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대학생의 물질주의, 생애목표 유형에 따른 그릿, 삶의 의미, 행복감의 차이

Title
대학생의 물질주의, 생애목표 유형에 따른 그릿, 삶의 의미, 행복감의 차이
Other Titles
College Students’Grit, Meaning in Life, and Happiness Depending on Pursuit of Materialistic Values and Life Goals : Application of Latent Profile Analysis
Authors
한혜원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발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안녕감 실태에 주목하여,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치와 목표 특성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인이 행복하지 않은 이유로 연령과 경제활동 여부를 떠나 한국 사회에 확산되어 있는 물질주의 가치가 문제시된 바, 본 연구는 개인의 물질주의 및 생애목표 추구 양상에 따라 심리적 적응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성인진입기에 해당하는 전국의 만 18-25세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369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Wald χ2 검증(DU3STEP)을 이용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통해 물질주의 가치와 생애목표 차원에 따른 프로파일 유형을 파악한 뒤,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심리적 적응을 의미하는 그릿, 삶의 의미, 행복감에서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추구하는 물질주의 가치, 생애목표 차원의 하위요인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유형을 살펴본 결과, ‘반(反)물질목표형’, ‘물질중시-목표지향형’, ‘소비갈망-목표결여형’, ‘성공추구-목표지향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전반적으로 생애목표 점수는 물질주의 점수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생애목표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경쟁을 통해 획득되는 성취지향목표와 개인적 삶이나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안녕감을 높이고자 하는 삶지향목표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반(反)물질목표형’은 물질주의가 전반적으로 낮으나 생애목표 중 삶지향목표 추구가 특히 높게 나타났다. ‘물질중시-목표지향형’은 전반적인 물질주의 추구가 네 집단 중 가장 높았으며 두 생애목표 역시 높은 수준이었다. ‘소비갈망-목표결여형’은 물질주의가 평균 수준인 가운데 그 중 소비갈망 물질주의가 높은 한편, 생애목표 추구는 네 집단 중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성공추구-목표지향형’은 물질주의가 평균이면서 그 중 높은 성공지향성과 더불어 생애목표 추구 동기 또한 네 집단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심리적 적응 수준을 살펴본 결과, 프로파일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반(反)물질목표형’과 ‘성공추구-목표지향형’은 그릿, 삶의 의미, 행복감에서 가장 높은 심리적 적응을 나타냈다. 또한‘물질중시-목표지향형’은 삶의 의미 중 의미추구에서‘반(反)물질목표형’이나 ‘성공추구-목표지향형’과 유사한 수준을 이루었으나, 두 집단에 비해 그릿, 삶의 의미 중 의미발견, 행복감에서 보다 낮은 수준의 심리적 적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소비갈망-목표결여형’은 심리적 적응을 뜻하는 모든 지표들이 네 집단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개인이 추구하는 물질주의 가치와 생애목표 특성에 따라 심리적 적응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물질주의 및 생애목표의 차원을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개인이 물질주의를 추구하는 목적과 그 정도, 그리고 생애목표와 조합되는 양상에 따라 심리적 적응에 차별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성인기로 접어든 대학생들이 건강하고 적응적인 한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하는 데 있어 바람직한 가치 및 목표추구 특성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College students in emerging adulthood begin to actively search for which values and goals to pursue in life. This research examined college students’psychological adjustment depending on their value and goal system. Giving attention to prevalent materialism which is related to mental health and well-being issues in Korea, this study identified comprehensive patterns of materialistic values and life goals pursuit that can influence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adjustment. Grit, meaning in life, and happiness were assessed as the indice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Self-reported data of 369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Mplus 8.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draw latent profiles of materialism and life goals dimensions. The overall score of life goals was lower than materialism score. Also, life goals were divided into achievement goal(fame, wealth, personal growth) and personal life goal(family, interpersonal relationship, leisure). Results from the analysis provided four distinct profiles. Specifically, the first group(‘non-materialistic type’) had the lowest score in overall materialism, while showing particularly high pursuit of personal life goal. The second group(‘materialistic/goal-oriented type’) pursued materialism to the highest level among four groups and showed high scores for both achievement and personal life goals. The third group(‘consumption-desiring/goal-deficient type’) showed the average level of materialism with relatively high score in happiness dimension, while the pursuit of both life goals was the lowest among four groups. The fourth group(‘success-seeking/goal-oriented type’) also showed the average level of materialism with high score in success dimension, and the scores of both life goals were the highest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adjustment between four profiles. To elaborate, ‘non-materialistic type’ and ‘success-seeking/goal-oriented type’were the most psychologically adaptive groups, having the highest scores of grit, meaning in life, and happiness. Compared to ‘non-materialistic type’ and ‘success-seeking/goal-oriented type’, ‘materialistic/goal-oriented type’ showed the similar level of searching for meaning. However, the group showed lower levels in other psychological indices. Finally, ‘consumption-desiring/goal-deficient type’was the least psychologically adaptive group, scoring the lowest for grit, searching for meaning, presence of meaning, and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effective value and goal pursuit for college students to transit into adulthood successfully. Individuals’ psychological adjustment is influenced by why and how much one values materialism, combined with his or her life goals pursuit. Furth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