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4 Download: 0

대학원 박사과정생의 학문적 사회화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Title
대학원 박사과정생의 학문적 사회화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Other Titles
A Concept Mapping Research on the Academic Socialization Experience of Doctoral Students
Authors
장은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안나
Abstract
본 연구는 박사과정생이 경험하는 학문적 사회화의 개념적 구조를 밝히고, 이를 기초로 학문 분야별 경험 차이와 학문적 사회화 과정에서의 학문 자본주의 영역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이를 위해 개념도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단계적 절차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박사과정생 2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아이디어 진술문 생성을 위한 면담을 진행하였고,그 결과 86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료학기 및 수료생 24명을 대상으로 유사성 분류와 문항평정을 진행한 뒤, 다차원 척도 분석과 군집 분석을 실시해 개념도를 제작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사과정생의 학문적 사회화 경험은 예비사회화-공식․비공식사회화-전문적사회화 단계로 구성되었다. 각 과정은 모두 2차원 상에서 예비사회화 5개, 공식․비공식사회화 7개, 전문적사회화 4개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개념도를 도츨하였다. 학문적 사회화 분석 결과, 박사과정생들은 전문적사회화 단계로 진행될수록 연구 자체에 대한 몰입과 지적탐구를 통한 정체성 형성보다 대학의 환경과 학계의 담론을 의식하고 이에 대처하는 개념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문 분야에 따라 학문적 사회화 경험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성순수, 연성응용, 경성순수, 경성응용으로 나누어 개념도를 분석하였다. 분야별 분석에서도 각 과정은 2차원으로 구성되었으나 개념도의 차원을 구성하는 축의 이름과 군집 명, 그리고 동의 정도에서는 미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연성순수 분야의 예비사회화 단계에서는 지도교수 영향력과 경제적 해결을 고려한 전공 선택이 두드러졌다. 공식․비공식사회화에서는 구성원들이 전공문화의 차이와 적응에 대해 명확하게 개념화하여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적사회화 단계에서는 연구 실적 및 성과를 추구하는 것과 연구자로서 학문적 정체성을 분리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성응용 분야의 예비사회화 과정에서는 진로변경을 기대하는 내용의 진술문이 단독 군집을 이루었고, 공식․비공식사회화 개념도에서는 다른 분야와 달리 전공분야 및 프로젝트에 대한 인식이 군집으로 나타났다. 구성된 진술문은 전공 분야가 시장 지향적으로 변화하거나 프로젝트 운영이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것으로 연성응용 분야 구성원들이 전공 변화의 핵심을 무엇으로 여기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전문적사회화에서는 가치관 형성과정에서 연구 수행과 역할 습득을 동일한 범주로 인식하고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성순수 분야의 경우, 예비사회화 군집 수가 가장 적게 나타났고(3개), 졸업 후 성취와 연구력에 대한 기대가 높게 나타났다. 공식․비공식사회화에서의 특징은 지적 탐구와 프로젝트 경험이 통합된 군집으로 나타났고, 해당 군집에 속한 진술문들의 동의 정도도 높았다. 이는 구성원들이 사회화 경험에 있어 연구의 실용성과 외부 자원을 지적 탐구와 동일한 영역으로 인식한다는 점을 나타낸다. 전문적사회화 단계에서는 다른 분야들에 비해 경성순수 분야의 박사과정생들이 진로 결정 과정에서 소속 학문 분야의 특성과 문화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성응용 분야의 개념도는 전반적으로 다른 분야에 비해 각 군집의 면적이 좁게 나타나 구성원들의 경험과 인식이 상대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비사회화에서는 경성순수 분야와 유사하게 독립적인 전문 연구자로서의 능력을 획득하는 것을 학문적 사회화의 핵심 경험으로 인식하는 양상을 보였다. 동의 정도 평정 역시 전공 분야의 전문성 확보를 기대하는 내용의 진술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공식․비공식사회화의 경험들은 다른 분야보다 경험 간 관련성이 깊고 동시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식․비공식사회화에서는 지적탐구 경험을 스펙 준비와 하나의 군집으로 분류하였고, 전공별 연구 환경에 차이를 조성하는 요소들을 명확히 개념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적사회화 개념도는 전체 집단 및 연성응용과 동일한 구성의 차원으로서 군집 간 배치와 군집 구성이 응용분야의 특성을 담고 있다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특징적인 것은 지도교수의 영향력을 의식하는 군집으로서 지도교수가 진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인식된다는 것이었다. 이렇듯 학문 분야별로 사회화 경험의 특성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사회화 경험은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것처럼 연성-경성, 순수-응용과 같이 이분법적 기준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실제로 학문적 사회화는 분야를 망라하고 유사한 궤적을 그리고 있었으며, 이러한 양상이 나타나게 된 중심에는 경성 및 응용 분야의 특성이 자리 잡고 있었다. 다시 말해 사회화가 개인과 환경의 경험적 상호 작용 과정 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학문 분야의 단일 특성보다 고등교육의 문화와 그 문화 형성에 영향을 주는 사회 전반의 지배담론이 포괄적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박사과정생들이 학문적 사회화 과정에서 학문 자본주의로 인한 고등교육 환경 변화를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이들의 학문적 사회화 경험을 관통하는 것은 자본화된 학문 문화와 대학의 변화임이 확인되었다. 학문 자본주의는 사회화 과정이 진행되면서 심화된 면모를 보였는데, 예비사회화 단계에서는 학문의 자본화와 관련된 진술문이 최종 진술문 16개 중에 4개(25%)에 불과했으나 공식․비공식 사회화 단계에서는 진술문 40개 중 18개(45%), 전문적사회화에서는 진술문 30개 중 14개(47%)로 증가하였다. 