 도시농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여성과 도시농업의 관계에 대한 논의와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금천구에서 2010년 여성들이 중심이 되어 생태텃밭강사라는 일자리사업으로부터 출발하여 도시농업단체를 결성하고 다양한 도시농업활동과 공동체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두 도시농업공동체, 금천도시농업네트워크와 건강한농부사회적협동조합에 주목하였다. 여성들이 도시농업을 통해 여성들의 일자리를 만들어 여성의 자립과 주도성을 추구하면서 어떻게 지역공동체에 기여하는지, 도시농업이 어떻게 먹거리사업으로 확장되어가며 지역에 건강하고 순환적인 먹거리체계를 구축해 가는지, 여성들의 도시농업공동체가 어떤 과정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돌봄 사업을 펼치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금천지역 여성들은 생태텃밭강사라는 여성일자리로 시작하여 도시농업단체를 설립하고 지역에서 도시농업운동을 전개하여 공동체텃밭을 운영하고 텃밭이 부족한 지역에 텃밭조성사업을 벌여나가며 학교텃밭을 정착시켜나간다. 이러한 도시텃밭과 다양한 도시농업활동은 지역 주민들이 함께 만들어가고 농사짓는 과정을 통해 주민들 간의 만남과 네트워크가 이루어지고 공동체를 조직하고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공동체가 와해된 현대 도시에서 여성들이 도시텃밭을 통해 지역공동체의 형성과 지역 돌봄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둘째, 금천지역의 여성도시농부들이 지역에서 돌봄에 주목하게 된 과정을 살펴보면, 단체결성 초기에는 생태텃밭강사활동에 주력하다가 금천구의 주말농장을 위탁운영하면서 지역의 다양한 주민들을 만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현대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립과 단절, 돌봄의 위기를 깨닫고 지역에서의 돌봄의 필요성을 느껴 여성들의 도시농업공동체가 돌봄 책임을 공유하게 된다. 또한 이미 만들어진 주말농장이 아니라 빈 땅에서 주민들과 함께 ‘마을의 열린 소통공간, 일과 쉼의 공간으로서의 공동체텃밭’을 일군 경험은 공동체적 실천의 역동적 힘을 경험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금천도시농업네트워크에서 분리해 텃밭조성사업을 해온 건강한농부협동조합은 도시농업에서 먹거리사업으로 확장해 나간다. 초국적 농식품체제와 기후위기 시대 먹거리는 먹거리를 둘러싼 정치, 경제, 환경 등 다양한 문제가 결합된 것으로, 단순히 식량 생산의 측면에서만 보지 않고 생산, 유통, 분배, 폐기의 전 과정을 포함하는 먹거리시스템으로 다룬다. 여성도시농부들은 텃밭에서의 생산, 유통의 직거래 농민시장, 소비 또는 분배와 관련한 공유부엌, 반찬카페, 어린이식당, 폐기의 음식물쓰레기퇴비화로 지역먹거리 순환체계를 연결해 가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지역공동체의 활성화로 연결된다. 기후위기 시대, 초국적 먹거리시스템 하에서 지역에 기반한 지역먹거리체계는 생태적인 것이며,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다. 우리 사회가 생태적인 사회로 나아가는데 있어서 도시농업이 텃밭이라는 도시에서의 생태적 공간일 뿐만 아니라 지역먹거리체계의 출발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은 기후위기시대 먹거리문제, 도시농업운동의 방향, 공동체의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여러 시사점을 남기고 있다. 넷째, 두 도시농업단체는 공동체텃밭의 운영, 텃밭에서의 먹거리의 생산, 생태텃밭강사 활동, 텃밭조성사업, 사회적협동조합, 직거래농부시장의 운영, 반찬카페와 어린이식당 등 여성들의 일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그들의 일이 시장적 판매와 이익을 목적으로 한다기보다는 지역공동체의 필요에 기반한 대안적이며 공동체적인 경제라 할 수 있다. 그들의 경제는 지역에 기반한 생태적이며 돌봄의 윤리를 중시하는 공동체경제이며 지역순환경제이다. 다섯째, 여성들의 도시농업공동체는 여성들이 스스로의 경제적 기반을 만들어가면서 그에 기반해 지역공동체활동과 지역 돌봄의 지속가능성을 가져가려고 하고 일과 지역공동체, 돌봄을 통합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여성들은 가정 내 돌봄이나 아이들의 돌봄 문제를 지역으로 확장해 간다기보다는 여성들이 활동과정에서 지역을 만나고 주민을 만나는 과정에서 사회적 돌봄의 윤리를 여성공동체가 공유하는 과정과 실천의 경험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여성들이 자신들의 일과 돌봄을 통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일련의 이러한 활동들이 경제적으로 안정되고 지역에 단단히 뿌리내리고 안정적 단계에 오른 것은 아니나 그간의 활동은 지역에 도시농업과 먹거리, 돌봄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도시농업이 안전한 먹거리, 여가를 넘어 기후위기, 전 지구적 생태위기, 돌봄의 위기시대에 자급적이고 생태적인 지속가능한 도시, 돌봄의 공동체경제로 나아가는 데 있어 지역에서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여성들은 지역 사회의 리더로서 도시농업과 먹거리를 통해 생태적이고 지속가능한 사회, 공동체사회로 전환해 가는데 지역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여성활동가들은 여성들의 자립과 주도성을 강화하고 여성들의 생활과 삶에 기반해 대안을 만들고 지역 사회의 변화를 만들어 내고, 위기에 처해있는 지구 환경의 문제를 삶의 현장에서 대안을 만들고 변화를 이끌고 있다. 일상의 삶과 지역의 필요에 기반하여 대안을 모색하는 여성들의 활동은 세계화에서 지역화로, 지역을 중심으로 한 자급적 순환경제로의 전환과 지역공동체의 회복에서 우리사회의 주요한 주체이며, 이러한 점에서 지역에서의 여성의 중요성을 제고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