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9 Download: 0

농촌 지역 재가 노인의 구강 건조, 구강 보건 지식, 행위와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Title
농촌 지역 재가 노인의 구강 건조, 구강 보건 지식, 행위와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t Home in Rural Areas.
Authors
최은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구강 건강은 노인의 삶의 질 유지를 위한 필수요소이지만,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38.1%가 구강 건강문제로 불편함을 호소한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구강 건강문제는 의료기관 접근성 제한, 저학력, 저소득 등의 요인을 가지고 있는 농촌 지역에서 더욱 심각할 것으로 예측된다. 노인의 흔한 구강 건강문제는 노인의 1/3이 경험하는 구강 건조이다. 이러한 구강 건강문제는 일상적인 구강 건강 관리를 통하여 쉽게 예방할 수 있고, 효율적인 구강 건강 관리를 위해서 올바른 구강 보건 지식과 행위가 중요하다. 이에 농촌 지역 노인의 구강 건조, 구강 보건 지식, 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의료 취약 지역인 농촌 지역 재가 노인의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농촌 지역 재가 노인의 구강 건조, 구강 보건 지식, 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0년 4월 6일부터 2020년 5월 2일까지 농촌 지역인 W군의 5개 읍, 면 지역의 14개 마을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17명을 편의 표집하여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평균 연령은 69.85±5.21세로, 남자 노인이 69명(59%)이었다. 대상자 중 초등학교 졸업 이하 대상자가 27.4%였으며, 진단받은 질병이 있는 노인은 103명(88%)으로 고혈압 진단자가 62명(53%)으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구강 건강 관련 특성은 구강 건강 교육을 받지 않은 대상자가 81명(69.2%)이었고, 잔존 치아 수는 평균 18.81±8.97로 나타났다. 주관적인 구강 건조는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52명(44.4%)으로 가장 많았고, 객관적인 구강 건조는 평균 26.12±2.62이고, 구강 건조로 측정된 대상자는 90명(76.9%)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구강 보건 지식 점수의 평균은 4.67±1.61점(범위:0-8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구강 건강 행위는 평균 16.23±4.12점(범위:6-30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구강 건강 행위를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은 평균 42.40±12.1(범위:14-70점)으로 낮게 보고되었다. 4. 대상자의 구강 보건 지식은 65-69세가 70-79세보다 높게 나타났다. 구강 건강 행위는 65-69세가 70-79세와 80대 이상보다, 초등학교 졸업 이하보다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졸업 이상이, 월 평균 수입이 70만 원 미만보다 70-150만 원, 150만 원 이상이 더 높게 나타났다.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은 65-69세가 80세 이상보다, 초등학교 졸업 이하보다 고등학교, 대학교 졸업 이상이, 월평균 수입 70만 원 미만보다 70-150만 원, 150만 원 이상이 더 높게 나타났다. 구강 건강 관련 특성에서는 잔존 치아 수가 20개 미만보다 25개 이상이 구강 건강 행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서도 잔존 치아 수가 20개 미만보다 25개 이상이, 주관적 구강 건조감이 ‘마른 편’이라고 응답한 대상자보다 ‘보통’, '마르지 않은 편'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5. 대상자의 구강 보건 지식과 구강 건강 행위(r=.17, p=.029),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r=.25, p=.003)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구강 건강 행위와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r=.24, p=.002)도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6. 대상자의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구강 건조(β=-4.995, p=.00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농촌 지역 노인의 구강 보건 지식과 구강 건강 행위,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지만, 주관적 구강 건조감이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도구를 사용하여 객관적으로 구강건조를 측정한 결과, 평균 26.12±2.62로 구강 건조가 90명(76.9%), 타액 분비량 부족 22명(18.8%)이었으나 주관적으로는 구강이 건조하다고 느끼는 대상자는 43명(36.8%)로 약 1/3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는 노인의 구강 건조를 사정할 때 객관적 구강 건조를 확인 후 이에 대한 원인을 다면적으로 사정하고, 전신의 건강상태와 더불어 구강 건조를 유발하는 약물을 확인하고, 불필요한 약제 복용을 중단하도록 하는 등의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사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농촌 지역은 공공부문의 의료기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기 떄문에 구강 보건 교육을 활성화하고, 적절한 수분섭취와 과일, 채소 섭취 격려, 적절한 구강 보조용품 사용, 건조하지 않은 환경을 조성하고 비강 호흡을 격려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강 건조를 예방하여 궁극적으로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이 요구된다. ;This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aimed to analyze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t home in rural areas. A total of 117 elderly participants, aged >65 years, who live in 14 rural villages located in Wanju-gun, Jeollabuk-do,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ir oral-health knowledge and oral-health behavior, an oral-health knowledge tool and oral-health behavior tool, respectively were used.. Additionally, to examine the participant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Korean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14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tatistics version 22.0 software. For descriptive analyses,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oral-health knowledge in the elderly participants who live in rural areas was 4.67 ± 1.61 on a scale of 8 points. The mean score for oral-health behavior was 16.23 ± 4.12 on a scale of 30 points, and the mean score fo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42.40 ± 12.1 on a scale of 70 points. 2. Oral-health knowledg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al-health behavior (r = 0.175, p = .029)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 = 0.254, p = .003). In addition,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al-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 = 0.239, p = .005) was observed. 3.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nt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vealed that subjective oral dryness (β = −4.995, p =.001)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22.5% (F = 4.057, p < 0.001). In conclusion, this study report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al-health knowledge, oral-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owever,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subjective oral dryness. Although the participants had objective oral dryness, only one third of them felt it. Therefore, when nurses assess oral dryness in elderly pati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that can predict and prevent subjective oral dryness through objective figures. Finally, to improv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execute oral-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guidelines outlining interventions that can prevent oral dry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