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2 Download: 0

미술교사 대상 인식 조사를 통한 공공미술 활용 지속가능발전교육 필요성 및 방향성 연구

Title
미술교사 대상 인식 조사를 통한 공공미술 활용 지속가능발전교육 필요성 및 방향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irection underneath the nee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using public art through the perception survey of art teachers
Authors
현수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더욱 활발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미술교육 현장에 대한 파악을 위해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공공미술의 각 개념 인식과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공공미술의 담론인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에 기초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언하는 것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인류는 개발과 함께 나타나는 환경적 문제처럼 지속불가능한 구조의 심각성에 대해 변화시켜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전 세계가 도달하고자 하는 지향점인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SD)’을 달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수단인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은 다음 세대를 위해 지속가능한 삶을 창조해야 하는 책임이 있음을 알게 하는 가치 지향적인 교육이며 『2019 유네스코 ESD 정책포럼』을 통해 일부 교과 및 학문적 연구에서 벗어나 지역 및 대중으로 더 확대시킬 수 있는 교육 방향이 논의되고 있다(한국유네스코, 2019). 김향미(2014)의 연구에 따르면 지역사회 중심의 도시재생 및 활성화 등 지속가능성에 대해 주목하는 가운데 문화·예술에서는 공공미술의 중요성과 교육적 가치 및 필요성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acy(2010)는 공공미술의 담론인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이 공공의 참여와 소통으로 이루어지며, 공공성과 대중을 중심으로 사회와 소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이주연, 류지영, 고황경(2020)의 학교 미술교육 강화를 위한 미술 교과서 내용 개선 제안 연구에서도 볼 수 있듯 지역사회연계 미술로서 언급한 공공미술은 ‘학교예술교육 중장기 계획’(교육부,2018)의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를 활용한 예술교육의 추진 내용과의 연계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공공미술의 지역사회와의 소통, 공동체 중심의 활동과 역할은 안혜리(2016)의 건강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미술과 보건 통합교육 사례 연구도 있듯 UN의 70차 유엔총회에서 지속가능발전의 공동목표로 채택된 2016년~2030년 ‘지속가능발전목표’에서도 채택된 요소로서 ‘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와도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두 개념의 교집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함께 연구된 국내 미술교육 선행연구는 찾기 어려웠으며 미술과에서 구체적으로 활용한 수업 사례 또한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미술에 기초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 가능성과 개념, 교육적 의의 등을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향후 관련된 공공미술을 통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교육 현장에서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며 교육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현직 중등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인식 정도 및 교육 현황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미술 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용어와 개념 인지도는 아직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학교 미술 교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 인지도 확대를 위한 연구 활성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공공미술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공공미술을 통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환경적 측면을 넘어 거시적인 관점으로 접근하여 정치, 경제, 사회·문화 영역을 다루는 사회 교과와 윤리적 소양 함양을 위한 도덕, 기술과의 융합을 위한 과학 교과 등 타 교과와의 연계가 가능하며 보다 다각화된 미술수업이 마련된다면 총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실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공공미술은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이라는 담론적 특성을 기반으로 사회참여 및 소통을 통해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한 이해와 탐구, 비판적 사고가 가능하다. 또한, 공동체적 가치 추구, 사회 참여적 성격을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필요성을 갖는다. 결론적으로 공공미술을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도달할 수 있으며, 미술교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직 중등미술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공공미술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 설문자료를 수집·분석하여 공공미술을 통한 지속가능발전교육 개발하는데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더 거시적 관점으로서의 접근 필요성에 주목하고 지속가능발전교육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점에서 연구를 제언한다.;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the concep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public art and their status with art teachers and propose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ESD class based on the discourse of public art, “new genre public art” to understand the field of art education so that ESD can more actively be executed in the art subject. As society develops, mankind feels the necessity of a change, concerning the seriousness of unsustainable structures, like the environmental issues appearing with development. ESD, the most important mean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SD),” the goal to reach by the whole world, is a value-oriented education that lets people know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the creation of a sustainable life for the next generation, and through the “2019 UNESCO ESD Policy Forum,” an educational direction that can further expand that to regions and the general public, breaking away from some curriculum and academic research has been discussed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2019). According to Kim (2014), while attention is paid to the sustainability of community-centered urban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in culture and art, studies are actively conducted on the importance, educational value, and necessity of public art. The discourse of public art achieved by public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new genre public art” is based on social participation (Lacy, 2010). Public art can play a role in communicating with society, focused on publicity and the public. As shown in a study for the proposal of the improvement of the contents of art textbooks for improving school art education conducted by Lee, Ryu, and Koh (2020), public art mentioned as an art connected to the community shows the connec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promotion of art education utilizing the network with the community in “a long-term plan for school art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2018). The role of public art like this is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sustainable city and community” adopted as an element in the 2016-2030 “SD goal” adopted as a common objective of SD in the UN’s 70th General Assembly. However, despite the intersection of the two concepts, it was hard to find the preceding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two together, and it was also difficult to find the cases of class that concretely utilized them in the art subject. Thus, this study figured out the feasibility of ESD based on public art and its concept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To help ESD research through the related public art in the futu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the awareness level and education status with the in-service middle school art teachers who play the biggest role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can affect the achievement of education. Also, this study drew conclusions based on the survey data. First, it turned out that art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terms and concepts of ESD was still low. It is not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revitalize research for the expansion of the awareness about SD in the school art subject. Second, ESD can expect an educational effect through public art. If diversified art classes are prepared through the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like social studies that deal with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ields, approaching ESD through public art from a macroscopic view beyond the environmental aspect, and the ethics subject for ethical cultivation, the possibility of practice of the 17 SD goals in total can be expected. Third, based on the discourse characteristic that public art is “new genre public art,”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ne’s understanding, inquiry, and critical thinking of the society to which one belongs are possible. In addition, through the pursuit of a communal value and the character of social participation, it has a necessity as ESD. In conclusion, through public art, the SD goal can be reached, and the ESD effect can be expected in the art subjec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necessity of an approach from a more macroscopic view in order to reach the SD goal in developing ESD through public art,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in-service middle school art teachers’ perceptions of ESD and public art and questionnaires of the survey on the present status and proposes research, hoping to help develop ES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