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9 Download: 0

The Authentic Kenyan

Title
The Authentic Kenyan
Authors
Ngala, Josephine Wambui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Heather A. Willoughby
Abstract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his research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commoditized Maasai symbolism on surrounding ethnic groups in Kenya. The paper believes that using the Maasai image to generate profit both locally and internationally has led to the creation of a new tradition that maintains Maasai physical representations as a suitable illustration of an authentic national identity. Thus, the research intends to establish the sustainability of physical representations of identity belonging to surrounding indigenous groups while gauging the opinions and perceptions of Kenyans towards the adoption of Maasai imagery. Subsequently, this study supports the idea that the adoption of a Maasai image as the appropriate depiction of who Kenyans are destabilizes the multi-cultural distinctiveness of the nation. It also believes that this norm encourages “neo-ethnic plagiarism” (Tarayia 2004) where non-Maasai people explicitly appropriate Maasai culture. The research utilizes a qualitative approach and analyzes data from a focus-group-discussion while also examining secondary sources. The study investigates the existence of devalued indigenous identities at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levels, as well as the emergence of a popular culture. It also finds that many Kenyans readily adopt Maasai imagery as the primary representation of Kenyan cultural identity while unintentionally appropriating the culture on a large scale since they view it as appreciation. Lastly, the sustainability of other ethnic groups’ identities is revealed to be under threat by widespread and saturated Maasai symbolism in the market and the media. Key Words: Commodification (also commoditization), Social Constructivism, National Interest, National Identity, and Maasai Symbolism.;본 연구는 사회학적 관점에서 상품화된 마사이족 상징주의가 케냐의 주변 민족 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마사이족 이미지를 활용하여 현지 및 국제적으로 이익을 창출함으로써 마사이족의 물리적 표현이 국가 정체성의 이미지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전통을 창출했다고 본다. 따라서 이 논문은 마사이족 이미지 채택에 대한 케냐인들의 의견과 인식을 측정하는 동시에 주변 원주민 그룹들의 정체성의 물리적 표현의 지속 가능성을 관찰하고 확립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마사이족의 이미지를 케냐인에 대한 적절한 묘사로 채택하는 것이 국가의 다문화적인 특징을 불안정하게 만든다는 것이라고 도출하였다. 또한, 표준화된 시선이 마사이족이 아닌 사람들이 마사이족 문화를 적절하게 이용하는 “새로운 민족의 표절” (Tarayia 2004)을 장려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식을 활용하며 포커스 그룹의 토론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동시에 2차 자료도 조사하였으며 평가 절하된 개인 및 기관 수준에서의 원주민 정체성과 대중 문화의 출현을 관찰하였다. 또한 많은 케냐인들은 마사이족 이미지를 케냐의 문화적 정체성의 주요 표현으로 쉽게 채택하는 반면 마사이족 문화를 대중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마사이족의 상징주의가 시장과 언론에서 널리 퍼지고 포화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다른 민족의 정체성의 지속성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으로 드러났다. Keywords: 상품화, 사회 구성주의, 국가 이익, 국가 정체성, 마사이족 상징주의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