최종 진술문 중에 학문 자본주의 관련 내용의 진술문을 추출하여 개념도 상에 어떤 군집과 차원에서 진술문이 위치하고 있는지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사회화 개념도의 학문 자본주의 진술문은 총 4개로 현장 활용도가 높은 연구를 희망하는 태도, 국가사업에 참여할 기회 혹은 학비 해결을 기준으로 전공을 선택하는 것, 좋은 취업 조건을 만들기 위해 박사학위에 진학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차원과 군집을 포함하여 검토한 결과, 연구와 교육의 시장지향성 추구를 상징하는 학문 자본주의가 박사과정생들의 전공 선택 과정과 연구 지향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연성순수 분야의 진로 관련 기대 군집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식․비공식사회화 개념도에서는 재원의 여부에 따라 연구 환경이나 문화에 변화가 일어난다는 내용의 진술문들과 연구 분야의 상용화를 위한 기업과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진술문들이 학문 자본주의를 나타내는 군집에 포함되었다. 또한 프로젝트 운영이 전공 문화를 주도하고, 연구 성과 평가기준이 실적 혹은 프로젝트 운영 여부임을 인식하는 진술문들도 군집을 이루었다. 연성 순수 분야를 제외한 모든 학문 분야의 개념도에서는 차원 전체에 학문 자본주의 관련 진술문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연성순수 분야와 연성응용 분야의 경우 순수 학문을 지속할 수 없는 학계의 분위기에 대한 동의 정도가 높았다. 전문적사회화 개념도에서도 학문 자본주의 진술문이 모든 차원과 군집에 포함되어 있었다. 연구주제 선택 과정 군집은 연구주제 선택의 기준을 향후 진출하고자 하는 진로에 맞추려하거나, 참여하던 프로젝트 주제를 학위논문 주제로 선택하는 것, 프로젝트 수행으로 본인이 원하던 연구 주제를 선택하지 못하게 되는 내용의 학문 자본주의 진술문이 구성되었다. 이와 함께 특정 전공분야의 존폐와 같은 전공 위기로 인한 연구자 정체성 형성 영향, 평가를 중시하는 대학 전반의 문화로 인한 교수자의 역할 변화 인식의 경험들도 진로 선택 관련 군집에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체성 형성 관련 군집에는 실용성 있는 연구를 하는 연구자가 되어야 한다는 인식과 높은 평가 점수를 받기 위해 인용지수를 고려하여 투고하고, 연구실적에 압박과 부담을 느끼는 등의 내용의 진술문들이 구성되었다. 학문 분야별로는 연성순수 분야를 제외하고 모든 군집과 차원에 학문 자본주의 진술문들이 분포하였다. 연성분야에서 높은 동의 정도를 나타낸 진술문이 평가 중심의 학계 분위기와 전공 분야의 위기 인식이었으나 경성분야에서는 논문 실적과 성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 높은 동의 정도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박사과정생들은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상호작용하는 주체적 행위를 통해 연구자로 성장함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함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규명한 박사과정생들의 학문적 사회화는 그 자체로 학문 세계의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로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이들의 경험에서 도출한 사회화 과정 내 학문 자본주의의 영역은 오늘날 고등교육의 현주소를 가감 없이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박사과정생들의 사회화 경험이 전문적사회화 단계로 진행 될수록 대학의 환경과 학계의 담론을 의식하고 이에 대처하는 개념적 구성을 가지는 결과를 감안할 때, 본 연구는 변화된 고등교육 패러다임 안에서 학문적 사회화 과정 탐구의 중요성을 고찰하는 실질적 계기를 마련한 점에서 가치가 있다.;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academic socialization experienced by doctoral students, and to confirm the differences of experience by academic field and academic capitalism areas experienced during academic socialization based on the findings. To do so,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ncept mapping method. The study selected 22 doctoral students as participants and interviewed them to generate idea statements. 82 sentences were derived as a result, and accordingly, the study carried out similarity classification and question rating on completed semesters and 24 students, and created a concept mapping through a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study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socialization experience of doctoral students was divided into pre-socialization—official—unofficial socialization —professional socialization. Each process consisted of 2 dimensions with 5 pre-socialization clusters, 7 official and unofficial socialization clusters, and 4 professional socialization clusters in the concept map.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academic socialization, as doctoral students progressed into professional socialization stage, they had a conceptual composition of recognizing and responding to university environments and academic discourses rather than forming an identity by immersing in research and through intellectual exploration. Secon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academic socialization experience by academic field,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mapping by dividing it into Soft Pure, Soft Applied, Hard Pure, and Hard Applied. Even in field analysis, each process consisted of 2 dimensions and had little difference in the name of axis, cluster name, and the degree of agreement, which constituted the dimensions of concept mapping. To be specific, the students’ choice of major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academic advisors and financial solutions was especially noticeable in Soft Pure. For official and unofficial socialization, the members precisely conceptualized and perceived the differences and adaptations of major culture. For professional socialization, the doctoral students divided research performance orientation and the formation of researcher identity, separately recognizing the attitude of pursuing research performance or achievement