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5 Download: 0

The Active and Passive Voice in the Methods Section of Applied Linguistics Research Articles

Title
The Active and Passive Voice in the Methods Section of Applied Linguistics Research Articles
Other Titles
응용언어학 분야 연구 논문의 연구방법 장에서의 능동태와 수동태 사용
Authors
심소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근
Abstract
The methods section of a research article represents validity and rigor of the overall research design by describing, elaborating, and justifying the choices and steps made in the research (Paltridge & Starfield, 2020). While it is more or less clear on what to include in the section since it is usually after the research is completed when researchers start writing the section, the question of how to present those content can be a concern for many. The section however has garnered the least attention in the field of discourse analysis among other main sections of a research article (Cotos, Huffman, & Link, 2017), and research on the linguistic aspects of the methods section is still in its primitive phase. One linguistic issue with regard to the methods section is the use of the active and passive voice as it has been shown that the passive voice dominates the section more than any other sections (Amdur, Kirwan, & Morris, 2010; Millar, Budgell, & Fuller, 2013; Riley, 1991; Rodman, 1994). Passive voice has been a preferred choice by researchers as well as in writing guidelines and style manuals because of its formal and impersonal nature that could help the researchers keep a fair amount of distance from the research. The recent trend in scientific discourse communities however reflects a shift in the use of voice as researchers increasingly tend to use the active voice more frequently in research article, whereas the use of passive voice is slowly in decrease (Leong, 2020; Seoane, 2013). In line with this trend, writing guidelines and style manuals are also beginning to encourage the researchers to use the active voice in their writing (Day, 1998; Millar et al., 2013). The advice however is largely ambiguous or imprecise in their directions. There is thus a clear need in elucidating when and how the authors use the active and passive voice in the methods section, which would provide researchers with a clear guideline on the use of voice in describing the methods and their constructions of an effective methods section. The present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the use of active and passive voice in the methods section of applied linguistics research article by conducting both frequency-based analysis and functional analysis. With 24 articles collected from the three international applied linguistics journals, the overall frequency of voice use in the corpus was first examined. Verb types that frequently occurred in each voice categories were also analyzed to see which verb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voice. Finally, the study conducted functional analyses by generating patterns of voice that were observed in the corpus and exploring possible motivations that led to those patterns.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tive voice was used slightly more often than the passive voice, which is in line with the current trend. The corpus also exhibited dominance of the short passives compared to the long passives and a balanced distribution of the three semantic agent types (i.e. authorial, non-authorial, and inanimate agents) in the active voice. The analyses of verbal association revealed some patterns of verb use with regard to voice. Specifically, verbs that denote researchers’ actions taken towards the participants (e.g. ask, give, presen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assive voice rather than the active voice. In addition, for verbs that show researchers’ solitary actions without participants, such as data collection or data analysis, researchers showed a balanced distribution of the active and passive voice. From these patterns, it could be inferred that different functions within the methods section showed varying distributions of voice. Functional analyses on the use of voice further revealed some noteworthy patterns with regard to the use of voice. Five patterns of voice use were derived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three rhetorical acts of describing the participants or treatments, describing the instruments or analytic methods, and justifying the research