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3 Download: 0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전문성 형성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Title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전문성 형성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Forming Professionalism by School Counselors
Authors
이지원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characteristics of forming school counseling expertise experienced by school counselors. Through this, a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formation of speciality by area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was intended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As a research issue, I looked at the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of school counselors in the areas of reactive services, preventive service, and creating the system environment, and looked at how professionalism in the three areas affected and received each other. Twelve school counselors who were deemed to be specialized in school counseling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through a deliberate collection, an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were used. The study consisted of stories, presenting topics about the professional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experienced by participants in three areas. It also explored the relevance of three areas of expertise and presented an overall picture of the professionalism of school counselors The topics analyzed in each area were presented as stories based on the statements of participants, consisting of six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meaning and context-prerequisites for service performance/ contextual conditions affecting service expertise/ characteristics of services/ factors contributing to service expertise/ intentional strategies for professional performance of services/ results of efforts to perform services. First, 19 topics were analysed in the open coding process on the experience of professional formation in the reactive service area. Prerequisites for service performance were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to help students in the school system’ and ‘Providing counseling services for young adults'. The contextual conditions affecting the professionalism of reactive services were ‘Parents and teachers as cooperative helper', ‘Lack of understanding and practical opportunities for school counseing and aolescents’, and ‘Rise of ngative rcognition of cunseling and school counselo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ctive services were ‘Use of the school system and help solve individual problems by taking into account the systemic characteristics’ and ‘Providing developmental counseling based on multidisciplinary understanding of an adult student'.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professionalism of reactive services were ‘Internal motivation to develop consultation expertise',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counselors of school administrators’, ‘Experience of counseling supervision and feedback,’ ‘Self-help and self-preservation for prevention of consumption’ and ‘Continuous reflection on oneself and experience'. The strategies that were intentionally used for professional performance of reactive services were ‘Attempting diverse and flexible interventions using the school system', ‘Creat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arents’ and ‘Forming human and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students’. The results of the efforts to perform reactive services were 'Acquired expertise in counseling through practical school counseling experience', 'Enhanced understanding of oneself and others', 'Enhancing the ability to tailor-made intervention to suit case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system', and 'Enhancing resources within the system that promotes student growth'. Second, 18 topics were analysed in the open coding process for the experience of professional formation in the preventive service area and grouped into stories according to six categories. Prerequisites for service performance were ‘limited number of students receiving reactive services and difficulty in achieving tangible results’ and ‘The role of a teacher in addition to a counselor'. The contextual conditions affecting the professionalism of preventive service area were ‘Request of members for preventive services’, ‘Limits in single event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Lack of time and energy to conduct preventive services', The characteristics of preventive services were ‘Responsible for preventive functions by expanding the scope and the target of school counseling’ and ‘Promoting comprehensive development and growth of student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preventive education'. The factors that help preventative service expertise were analyzed under the main themes: ‘Activation of the network of counselors', ‘Appropriate and effective training and education opportunities', and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counselors’s awareness of the need for preventive service'. Intentional strategies used by participants for professional performance of preventive services were ‘Seeking to improve service quality through preparation, execution and evaluation process', ‘Applicating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members’ and ‘Pursuing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al structure'. The results of efforts to professionalize preventive services were ‘Enhancing know-how and confidence in preventive services through accumulation of