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91 Download: 0

문화산업분야에서의 서비스디자인 활용 가능성 연구

Title
문화산업분야에서의 서비스디자인 활용 가능성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Applicability of Service Design in Cultural Industry : Focused on Craft Culture Industry
Authors
이선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서비스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선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산업 중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한 공예산업에 서비스디자인의 적용이 효과성을 가질 수 있는가를 연구 및 분석하고 공예문화산업에 맞는 서비스디자인 활용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국내에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이 확산된 지 10여년이 채 되지 않았기에 아직까지 일부 산업에만 국한하여 적용되고 있는 서비스디자인의 적용범위를 확대해보고자 하는데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서비스디자인은 정부주도의 공공서비스 개선에 서비스디자인의 활용을 주력해온 만큼 본격적인 산업적용은 채 5년이 안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비스기반산업이 주를 이루는 21세기 산업분야에서 서비스디자인의 빠른 확산력은 향후 서비스디자인의 빠른 성장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그간의 서비스디자인의 개념과 해외 활용성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 만큼 앞으로의 서비스디자인의 다음 수순은 다양한 산업적 적용의 시도와 그 시도들을 통해 얻어진 다양한 실패와 실패를 딛고 일어선 성공 사례들일 것이다. 국내 산업에의 맞추어진 서비스디자인 적용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시도들을 통해 도출된 다양한 사례들이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문화산업에서의 서비스디자인 활용 가능성에 대해 세 가지 관점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문화산업에 대한 이해를 위해 문화산업의 개념과 한국문화산업의 태동과 현황을 짚어보고 문화산업 내에서도 전통적 기술을 기반으로 상품을 생산하는 공예산업의 특성에 대해 점검해보았다. 특히 공예문화산업에서의 서비스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서비스디자인의 산업적 활용현황에 대해 분석 및 연구를 하였다. 국내 서비스디자인 도입 시기를 알아봄으로써 국내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이 확산된 시점과 서비스디자인 수행기업의 태동 시기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시작으로 지금까지의 국내 서비스디자인의 활용현황에 대해 점검한다. 또한 국내 서비스디자인 연구현황을 산업별로 구분하여 서비스디자인의 연구논문 경향을 알아봄으로써 국내 서비스디자인의 확산 방향이 특정산업분야로 성장이 치우쳐져 있진 않은지 점검하고 문화산업 관련 서비스디자인 연구논문 현황도 더불어 확인하였다. 세 번째, 문화산업의 경우 서비스디자인 적용이전에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에 대한 이해가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만큼 낯선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을 문화산업 종사자들에게 상대적으로 친숙한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와 서비스디자인과의 개념을 각각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디자인사고 서비스디자인 개념과의 유사성을 보여줌으로써 문화산업 종사자의 입장에서 생소한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정확한 이해 및 활용에 있어 왜곡이 없도록 디자인사고를 기반으로 서비스디자인을 설명함으로써 문화산업에서의 서비스디자인의 활용가능성에 기반이 되는 이해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목적을 위한 세 가지 관점의 연구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자는 문화산업 내에서도 전통적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생산방식을 갖고 있는 공예문화산업의 서비스디자인의 이해도 제고 및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This study attempted to research and analyze if the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can have effectiveness in the cultural industry as well and propose a plan for its application suitable for the industry, aiming to expand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which has still been applied only in some industries as of today about 10 years since the spread of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in South Korea. As the scale of small businesses including one-man start-up businesses in different industries including the cultural industry since the end of the 20th century began to be understood a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of the relevant industries, seeking a strateg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ale of the industries today i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Especially, it was expected that the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to the craft culture industry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cultural industry could be a significant strategic means to make up for the decrease in sales caused by the gap between the employees of the craft industry and the tendency of consumers’ purchasing of cultural products, which has long been mentioned as a factor obstructing the growth of the craft culture industry.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applicability of service design in the cultural industry based on this premise. For the traditional cultural industry, the employee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should precede the direct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so this study attempted to promote their understanding, which is the base of the applicability of service design to the cultural industry, explaining service design based on design thinking, so that there would not be any distortion for the accurat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unfamiliar service design from the position of the employees of the cultural industries, by analyzing the concept of design thinking, with which the employees of the cultural industries are relatively familiar and that of service design and show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oncept of design thinking and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Like this, based on these contents for the research purposes, this researcher drew the following results regarding the plan for the promotion of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in the craft culture industry with production methods based on the traditional technologies in the cultural indust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서비스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