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Blood pressure and development of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event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Title
Blood pressure and development of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event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Authors
김선미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류동열
Abstract
Introduction Generalizing an ‘optimal’ blood pressure (BP) level for people with hypertension remains controversial, due to the existence of different medical guidelin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BP with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events (MACCE) in real-world settings and determined the optimal BP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Methods A total of 934,179 subjects who received anti-hypertensive medication for more than 30 days were selected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Examination Database between 2003 and 2011. The subjects were grouped by 10 mmHg intervals of observed systolic blood pressure (SBP;<120, 120–129, 130–139, 140–149, 150–159, and ≥160 mm Hg)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60, 60–69, 70–79, 80–89, 90–99, and ≥100 mm Hg). The primary outcome was MACCE, which was a composite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heart failure (HF), stroke, and all-cause mortality. The secondary outcome was endpoint specific analyses of AMI, HF, stroke, and all-cause mortality, separately. All study participants were monitored for primary or secondary outcomes during the five-year follow-up period. Results After adjusting for multiple confounding factors, a lower risk of MACCE was observed at SBP 120–129 mmHg, and those with SBP of more than 140 mmHg or less than 120 mmHg showed higher event rates and HRs for MACCE. The HR for MACCE was at its nadir at 80–89 mmHg of DBP, and the risk raised the J-curve at DBP <70 mmHg and DBP >90 mmHg. Subgroup analyses, which stratified by sex, age, an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also identified J-curved patterns for systolic and diastolic BP and MACCE. The endpoint specific incidence rates and HRs for AMI, HF hospitalization, stroke, and all-cause mortality were lowest in the SBP range of 120–129 mmHg and DBP range of 80–89 mmHg. As compared to a pulse pressure <50 mmHg, the risk of MACCE was increased in the subjects with a pulse pressure ≥50 mmHg. Conclusion Considering the occurrence of MACCE in Korean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 SBP 120–129 mmHg and DBP 80–89 mmHg should be considered as treatment goals. Although lowering of BP to achieve an SBP 120–129 mmHg and DBP 80–89 mmHg is beneficial in reducing MACCE outcomes, lowering the BP below 120/70 mmHg could lead to an increased risk of adverse ev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rict BP control has significant benefits for Koreans with hypertension. Also, BP targets should be tailored individually according to age, sex, and comorbidities. ;연구 배경과 목적 고혈압은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을 상승시키는 원인인 동시에 예방 가능한 질환이기도 하다. 고혈압 환자들의 적정 목표 혈압을 설정하기 위한 많은 선행연구가 있었으나, 고혈압 환자에게 최적의 혈압은 가이드라인마다 제시하는 기준이 달라 논란이 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고혈압 환자에서 수축기 혹은 이완기 혈압 구간별로 주요심뇌혈관사건의 발생 위험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국민 건강 보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3년부터 2011년까지 건강검진을 시행하였으며, 건강검진 전 1년 이내에 30일 이상 고혈압약을 처방받은 934,17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자는 건강 검진일에 측정된 혈압을 기준으로 10 mmHg 단위로 분류하여 수축기 혈압 (<120, 120–129, 130–139, 140–149, 150–159, 그리고≥160 mmHg), 이완기 혈압 (<60, 60–69, 70–79, 80–89, 90–99, 그리고 ≥100 mmHg)로 분류하였다. 일차 결과 변수는 급성심근경색, 심부전, 뇌졸중, 총사망으로 구성된 주요심뇌혈관사건으로 정의하였으며, 이차 결과 변수는 급성심근경색, 심부전, 뇌졸중, 총사망 각각 사건 발생으로 정의하였다. 건강 검진일 기준으로 하여 5년간 추적하며 혈압 구간 별 결과 변수의 발생율과 위험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다변량 분석 결과 수축기 혈압 130–139 mmHg군에 비하여 혈압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주요심뇌혈관사건의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였고, 120–129 mmHg군에서 가장 위험도가 낮았으며 120 mmHg 미만으로 저하되면 오히려 주요심뇌혈관사건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이완기 혈압은 80–89 mmHg군에 비하여 혈압이 증가할수록 위험도가 증가하였고, 70 mmHg 미만으로 저하되면 J 형태의 위험도 곡선을 보이며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성별, 연령, 사구체 여과율로 구별한 하위 분석에서도 혈압에 따른 주요심뇌혈관사건의 발생 위험도는 유사한 발생패턴을 보였다. 이차 결과 변수인 급성심근경색, 심부전, 뇌졸중, 그리고 총사망에 대해 분석한 결과에서도 일차 결과 변수 위험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주요심뇌혈관사건은 수축기 혈압 120–129 mmHg, 이완기 혈압 80–89 mmHg에서 가장 낮았으며, 수축기 혈압 120 mmHg 미만과 이완기 혈압 70 mmHg 미만에서는 오히려 주요심뇌혈관사건이 증가함을 확인되었다. 또한, 맥압이 증가할수록 주요심뇌혈관사건의 발생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론 한국인 고혈압 환자에게서 주요심뇌혈관사건의 발생을 고려한다면 수축기 혈압 120–129 mmHg, 이완기 혈압 80–89 mmHg을 치료의 목표로 고려해 보아야 한다. 그러나, 수축기 혈압 120 mmHg 혹은 이완기 혈압 70 mmHg 미만으로 낮추는 것은 오히려 주요심뇌혈관사건의 발생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혈압 환자의 치료 목표를 정상 혈압까지 낮추는 것을 고려해야 하나 J 형태의 위험도 곡선을 고려한다면 목표 혈압의 상향치와 하향치를 모두 고려한 엄격한 목표 혈압의 설정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