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종임-
dc.contributor.author강효실-
dc.creator강효실-
dc.date.accessioned2021-01-25T16:30:43Z-
dc.date.available2021-01-25T16:30:43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37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370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20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창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한국 EFL 학생의 서사 쓰기와 창의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창의 쓰기 활동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수업 모델과 전통적 과정 중심 쓰기 기반의 디지털 영어 수업 모델을 고안하고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의 작문 수업을 진행한 후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전라북도 소재의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2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참여자들은 자발적으로 영어 집중 수업에 참여하였다. 전체 참여자 중에서 10명은 창의 쓰기 활동을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하는 실험 집단에 임의로 배정되었고, 나머지 12명의 학생들은 전통적인 과정 중심 쓰기 활동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참여하도록 통제하였다. 두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총 9주의 연구 기간 동안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위한 작문 수업에 일주일에 두 번씩 60분 동안 참여하였다. 먼저 각기 다른 쓰기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프로젝트가 학습자의 서사 쓰기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영어 서사 쓰기 시험을 개발하여 사전-사후 쓰기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각기 다른 쓰기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프로젝트가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토랜스의 TTCT 창의력 검사지를 통해 두 집단의 창의적 사고 점수 향상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CRL (2013)의 5차원 창의성 모델 (A five-dimensional model of creativity)을 기반으로 자기 평가지를 개발하여 이를 통해 두 집단의 창의적 성향 변화를 분석하였고, 실험 집단의 대표 학생 4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창의 쓰기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가지 쓰기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모두 학습자의 서사 쓰기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의 기반의 쓰기 활동과 전통적 쓰기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모두 동등하게 내용, 구성, 단어 활용 향상에 효과적으로 밝혀졌다. 또한, 창의 쓰기 기반 쓰기 활동이 언어 사용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창의 쓰기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서사 쓰기의 언어 사용 측면 향상에 더욱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둘째, 두 가지 쓰기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모두 학습자의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등 전체적 창의적 사고 향상에 동일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이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지니는 멀티모달리티 (multimodaltidy)와 이로 인한 공감각적 경험 (synesthesia)의 창의성에 대한 효과성을 암시한다. 셋째, 각기 다른 쓰기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학습자의 창의적 성향에 끼지는 영향을 파악해 보았을 때 창의 기반 쓰기 활동이 전통적 쓰기 활동에 비해 창의적 성향에 더욱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 기반 쓰기 활동은 학습자가 어떤 것을 탐구하고, 다양한 해결책을 찾아보고, 목표를 이루는 과정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숙고하는 창의적 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전통적 쓰기 활동은 학습자가 어려운 문제를 쉽게 포기하지 않고 오랜 시간 동안 매달리는 창의적 습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창의적 쓰기에 비해 비교적 과제 복잡성이 낮은 쓰기 활동으로 인해 본질적으로 오랜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꾸준히 노력을 기울일 수 있었던 것으로 보여 진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EFL 환경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창의성 교육의 융합은 시간적 제약과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의 한계 등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유의미한 상황에서 쓰기 활동을 하고,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메시지를 다중 양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이는 곧 쓰기 능력과 창의력 향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 EFL 교수 및 학습 환경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활용은 결코 절대적인 쓰기와 창의력 향상을 위한 결코 절대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한다. 따라서 영어 교사는 학습자의 특성, 학습 목표, 학습 환경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학습 목표에 맞는 적절한 활동을 개발하여 EFL 학습자의 동기 유발 및 흥미 유지를 통해 영어 쓰기와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Accelera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VID-19 has compelled us to appreciate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in the 21st century (Koetsier, 2020). The current state of the global pandemic is calling for the transformation of education to prepare today’s learners for 21st century driven by disruptive technological advances (Soler, 2020). Literacy competence integrating traditional and digital literacies and creativity are among the most essential skills that new generation must learn to thrive 21st century (World Economic Forum, 2015, 2020). Digital storytelling (DST) offers a feasible instructional approach to meet these multiple demands (Godwin-Jones, 2018; Lambert, 2013; Robin, 2008).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ive way of embedding creativity instruction into Korean high school EFL classroom through DST by comparing relative effects of two different writing-based DST instruction types, namely creativity-enhanced DST instruction and traditional DST instruc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reativity-enhanced DST instruction on EFL learners’ narrative writings and creative thinking. Thu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are the effects of creativity-enhanced DST instruction on Korean high school learners’ narrative writing? 2) What are the effects of creativity-enhanced DST instruction on Korean high school learners’ creative thinking? 