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3 Download: 0

손소희 소설의 서발턴 여성 재현 연구

Title
손소희 소설의 서발턴 여성 재현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Subaltern Women in Son So-hee’s Novels
Authors
이지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연남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통시적인 관점에서 손소희의 소설에 접근하여, ‘서발턴’으로서의 여성들이 소설 속에 재현되는 양상을 도출하는 것이다. 작가 손소희는 발표된 작품의 수와 한국 문학사에 그가 끼친 영향력을 고려할 때 문학 연구사에서 다소 소외되어 온 측면이 있다. 본 연구는 손소희 소설이 수동적인 여성상을 통해 전통으로 회귀하려 한다는 기존의 비판을 해명하고 소설에 잠재된 정치적 가능성을 논구하기 위해 가야트리 스피박의 포스트식민 이론과 서발턴 개념을 분석의 틀로써 참고하였다. 이를 통해 당대의 지배 질서와 ‘교섭’하며 삶을 구성해 나갔던 여성 인물들의 잠재성을 살펴보고, 그들이 보여주는 환원 불가능한 이질성과 특수성이 (불)가능성의 차원에서 재현되는 양상을 제라르 주네트의 서사이론에 입각하여 분석해 보았다. 이는 ‘여성’ 문학을 일관된 속성으로 규정하지 않는 동시에 그 다층적이고 혼종적인 담론이 갖는 정치적인 힘을 발견하기 위함이었다. 본론은 작가 손소희가 지나쳐 온 역사적 맥락과 작품들의 발표 시기를 연결지어 총 3장으로 구성하였다. 우선 Ⅱ장에서는 해방기와 한국전쟁기 발표된 초기 작품들을 대상으로, 국가의 중심에 놓여 있지 않은 여성 인물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끝내 살아남는 모습에 주목하였다. ‘건국’이라는 공적 기획이 결코 포섭할 수 없는 주변의 영역에서 여성들은 그들을 서발턴으로 만들어내는 국민국가의 자기동일적 이데올로기를 ‘생존’으로써 위협한다. 생존에 대한 욕망은 집단주의적 동질성으로 환원할 수 없는 이질성, 한없이 개별적인 삶의 양태들을 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소설에 나타나는 서발턴 여성들의 비균질적인 삶의 가능성으로부터 ‘집합성’의 실마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성적으로 보수화되어 가던 전후 사회의 가부장적 호명체계와 그것을 ‘모방’하려 하는 여성 인물들의 욕망에 주목하였다. 남성 헤게모니 복원을 꾀했던 전후 사회의 담론장은 여성들에 대한 과잉 기표화를 보여주는데, 손소희 소설 속 여성들은 그러한 지배 담론의 호명을 내면화하거나 모방하려 애쓰지만 번번이 실패한다. 본고는 이렇듯 ‘불완전한’ 여성들의 모방이 오히려 이면에 내재된 그들의 욕망과 진정한 목소리의 흔적을 가시화하고 있다는 양가적인 측면에 천착하고자 했다. 그로부터 여성 서술자의 내면 고백이 가부장적 질서가 요구하는 ‘주체화’에 언제나 실패하며, 손소희의 중기 작품들에서 지속되는 여성들의 불안은 그들이 ‘주체’가 되지 못함으로써 역으로 가부장제 내부의 해결되지 않는 초과와 잔여의 지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후기 작품들을 대상으로 ‘근대화’ 프로젝트의 발전적 민족 서사에 균열을 내는 여성 인물들을 다루었다. ‘근대화’된 미래에 복무할 국민 주체를 요구하였던 국가 서사의 동일화 기제는 여성들의 설명 불가능한 혼종성과 마주치며 그 한계지점을 노출한다. 그들은 국가 민족주의와 가부장주의, 반공주의의 수사학으로 결코 투명하게 재현할 수 없는 이질적인 존재들로서 일관된 본질로서의 ‘근대성’이 환상에 불과함을 폭로하고 있었다. 나아가 서술자의 음성을 인물들에게 분산하는 전략을 통해 ‘차이’를 포괄하는 복수(複數)의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서술방식으로부터 서발턴적 역사를 ‘다시-쓰기(re-writing)’하는 소설의 정치적 가능성이 발견됨을 밝히고자 하였다. 위와 같이 손소희 소설의 서발턴 여성 재현 양상을 탐색해보면, 단순히 순응과 복종의 양상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여성들의 이질적이고 특수한 저항성이 발견된다. 손소희는 한국 현대사의 역사적 순간들을 경유하며 지배 구조와 끊임없이 ‘교섭’하는 여성들을 그려내는데, 그것은 억압적 질서 내부에서 ‘여성’으로서의 이질적 삶을 지속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공식 역사와 끊임없이 불일치하는 여성들의 서발터니티는 그들의 담론을 한없이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것으로 만든다. 이러한 비균질적 목소리들의 재현 불가능성을 재현하고자 시도하고 있는 손소희의 작품은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첫째는 한국의 ‘현대’를 구성해 온 자기동일적 기제들에 대하여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손소희 소설은 민족·젠더·계급을 아우르며 산발적으로 출현하는 여성들의 서발터니티를 통해, 우리를 형성하는 정체성의 역사에서 ‘공백’으로 남아 있는 영역을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그러한 공백으로부터 역사를 탈구축해 나가는 작업은 침묵당해 온 서발턴의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이는 하나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둘째는 ‘여성 문학’ 혹은 ‘여성적 글쓰기’에 내재되어 있는 본질주의적 인식에 대한 재고(再考)의 필요성을 상기한다는 점이다. 이는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특수하고 이질적인 목소리들을 순응 혹은 저항이라는 이분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손소희 소설은 역사적 맥락 한가운데 놓인 여성들의 삶을 그려냄으로써 대(對)사회적 정치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천착한 본 연구가 한국 문학사에서 손소희의 소설이 차지할 나름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With an approach to the novels by Son So-hee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women as the ‘Subaltern’ in the novels. Considering the number of the published works and her influence on the Korean literary history, the writer Son So-hee tended to be a little alienated from the literature research. The study referred to the theory of post-colonialism by Gayatri Spivak and a concept of the Subaltern to elucidate the existing criticism that her novels returned to the tradition through passive female images and conduct an in-depth discussion about the political possibilities inherent in the novels. Hence, the research examined the potentials of female characters who lived a life while ‘negotiating’ with the dominant order of those days and analyzed aspects where irreducible heterogeneity and specificity they show are represented from a dimension of (im)possibility based on the narrative theory by Gérard Genette. It intended not to define ‘feminist’ literature with a consistent attribute but to discover the political power of its multi-layered and hybrid discourse. The body of the paper was composed of 3 Chapters, considering the historical contexts Son So-hee past by and publication periods of the works. Firstly, for the early works published in the periods of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ChapterⅡ paid attention to female characters distanced from the center of the nation survive through their own way. In a marginalized area which can never be taken into the public project of ‘founding of a country,’ women threaten the self-identical ideology of the nation state that make them the Subaltern with ‘survival.’ The reason why is that desire for survival is directed toward the heterogeneity which cannot be reduced to the collective homogeneity and toward endlessly individual life styles. As such, it aimed to get a clue to ‘collectivity’ from heterogeneous potentials of life Subaltern women have in the novels. Chapter Ⅲ took notice of the patriarchal calling system in the post-war society that became sexually conservative and desire of female characters who ‘imitated’ it. The arena of post-war discourse pursuing the restoration of male hegemony shows the excessive signifying for women, and females in novels by Son So-hee try to internalize or imitate calling of the dominant discourse but fails all the time. As such, the paper intended to inquire into the ambivalent aspect where ‘imperfect’ copying by women rather visualizes traces of their internal desire and true voice. Based on above, the paper identified that internal confession of a female narrator always fails in ‘subjectivation’ demanded by the patriarchal order and in her mid-term novels continual anxiety of women may be an indicator of excess and residue unsolved in the inside of the patriarchy by their failing in being the ‘subject.’ Chapter Ⅳ dealt with female characters who make rupture into the developmental national narrative of ‘modernization’ project for the latter works from 1960s to 1980s. The identification mechanism of the national narrative demanding the nation subject that is to serve in the ‘modernized’ future faces the inexplicable hybridity of women and exposes its limits. As the heterogeneous beings which cannot be represented transparently by rhetoric of the state nationalism, paternalism and anticommunism, they are exposing ‘modernity’ as the consistent nature is nothing but an illusion. In addition, the paper discovered there are multiple narratives including ‘difference’ through a strategy that distributes voice of the narrator to characters. The study tried to identify that the political possibilities of the novels for ‘re-writing’ of the Subaltern history from such a mode of narration. As shown in above, inquiry into the representation of Subaltern women in novels by Son So-hee shows heterogeneous and specific resistance of women that cannot be explained by aspects of conformity and obedience only. Son So-hee portrayed women who were passing by the historical moments of the Korean modern history and constantly ‘negotiating’ with the ruling structure and it acted as the strength for maintaining the heterogeneous life as a ‘woman’ in the oppressive order. Female Subalternity which is in constant discord with the official history makes their discourse multi-layered and complex. The works of Son So-hee pursue representing the heterogeneous voices which cannot be represented and they have significance in two aspects as follows. Firstly, they raise a basic question to the self-identical mechanism which has organized the ‘modern’ of Korea. They encompass nation ·gender·class and tell us to explore the area that remains as the ‘void’ in the history of our identity through the female Subalternity of women who appear sporadically. The work deconstructing the history from such void may be an opportunity for listening to the voice of Subaltern that has been forced to be silent. Secondly, they remind us of the need to reconsider the essentialistic awareness inherent in ‘feminist literature’ or ‘feminist writing.’ It means specific and heterogeneous voices of women in the works are needed to examine from a new perspective, beyond dichotomy of conformity and resistance. As such, novels by Son So-hee show the politicality toward a society by depicting a life of women in the middle of the historical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d such points above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establishment of status of her novels in the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