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The mediating effect of stigma between perceived generational conflict and discriminatory behavior against older adults

Title
The mediating effect of stigma between perceived generational conflict and discriminatory behavior against older adults
Other Titles
세대갈등인식과 노인차별행동 관계에서 노인낙인의 매개효과 : 청년집단과 중년집단에 따른 다집단분석
Authors
윤혜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젊은층의 세대갈등인식이 노인차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노인에 대한 낙인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청년집단과 중년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이들의 노인에 대한 차별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연령집단에 따른 개입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연구재단 재원으로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에서 2018년에 실시된 「2018 연령통합 및 세대통합 조사」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15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20~44세의 청년층 420명, 만 45~64세의 중년층 413명으로 총 833명이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SPSS 23.0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세대갈등인식이 노인에 대한 낙인을 매개로 노인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MPLUS 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와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차별행동을 연령집단별로 살펴봤을 때 연령에 대한 언어적 차별은 중년집단이, 노인에 대한 회피는 청년집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집단과 중년집단 모두 세대갈등인식은 차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세대와의 이해관계가 상충된다고 느낄수록 노인에 대한 차별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노인에 대한 낙인이 젊은층의 세대갈등인식과 노인차별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집단 분석을 통해 경로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청년집단의 경우, 노인에 대한 낙인은 세대갈등인식과 차별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년집단의 경우 노인에 대한 낙인은 세대갈등인식과 차별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별행동의 하위요인의 수준이 연령집단에 따라 각 상이하게 나타났다 결과를 고려하여, 두 집단의 차별행동 완화를 위한 개입이 필요하되, 연령의 특성에 맞는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두 집단에서 세대갈등인식과 노인차별행동이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청년층과 중년층의 세대갈등인식을 해소하기 위해 연령통합 프로그램, 세대간 교류 증진, 연령친화환경 조성 등의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낙인에 대한 매개효과는 청년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따라서 노인차별행동 완화를 위한 개입에서 연령층에 따른 차별화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청년층의 노인차별행동을 감소하기 위한 세대갈등완화 프로그램에 노인에 대한 객관적이며 긍정적인 인식 향상을 위한 내용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중년의 차별행동에 개입하기 위해서 이들의 세대갈등을 완화하는 방안에 더 주력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mediating effect of stigma on older adul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er adults’ perceived generational conflict and discriminatory behavior,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 among young and middle-aged ad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ir discrimination against older adults multidimensionally, and suggest intervention according to each age group. For this study, data from “2018 Ages Integration Survey” conducted by Ewha Institute for Age Integration Research in 2018 fund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as used.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833 adults across 15 living areas of Korea, consisting of 420 young adults aged 20 to 44, and middle-aged adults aged 45 to 64.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was analyzed through SPSS 23.0.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as tested using MPLUS 8.0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generational conflict on discriminatory behavior mediated by stigm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discriminatory behavior against older adults was examined according to age group, middle-aged adult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verbal ridicule whereas younger adult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avoidanc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perceived generational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discriminatory behavior for bo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Third, stigma on older adult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er adults’ perceived generational conflict and discriminatory behavior against older adults.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athways between the two groups when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As for younger adults, their stigma on older adults partially mediated perceived generational conflict and discriminatory behavior. In contrast, no mediating effect was found for middle-aged adults. The discussion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level of sub-items of discriminatory behavior against older adults differed among the two group. Hence, it is suggested that an intervention to decrease discriminatory behavior is in need for both age groups, but they should be strategically different. Second, as perceived generational conflict and discriminatory behavior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for both age groups, intervention including intergenerational programs, increase in generational interaction, and building age-friendly environment is necessary.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tigma was significant for young adults only. Therefore, this group difference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intervening to reduce their discriminatory behavior against older adults. For young adults, educational contents which implement objective and positive images on older adults must be included in generational conflict reducing interventions. For middle-aged adults, it is more important to focus on diminishing generational conflict as a solution to reducing their discriminatory behavior against older adul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