3) What are the effects of creativity-enhanced DST instruction on Korean high school learners’ creative disposi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2 students from the first grade at a high school, who were assigned to one of the two different groups. Ten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carried out the creativity-enhanced writing activities for digital storytelling, and remaining twelve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engaged in traditional writing activities.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narrative writing test,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TCT), and a creative disposition questionnaire before the treatment. In the first two weeks, students in both groups engaged in the same preparatory lessons for narrative writings. For the rest of five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creativity-enhanced writing activities in DST project, while the control group carried out traditional process-oriented writing activities in DST project. After the treatments, students completed the three tests in the same format as the pre-treatment test. Additionally, representativ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vited to interview ses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both types of DST instruction positively affected learners’ development of narrative writing in terms of idea, organization, and word choice. The creativity-enhanced writing activities had advantageous effect in enhancing language use. Also,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DST instructions were equally conducive to improving creative thinking regarding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However, creativity-enhanced writing activities were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perception on creative habits in terms of inquisitive creative habit of exploring and investigating, imaginative habit of making possibilities, and disciplined creative habit of critical reflection. On the other hand, traditional writing activities were effective in enhancing persistent creative habit of sticking with difficulties. To conclud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benefits of process-oriented DST writing activities in developing writing competence as well as the value of multimodality and synesthesia of DST in facilitating creative thinking. Furthermore, creativity-enhanced writing activities in DST project demonstrated its effectiveness in promoting the aspect of language use in narrative writing and enhancing perception on an inquisitive creative habit of exploring and investigating, imaginative habit of making possibilities, a disciplined habit of critical reflection. Based on the retrieved results of students’ enhanced perception on critical reflection after creative writing-based DST project,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DST may offers a way of bridging L2 writing and crea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reativity instruction can be incorporated into EFL classroom through creative writing-based DST. Further research is strongly encourag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creativity-enhanced DST on creative self-regulation or investigate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for creativity-enhanced D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II. LITERATURE REVIEW 5 A. Theoretical Backgrounds 5 1. Digital Storytelling 5 a. The Concept of Digital Storytelling 5 b. Digital Storytelling and Writing 6 c. Digital Storytelling and Creativity 11 2. Creativity 12 a. Definitions of Creativity 12 b.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Disposition 17 c. Creativity Teaching Techniques 19 B. Previous Studies 21 1. Digital Storytelling and Writing 21 2. Digital Storytelling and Creativity 24 C. Place of the Current Study 27 III. METHODOLOGY 29 A. Research Question 29 B. Overall Design 29 C. Participants 30 D. Procedures 30 E. Instructional Design 31 F. Materials 33 1. In-class Writing Task Sheets 36 2. Pre- and Post-treatment Tests 39 3. Interview 41 4. Instruments 41 G. Data Analysis 43 1. Scoring of Narrative Writing Tests 44 2. Scoring of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45 3. Analysis of Creative Disposition Questionnaire 46 IV. RESULTS AND DISCUSSION 47 A. Effects of Creativity-enhanced DST Instruction on Narrative Writing 47 B. Effects of Creativity-enhanced DST Instruction on Creative Thinking 69 C. Effects of Creativity-enhanced DST Instruction on Creative Disposition 75 V. CONCLUSION 85 A. Main Findings 85 B.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88 REFERENCE 91 APPENDICES 99 A. In-class Writing Task Sheets for Creativity-enhanced Writing Activity 99 1. Five Thinking Hats 99 2. Deconstruct & Reconstruct 100 3. Story Map 101 B. In-class Writing Task Sheets for Traditional Writing Activity 102 1. Reading Circle 102 2. Comprehension Check 103 3. Plot Diagram 104 C. Creative Disposition Questionnaire 105 D. Personal Narrative Writing Scoring Rubric 106 국문초록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20636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Effects of Creativity-enhanced Digital Storytelling Instruction on Korean High School Learners’ Narrative Writing and Creativity-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창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교수∙학습법이 한국 고등학교 학생의 서사 쓰기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dc.creator.othernameKang, Hyo-Sil-
dc.format.pagevi,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