as well as the roles and identity of a researcher. In the pre-socialization process of Soft Applied, the statement that the doctoral students were expecting to change their career constituted a single cluster, while the doctoral students highly tended to perceive the impacts of external resources in official and unofficial socialization concept mapping,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applied field. The result that the students experienced value formation and the research topic selection in various way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Soft field compared to other fields; however, the students’ academic goal to produce practical research outcome, coursework experience within the influence of external resources, and the experience of running project-centered research labs were all classification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Hard field. The Hard Pure had the lowest number of pre-socialization clusters (3), with high expectations for achievement and research ability after graduation. In official and unofficial socialization, clusters of intellectual exploration and project experience showed, and the degree of consent was high that the members perceived external resources of practical research performance in socialization experience. In professional socialization stage, the doctoral students of Hard Pure field, unlike other fields, were heavily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e of their academic field in career decision process. Since the area of each cluster was generally smaller than other fields in the concept mapping of Hard Applied, the memb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were relatively similar compared to other fields. In pre-socialization, students perceived the acquisition of ability as independent professional researchers was a major experience of academic socialization as similar to Hard Pure. The statement of expecting to secure expertise in the students’ major field had the highest score in the evaluation of the degree of agreement. The experiences of official and unofficial socialization had deeper relevancy and more simultaneity between each other than other fields. The students classified the experience of intellectual exploration into stats-building into the same cluster, and clearly conceptualized elements that made differences in a research environment for each major. The concept mapping of professional socialization was the dimension of the same composition with the entire groups and Soft Applied, and the inter-cluster arrangement and cluster composition were similar to Soft Applied, reconfirming the characteristic of Applied field. What was noticeable was that the cluster of perceiving the influence of academic advisors, as the students perceived their academic advisors as a factor affecting their career.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ization experience existed for each academic field, this research could not explain the socialization experience based on the dichotomous criteria of Soft Hard and Pure Applied as in the previous studies on academic fields. Rather, academic socialization had a similar trajectory in all field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ard and Applied in the center of similarity. Considering that socialization occurs in the experiential interaction process between an individual and an environment, the dominant discourse throughout society that affect the culture of higher education and its formation acted as the main variable, rather than the single characteristic of an academic field. Third, the study analyzed how doctoral students perceived the changes in a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due to academic capitalism during the academic socializat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a conceptual structure formed by changes in capitalized academic culture and universities penetrated their academic socialization experience. Academic capitalism intensified with socialization process; 4 out of 16 final statements were related to academic capitalization in the pre-socialization stage (25%), but the percentage increased to 18 out of 40 final statements in the official and unofficial socialization stage(45%) and 14 out of 30 statements (47%) in