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6 Download: 0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디자인 씽킹 수업 개발 필요성 및 방향

Title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디자인 씽킹 수업 개발 필요성 및 방향
Other Titl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Exploring the Direction of Design Thinking Classe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A Study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Art Teachers
Authors
최소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본 연구는 국제사회 구성원으로써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디자인 씽킹 적용 미술수업의 필요성을 모색하고 세계시민교육과 디자인 씽킹 미술수업의 통합적 연계 방향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소셜미디어를 통해 국제사회 이슈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일상 속에서 세계시민성은 모든 인류가 함양해야 하는 필수 덕목이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세계시민교육은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할 수 있는 공동체 의식을 전제로 한 유엔의 지속가능발전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에 따라 2015년 인천 세계교육포럼(World Education Forum) 개최를 기점으로 지구촌 사회의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발전되어 왔다(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 교육원, 2018). 세계시민교육은 문화, 환경, 인종 등 세계화 속에서 마주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배려와 책임의식을 가지고 참여적 실천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을 위한 과정중심 교육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교육의 발전 방향은 디자인 씽킹 교육 적용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디자인 씽킹은 인간중심 사고를 기반으로 하여 학습자의 지식과 경험의 융합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강조한 사고 모형으로, 세계시민교육이 지향하는 교육의 목적과 방향에 있어 공통된 가치를 공유한다. 공동체 의식 함양과 협동능력, 창의·융합적 사고력 함양은 세계시민교육의 핵심적인 교육 가치로써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하여 세계의 문제를 우리의 문제로 인식하는 공감을 바탕으로 한 노력과 실천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치는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 및 창의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씽킹 모형을 통해 성취가 용이하며, 미술교과와 통합적 연계하였을 때 그 교육의 기대효과가 높다. 디자인 씽킹은 시각적 표현을 통한 창의적 사고를 깊이있게 다루며, 이는 디자인 씽킹에서 혁신적 문제해결을 위한 의사소통의 도구로써 활용되기 때문에 미술교과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씽킹은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으로 알려진 방법론으로써 그룹수업을 통한 협동심 향상, 시각적 의사소통능력 함양, 타교과 및 타분야의 지식 융합을 통한 창의·융합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모형이다. 디자인 씽킹은 본래 기업에서 디자인 아이디어 및 문제 해결의 과정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비즈니스 목적으로 활용되었으며 이를 이용한 혁신적 성공이 입증됨에 따라 교육분야에서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서혜인, 2020). 이러한 관점에서 디자인 씽킹과 세계시민교육이 공통된 교육 목적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술교과에서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과 디자인 씽킹 미술수업 간의 교과연계 수업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와 방향성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 실행의 주체가 되는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연구 진행을 위하여 세계시민교육과 디자인 씽킹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는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디자인 씽킹 미술수업의 개발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이며,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교과 목표, 교과 역량 및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향후 미술교과에서의 디자인 씽킹을 적용한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함에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의 개념 및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해 교육적 의의를 탐구하였다. 둘째, 미술교육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2015개정 교육과정과 미술교과 학습 목표 및 핵심 역량에 언급된 세계시민교육 요소를 탐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창의·융합 능력 함양을 위한 미술교과 연계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셋째, 디자인 씽킹 개념 및 대표적인 디자인 씽킹 모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디자인 씽킹의 교육적 가치와 함양할 수 있는 핵심 역량에 대해 살펴보았다. 넷째, 창의·융합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는 2015개정 미술 교육과정 내 디자인 씽킹 교육 기반 미술수업의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 디자인 씽킹 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상호 연관성 및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섯째, 중학교 미술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디자인 씽킹 미술수업의 필요성 및 향후 수업 방향에 대한 교사대상 인식조사를 위한 설문문항을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18)의 『세계시민교육 국내 이행현황 연구보고서』를 참조하여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디자인씽킹 적용 미술수업의 필요성 및 방향’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세계시민교육과 디자인씽킹 교육에 대한 교사대상 인식조사 및 향후 디자인씽킹 적용 세계시민교육 미술수업 개발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한 설문문항으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설문지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미술교육 전문가 2인의 자문을 구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전국의 중학교 미술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총 44명의 중학교 미술교사 대상 인식조사 설문지를 SPSS(Statistical-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참여한 교사들은 미술교과 수업을 통한 세계시민교육과 디자인 씽킹 미술수업 모두 ‘창의·융합 능력 함양’과 밀접한 관련있는 것으로 인식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두 교육의 상호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세계시민교육과 디자인씽킹 미술수업은 서로 연계하기 적합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디자인씽킹 적용 미술교과 수업은 ‘융합적 지식이해 및 적용능력 향상’에 도움되는 교육으로 인식함을 알 수 있다. 셋째, 미술교과 수업을 통한 디자인 씽킹 적용 세계시민교육에 적합한 주제로 문화다양성, 다문화에 대한 수업을 1순위로 꼽았으며, 환경교육에 기반한 지속가능발전 주제를 2순위, 세계시민성과 지구촌 불평등 세계시민교육 활동 영역에 초점을 둔 주제를 3순위로 선택하였다. 이는 사회·정의적 영역과 관련된 미술교과 수업의 개발이 필요함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 배려 학습과 같은 인간중심 사고에 기반한 정의적 영역,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함양에 목적을 둔 교육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디자인 씽킹 미술수업은 2015개정 교육과정 교과 내용 영역에서 교사들은 표현영역과 체험영역과 관련있다고 인식하였다. 관련 교과 핵심 역량에 대해서는 시각적 표현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창의·융합 능력’ 함양에 효과적일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융합적 지식이해 및 적용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교육으로 인식함을 통해 2015개정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육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미술교과에서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세계시민교육은 창의·융합 능력 함양에 있어 유의미한 교육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디자인 씽킹 미술교과 수업이 교육 현장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창의·융합 능력 향상에 목적을 둔 교과 연계 교수·학습자료 연구 및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여기서의 교수·학습 자료는 미술교과와 연계 가능한 수업지원의 개념으로써, 디자인 씽킹 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통합적 연계를 위한 교육 가이드라인 및 교육자료 제공을 포함한 수업에 대한 지원을 의미한다. 미술교과 수업은 창의적 사고활동을 통한 작품 창작의 과정으로써 타교과 수업과 비교하였을 때, 미술교과에 대한 이해와 교과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수업지원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제언을 고려하여 유네스코(2015)가 제시한 세계시민교육 개념을 토대로 과정중심 학습을 통한 창의·융합 능력 함양에 목적을 둔 디자인 씽킹 적용 미술교과 수업에 대한 교수법 개발 및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With the recent spread of COVID-19, the swift political, economic, medical, and technological exchanges between numerous countries, have intensified the depth of global interdependence and interconnection. In correlation with this, the world is developing into a hyper-connected society, in which global citizenship, and the global citizen’s individual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common prosperity of mankind, has become more emphasized than ever. The gap between nations and between individuals is widening day by day, and as the world embraces the conflicts, the importance of community consciousness as acitizen of a global society with no regional boundaries, demands a reformation in education. This global tre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even fur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cessity of applying Design Thinking to the Art Curriculumin order to nurture global citizenship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link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Design Thinking in the Art Curriculum.