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4 Download: 0

Turquoise color naming in Korean and Brazilian-Portuguese

Title
Turquoise color naming in Korean and Brazilian-Portuguese
Authors
SCHMITZ, JESSICA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With the rising of Korean wave (also known as hallyu) all over the world, arises the need for a better translation of Korean terms to other languages, especially referring to colors. Korean wave has also spread until Brazil, being one of the new cultural and entertainment trends.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analyze Brazilian-Portuguese and Korean native speakers color naming to the English turquoise color, one of the most ambiguous secondary colors between languages. The samples used for the survey were 5BG-5B-5PB colors from KS Munsell 200 colors chart, totalizing 33 samples. We prepared physical and digital versions of the samples for better analysis. For the physical samples, there were 10 native Brazilian-Portuguese and 11 native Korean subjects. For the digital version there were 143 native Brazilians and 73 native Koreans subjects. The subjects were asked for the name of the seeing color for each sample in their native language. For Brazilians,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divide the color range in either “verde” (green) or “azul” (blue), without a clear categorization for turquoise. Comparatively, Koreans have a defined color naming categorization for the same range, being called 청록색 (cheongnoksek).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Brazilian-Portuguese physical and digital samples, where for the physical samples there were more turquoise related terms. That could be a result of cultural and language influence to bilinguals’ color categorization since the physical samples survey subjects were based in Korea. Korean language has a more established color naming categorization for turquoise color, in an extend that it could be categorized as a basic color. For Brazilians, they rather divide the turquoise range into Green or Blue categorization. Also, culture and environment can change someone’s color categorization, as for bilinguals. This study will have implications so that translations in various areas such as marketing, literature, entertainment, and others, can be done more efficiently and with less ambiguity.;전 세계적으로 한류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어 용어를 다른 언어, 특히 색을 지칭하는 용어, 더 나은 번역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류는 브라질까지 퍼져나가면서 새로운 문화 및 엔터테인먼트 트렌드 중 하나가 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언어 간에 가장 모호한 2차 색 중 하나인 영어 Turquoise에 브라질-포르투갈어 및 한국어 원어민들의 색 명칭을 분석하고자 한다. 조사에 사용된 샘플은 KS문셀 200 컬러 차트의 5BG-5B-5PB 색상으로 총 33개의 샘플을 사용했다. 더 나은 분석을 위해 샘플의 물리 및 디지털 버전을 준비했다. 물리 샘플의 경우 브라질-포르투갈어 원어민 10명과 한국인 원어민 11명이었다. 디지털 버전은 브라질 원어민 143 명과 한국 원어민 73 명이었다. 피험자들은 각 샘플의 보이는 색상의 이름을 모국어로 요청을 받았다. 브라질 사람들의 경우 Turquoise에 대한 명확한 범주가 없이 'Verde'[베르데](녹색)나 'Azul'[아줄](파란색)으로 색상 범위를 나누는 경향이 있다. 비교적으로, 한국인들은 같은 범위에 대해서 청록색이라고 지어주며, 정의된 색상 명명 인식을 가지고 있다. 브라질-포르투갈어 물리 샘플과 디지털 샘플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는데, 물리 샘플의 경우 Turquoise과 관련된 용어가 더 많았다. 이러한 상황은 브라질의 물리 샘플 조사 응답자들이 한국에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에 문화와 언어가 이중 언어 화자의 색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일 수 있다. 한국어는 청록색 범위가 기본적인 색상으로 분류될 수 있을 정도로 청록색에 대한 명확한 명칭 분류가 정립되어 있다. 브라질 사람들은 오히려 청록색 범위를 초록색 또는 파란색으로 나눈다. 또한,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2개 국어나 다국어 사용자들에게 문화와 환경은 색에 대한 누군가의 인식을 바꿀 수 있다. 본 연구는 마케팅, 문학,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의 번역이 더 효율적이고 모호하지 않게 수행 될 수 있도록 함축적 의미를 가질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