the professional socialization stage. Next, this study explored on which cluster and dimension the statements were located on the concept mapping by extracting the statement related to academic capitalism from the final statements. There were four academic capitalism statements in the pre-socialization concept mapping, consisting of the desire for research with high practical usability, choosing a major based on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national projects or to resolve tuition issues, and pursuing a doctoral degree to become a competitive candidate for employment. The results of reviewing dimensions and clusters verified that academic capitalism, which symbolizes the pursuit of market orientation in research and education, had an impact on doctoral students’ major selection and research orientation. Such tendency could be confirmed as the statements implying the students’ willingness to do research with high practicality were included in the cluster related to career-related expectations in Soft Pure. In official and unofficial socialization concept mapping, a statement saying that a research environment or culture change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financial resources, and a statement that cooperation with firms is needed to commercialize a research area was included in the cluster representing academic capitalism. Also, statements that a project operation leads the major culture and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of research performance recognizes a research achievement or project operation were clustered. In the concept mapping of all academic fields except Soft Pure, statements related to academic capitalism were distributed in all dimensions, and the degree of agreement with an atmosphere that pure academics could not continue was high in Soft Pure and Soft Applied. In the concept mapping of professional socialization, statements on academic capitalism were included in all dimensions and clusters. The cluster of research topic selection consisted of statements on academic capitalism such as fitting the criteria of topic selection to the career field to enter in the future, choosing the topic of a participating project as a dissertation topic, and not being able to select a desired research topic due to project execution. Along with this, the influence of the formation of researcher identity due to the major crisis such as the existence status of a specific major field, and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role changes of professors due to the entire university culture that stresses evaluation were also included in the career choice-related cluster. Lastly, the cluster related to identity formation included statements such as the perceptions to become a researcher who conducts practical research, submissions considering a citation index to receive high evaluation scores, as well as feeling pressure and burden on research performance. By academic field, statements on academic capitalism were distributed in all clusters and dimensions except Soft Pure, and the degree of agreement showed characteristics by each field. While the statements with a high degree of agreement were perceptions on evaluation-centered academia and the crisis of major areas in Soft field, psychological pressure on dissertation record and performance had a high degree of agreement in the Hard field. Doctoral students become researchers by perceiving their situations and roles and through the independent interactions with surrounding environments. This study showed that during this process, students are continuously affected by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capitalized higher education and tend to show a market-oriented attitude and identity regardless of their academic fields.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d how a financial and performance-oriented research environment and an academic atmosphere, which encourages the growth of practical fields, can influence the students’ socialization proces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reflection and efforts are needed to promote the balanced development of academics and to recognize and improve the impacts on students’ academic ident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