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sharing international issues on online platforms has become a daily routine,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become of essential value for all humanity. In correlation with such times, on the premise that the community can think and act independentl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developed into a form of an effort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defined as a process-centered education that enhance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the learner’s proactive participation so that they may confront globalization, and the facets from which various problems may arise, such as culture, environment, race, etc., with respect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The direction of such development of education can explained through Design Thinking. As a model based on human-centered thinking, emphasizing the merging of individual insight and personal experiences among learners, Design Thinking shares a common purpose and trajectory wit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evelopment of a sense of community along with cooperative and creative interdisciplinary thinking skills are key valu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urthermore, effort founded on empathy to recognize global problems as one’s own problems along with actual application is essential to human sustainability. These values, based on communication and creative thinking among learners, can be effectively achieved through the Design Thinking model and the result of its integration with the Art Curriculum has high expectations. Design Thinking, which approaches creative thinking comprehensively through visual expression,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in art subjects since such visual thinking is used as a communication tool for innovative problem solving. Known as a methodology for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Design Thinking is an educational model that is set on improving cooperative skills, fostering visual communication skills, integrating various disciplines, to nurture creative and convergence skills through group work. Design Thinking was originally implemented by corporations as a business tool for improving creative thinking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ing ideas and problem solving. As this proved to be an innovative success, it has drawn keen atten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this regard, due to the lack of research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cusing on nurturing creative convergence capabilities,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study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curriculum-linked classes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Design Thinking art classes in school education is neede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erception of teachers who are the main drivers of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a perception survey of teachers on Global Education and Design Thinking educ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Design Thinking art classe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applying Design thinking in future art subjects, based on the 2015 revised standards of teaching and purpose, and subject's ability and achievement. The method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s were studied to expl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econd, to explore the necess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ree factor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entioned in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learning goals and core competency skills of the art curriculum was studied. Through this,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art subjects wit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 skills was considered. Third, the study looked at the educational value of Design Thinking and the applicable core competency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Design Thinking and the module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Fourth, the study used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and its goal to nurtu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to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of art classes by examining the connection between Design Thinking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long with the need for this research. Fifth, middle school art teachers were set as object of study and a questionnaire was produced to examine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ed for Design Thinking art classes in lin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of such classes. The survey was based on the World Citizenship Education Research Report of the UNESCO Asia-Pacific Institute of International and Interest Education. The research paper was compiled by the researcher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self-inventing education and Future Design Thinking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art classes based on merging of Design Thinking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survey, two art education experts were consulted, and the surve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ly. The survey collected and conducted the survey with nation wide middle school art teachers as the subject of research. A total of forty-four art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 Ver. 25.0 program which summarize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urve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 results which found that the subjects perceived that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Design Thinking in art class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e-convergence skills.  Second,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Design Thinking art classes are suitable to integration and perceived that art classes which applied Design Thinking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nhanced interdisciplinary thinking and the ability to apply this knowledge. Third, lessons on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ism were chosen as first priority topics suitable for art classes involv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tegrated with Design Thinking, followed in order by environmental education focusing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ubjects that focus on global civic activities such as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inequality.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art subject classes related to social justice. It can also be confirmed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ing education founded a sense of justice based on human-centered thinking such as,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diverse cultures and also development of education hinged on enhancing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eachers recognized that Design Thinking art classe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related to the field of individual expression and experience. It was also recognized that the core competencies will be effective in developing creative convergence skills and on its suitability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ased on the fact that the subjects chose ‘the ability to think and express oneself creatively in a convergent way’, it can be concluded that in the art studies, the integration of Design Thinking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education in developing creative convergence skill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urther research and sharing of teaching materials aimed at enhancing creative convergence skills is crucial ineffectively conducting Design Thinking art classe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term ‘teaching materials’ which includes customized lesson supplements that can be related to art subjects, indicates supporting classes including providing guidelines for education and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in order to integrate Design Thinking in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t subject classes are a process of producing an item through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and compared to other disciplines, systematic support, founded upon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art curriculum, is required to emphasize the distinctive essence of the subject. In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continuous research on the art curriculum with the aim of developing creative convergence skills through process-centered learning based on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posed by UNESCO(2015)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