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평생학습을 통한 중년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Title
평생학습을 통한 중년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Changes in Self-Esteem of Middle Age Through Lifelong Learning : Focusing on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uthors
윤가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Middle Age’is a life turning point where people experience numerous changes and it is an important time to get prepared for the second life. While educational interest on middle year is necessary, there are only few researches compared to old age, childhood, and adolescence. Recently, middle year is getting noticed because the middle-aged people are playing key role in overall society as medical development increased average life expectancy and middle age period take up more in life. Especially, developmental psychologists pointed out that middle year is an important turning point for developmental stage in life. In response, there is emphasis on the need for researches on middle year (Jaeun Oh, 2013). With rising educational interests on middle year, it is necessary to have education that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people that changed over time and art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way as a lifelong learning to be prepared for psychological changes in middle age and later old stage. ‘Lifelong Learning’ means the learning that occurs over the life for anyone (Sanggil Han, 2009) and it especially means activities with intention and subjective behavior by learner. The ultimate goal of lifelong learning is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lifelong learning for middle aged-people is necessary for transition to stable older stage of life. In response, this study suggests ‘Community-Based Art Education(CBAE)’which is based on local and community activity for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Ulbricht (2005),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meets with the goal of lifelong learning through inspiring meaning of life and vitality, forming social relationship, and making maintain meaningful activities through community culture. The subjective and relationship activities lead to higher ‘Self-Esteem’ of middle-aged people as they regard themselves as a valuable person. In response, this study suggested necessity of lifelong learning for middle-aged people on turning point, designed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middle-aged people’s self-esteem to examine the learning process and experience of middle-aged people phenomenological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4 middle-aged people jointly with local artists at co-workshop at K District, Seoul for total of 24 times from April 2020 to June 2020. After getting approval from participants, the research was documented and recorded every class wit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The recorded materials were documented to collect research materials.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tructuralized questions. The research use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nd followed the steps of statemen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by Wolcott (1992).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categorized through open coding work and analyzed to derive the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drew total of 4 upper categories and 12 sub-categories and categorized items are as follows : ‘Mid-Life Crisis’, ‘Regret Over Life’, and ‘Preparation for Old Stage’ are the sub-category of upper category ‘Middle Age Perception’. ‘Pleasure of Accomplishment’, ‘Learning of Carpentry’, ‘Cognition on Own Value’ are sub-categories for upper category ‘Self-Esteem of Middle Age’. ‘Perception on Community’, ‘Change of Thoughts’, and ‘Future Plan’ are sub-categories for ‘Perception on Region’. ‘Will for Learning’, ‘Interest in Art’, and ‘Pleasure for Being Together’ are the sub-categories for ‘Will to Learn’. First, Lifelong learning helps middle-aged people to keep on learning voluntarily to overcome various changes from mid-life crisis. It also inspires learning motivation to help getting prepared for stable old stage. Second,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s appropriate for lifelong learning for better life of for middle-aged learners as it forms social relationship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help experiencing sense of accomplishment repeatedly, and help recognizing own value. In conclusion, lifelong learning for middle-aged learners helps middle-aged people to continue learning voluntarily, overcome mid-life crisis, and maintain self-esteem. At the same time, community-based education is effective as a lifelong learning as it gives sense of accomplishment necessary for forming self-esteem and help experience social relationship. The research results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multi-dimensional art education as a lifelong learning that considers psychological and social changes of middle-aged learners and helps to getting prepared for stable old stage. The follow-up researches should be based on understanding of middle-aged people’s characteristics and expand to art education that can be also connected to old age.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생애 전환 시기의 ‘중년기’는 제2의 인생을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다. 따라서 중년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필요하나 학계에서는 노년, 아동, 청소년기에 비해 연구가 미비하였다. 최근 중년기가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증가하며 인생에서 중년기가 차지하는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중년층이 사회 전반에 걸쳐 핵심적 역할을 감당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발달심리학자들에 의해 중년기가 인생의 발달단계에 있어 중요한 전환기라는 특성이 밝혀져 더욱 중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오제은, 2013). 연구자는 중년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대두됨에 따라 시대에 맞는 변화된 중년의 특징을 고려한 교육이 필요하며, 중년의 심리적 변화와 노년기를 준비하는 데 평생학습으로서의 미술교육이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평생학습’은 누구에게나 일생동안 삶의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배움을 뜻하며(한상길, 2009), 특히 학습자의 의사와 주체적 행동에 의한 활동을 의미한다. 평생학습의 궁극적 목표는 삶의 질 향상에 있으며, 안정적 노년기 진입을 위해서도 중년 대상 평생학습은 필요하다. 이때 평생학습으로서의 미술교육으로 지역과 공동체 활동 기반의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을 제안한다. 울브리히트(Ulbricht, 2005)에 의하면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은 지역 문화를 통해 삶의 의미와 활력을 불어넣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시키며, 의미 있는 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평생학습의 목적에 부합한다. 나아가 주체적이고 관계를 맺는 활동은 스스로가 가치 있다고 믿게 되어 중년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생애 전환 시점에 있는 중년에게 평생학습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중년의 자아존중감을 고려한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및 진행하여, 중년의 학습 과정 및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는 중년기 성인 4명을 대상으로 2020년 4월부터 6월까지, 총 24차시 동안 서울시 K구 마을 공동 작업장에서 지역 예술가와 공동 진행되었다. 진행 시 참여자의 동의를 구한 다음 매 차시 수업과 개별 심층 면담을 기록, 녹음하였고 녹음 자료는 전사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때 개별 심층면담의 경우 구조화된 문항을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질적 분석 방법으로 월코트(Wolcott, 1992)의 기술, 분석, 해석의 절차를 따랐으며 수집한 자료를 개방 코딩작업을 통해 범주화한 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총 4개의 상위 범주와 12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범주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년기 인지’의 하위 범주는‘중년의 위기’, ‘삶에 대한 회한’, ‘노년기 준비’이며, ‘중년의 자아존중감’의 하위 범주는 ‘성취의 즐거움’, ‘목공 기술의 습득’, ‘자신의 가치 인식’이다. ‘지역에 대한 인식’의 하위 범주는 ‘지역 사회 인식’, ‘생각의 변화’, ‘앞으로의 계획’이고 ‘학습 의지’의 하위 범주는 ‘배움에 대한 의지’, ‘미술에 대한 흥미’, ‘함께하는 즐거움’이다. 분석 결과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으로서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은 중년에게 자발적 배움을 지속하게 하여 중년의 위기에 해당하는 다양한 변화를 극복하고, 학습 의지를 고취시켜 안정적 노년기를 위한 준비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년 학습자에게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은 공동체 활동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반복적 성취감을 경험하며 자신의 가치를 인식하게 하여, 더 나은 삶을 위한 평생학습으로서 적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중년기 성인 학습자들에게 평생학습은 자발적 배움을 지속하게 하여 중년의 위기를 극복하고, 자아존중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이때,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은 자아존중감 형성에 필요한 성취감과 사회적 관계를 경험하게 하여 평생학습으로써 효과적임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중년 성인 학습자들의 심리・사회적 변화를 고려하고, 안정적 노년기를 그릴 수 있는 평생학습으로서의 다각적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깨달았다. 후속 연구에서는 중년의 시기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며, 노년기로도 연결될 수 있는 미술 학습에 관한 연구가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