design. The frequency of these five patterns indicated that all of the patterns were observed frequently in the current corpus. The five patterns of voice all showed different aspects of the methods section. In describing the participants or treatments, the researchers tended to use the passive voice when the discoursal focus was on them and the active voice when it was on the participants. In describing the instruments or analytic methods, the researchers used the active voice for introducing or stating the main step they had taken and the passive voice for more specific and predictable steps or elaboration. Finally, in justifying the design, the researchers showed three specific patterns of voice pertaining to the commonly used rhetorical strategies in the methods section. In referring to previous literature to ensure validity of their own decisions, researchers used the passive voice for general trends and the active voice for findings from a particular study. The researchers also tended to intervene in the text by using the active voice when they were explicitly justifying their procedural choice and acknowledging the limitations of their design. In sum,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d a nuanced look at applied linguistics researchers’ use of voice in the methods section. While previous studies have mostly focused on the quantitative aspect, this study also delved into the verbal associations and functional patterns that arise in the discourse. The findings are hoped to serve as the starting point of further discussions on the use of voice in academic writing and development of clear guidelines as to when and how academic writers should use the active and passive voice.;연구 논문 장르에서 연구 방법 장은 연구가 체계적으로 설계되었고 진행되었는지 기술하는 장이다. 연구 설계와 진행의 모든 단계를 기술함으로써 해당 연구가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연구임을 입증하는 것이 본 장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영어로 된 학술 연구 논문 전반의 언어적 측면에 대한 연구들의 결과에 따르면 연구자들은 다른 장에 비해 연구 방법 장에서 수동태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Millar et al., 2013; Riley, 1991; Rodman, 1994). 이는 능동태와 비교했을 때 수동태가 가지고 있는 형식적이고 객관적인 특징이 연구 논문, 특히 연구 방법 장이 가지는 기술 형식의 특성과 잘 맞는 이유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많은 연구자들이 수동태의 사용은 줄이고, 능동태를 보다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므로 (Leong, 2020; Seoane, 2013), 연구자들이 연구 논문에서, 특히 수동태가 기본형으로 사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 장에서의 태 사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총 24 편의 응용언어학 분야 국제 학술지 논문의 연구 방법 장을 분석하여 능동태와 수동태의 양적인 빈도와 분포를 살펴보고, 자주 결합되는 동사들의 패턴, 그리고 담화 내에서의 태 사용 패턴을 추출함으로써 연구자들이 영어 논문에서 어떠한 태를 어떤 상황에서, 그리고 어떤 동기로 사용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본 연구의 코퍼스에서는 수동태보다 능동태가 조금 더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능동태가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최근의 동향과 일치한다. 또한 수동태의 경우에는 행위자를 드러내지 않는 단형 피동문이 행위자를 드러내는 장형 피동문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능동태의 경우에는 연구자 본인, 본인을 제외한 다른 인물, 그리고 무생물 행위자 (이를 테면 “본 연구”)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사의 사용 분석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에게 행한 활동을 나타내는 동사들은 수동태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고, 연구자 본인들이 독립적으로 행한 활동을 나타내는 동사들은 수동태와 능동태가 골고루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다. 수동태와 능동태의 사용 패턴을 살펴본 기능론적 분석의 결과는 크게 세가지 담화적 행위 아래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연구 대상 및 실험 처치 설명’, ‘연구 도구 및 자료 분석 도구 설명’, 그리고 ‘연구 설계에 대한 정당화’로 볼 수 있다. 우선 ‘연구 대상 및 실험 처치 설명’의 담화적 행위를 위해 연구자들은 담화의 초점이 연구 대상에게 있으면 능동태를, 담화적 초점이 연구자 본인에게 있으면 수동태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연구 도구 및 자료 분석 도구 설명’을 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어떤 도구나 방법을 사용했는지 명시할 때는 능동태를, 그 도구와 방법에 대한 부연 설명 또는 예측이 가능한 부속 절차를 설명할 때는 수동태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설계에 대한 정당화’에서는 태와 관련하여 세 가지 패턴이 발견되었는데, 첫째는 기존 연구에 대한 설명을 통한 연구의 정당화, 둘째는 자신의 연구에 대한 명시적인 정당화, 그리고 셋째는 연구의 한계점 인정과 극복 방안 설명이다. 첫번째 패턴과 관련해서는 기존 연구의 동향을 나타낼 때는 수동태를, 특정한 연구의 결과를 지칭할 때는 능동태를 쓰는 경향을 보였고, 두번째와 세번째 패턴 모두를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능동태를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응용언어학 연구자들은 수동태 못지않게 능동태를 활발히 사용하였으며, 능동태 내에서도 다양한 행위자들을 주어로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태 사용과 관련하여 다섯 가지의 패턴들이 추출되었는데, 이는 연구 방법 장을 작성하는데 있어서의 수동태와 능동태의 사용 방법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더 많은 양의 자료들을 분석한 후속 연구는 학문 목적 영어 학습자들에게 연구 논문의 연구 방법 장에서의 태 사용에 대해 명확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