experience', ‘Strengthening the location through visible performance throughout the school', ‘Preventive foundation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reactive services’ and ‘Creating positive school culture for students’ comprehensive development and growth'. Third, 14 topics were analysed in the open coding process regarding experience in the formation of expertise in creating the system environment. Prerequisites for service performance were ‘Organization of schools with systemic characteristics’ and ‘Multiple and difficulty in the role of counseling teachers required by the school system’. The contextual conditions affecting the professionalism were ‘Diversity of school systems according to school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and ‘Limits and difficulties caused by the vulnerable position in the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ng the system environment were ‘Communicating organically with members of the system while not being isolated’ and ‘Oroviding services that fit the system with students at the center'. The factors that help the professionalism of the system’s environment were ‘active helpers and supportive atmosphere within the system’ and ‘previous counseling or teaching experience is recognized as competent'. The main topics were ‘build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based on understanding the system and building trust with members’, ‘supporting one’s position while minimizing conflicts', and ‘notifying the activities and expertise of counselors in various ways'. As a result of efforts to create a professional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s environment, major themes were ‘Consulting in a cooperative atmosphere by recognizing the professionalism of counseling’ by the counselor, ‘Accepting recognition and support from members by providing services that fit the system’ and ‘Strengthening one’s identity as a school counselor‘. Fourth, after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areas of expertise by integrating all topics,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went through four stages: ‘Step of entry into a system’, ‘Step of system identification’, ‘Step of system adaptation’ and ‘Step of system utilization'. In this study, the expertise of professional counselors was classified into three areas: reactive services, preventive services, and creating the system environment, to identify unique expertise-building experiences and features in each area, and the integration of the three areas presented a comprehensive picture of school counselors' expertise. It can also be seen as a concrete strategy and direction for the expertise of school counseling to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urrently on duty, and can be used as materials for the school counseling curriculum for prospective school counselors. The discussion divided what was needed personally and policyally to develop expertise in each area through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strategies of the expertise in each area, and adde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문상담교사가 체험하는 학교상담 전문성 형성 경험과 특징을 영역별로 나누어 탐색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문상담교사의 영역별 전문성 형성에 대한 종합적인 그림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로 반응적 서비스 영역, 예방적 서비스 영역, 체제 환경 조성 영역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형성 경험과 특징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세 가지 영역에서의 전문성이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 살펴보았다. 학교상담에 대한 전문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전문상담교사 12명을 의도적 표집을 통해 선정, 면담하였고 질적 사례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각 영역별로 분석된 주제를 의미와 맥락에 따라 6개의 범주-서비스 수행의 전제 조건/ 서비스 전문성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조건/ 서비스의 특징/ 서비스 전문성에 도움을 주는 요인/ 서비스의 전문적 수행을 위한 의도적 전략/ 서비스의 전문적 수행을 위한 노력의 결과-로 구성하여 참여자들의 진술을 토대로 만들어진 이야기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반응적 서비스 영역에서의 전문성 형성 경험에 관한 개방코딩 과정에서 19개의 주제가 분석되었다. 반응적 서비스 수행의 전제 조건으로는 ‘학교 체제 속에서 학생을 돕는 학교상담자의 역할’과 ‘미성년자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이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반응적 서비스 전문성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협력적 조력자로서 부모와 교사 특성’, ‘임용전후 학교상담과 청소년기 내담자에 대한 이해 및 실습 기회의 부족’, ‘상담 및 상담교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 팽배’가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반응적 서비스의 특징으로는 ‘학교체제를 활용하고 체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의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준다는 것’과 ‘미성년자인 학생의 다면적 이해에 기초한 발달적 상담을 제공한다는 것’이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반응적 서비스 전문성에 도움을 주는 요인으로는 ‘상담 전문성을 발달시키고자 하는 내적 동기’, ‘학교 관리자의 상담교사에 대한 이해와 지지’, ‘상담 수퍼비전과 피드백의 경험’, ‘소진예방을 위한 자기돌봄과 자기보호’, ‘자기 자신과 경험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이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반응적 서비스의 전문적 수행을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한 전략으로는 ‘학교 체제를 활용한 다양하고 유연한 개입을 시도하는 것’, ‘교사 및 학부모와의 협력적 관계형성과 연계적 개입을 하는 것’, ‘학생과의 인간적‧치료적 관계형성’이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반응적 서비스 전문적 수행을 위한 노력의 결과로는 ‘실제 학교상담 경험을 통한 상담 전문성을 체득’,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가 증진’, ‘체제를 활용하여 사례 특성에 맞는 맞춤형 개입할 수 있는 역량 증진’, ‘학생 성장을 촉진하는 체제 내 자원 증진’이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로 예방적 서비스 영역에서의 전문성 형성 경험에 관한 개방코딩 과정에서 18개의 주제가 분석되었고 6개의 범주에 맞게 주제를 분류하여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예방적 서비스 수행의 전제 조건은 ‘반응적 서비스를 받는 학생의 수가 제한적이고 가시적 성과 도출이 어려움’과‘상담자 외에도 교사로서의 역할이 부여됨’이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예방적 서비스 전문성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예방적 서비스에 대한 구성원의 요구’, ‘단발성 행사와 교육 효과성에서의 한계’, ‘예방적 서비스를 진행할 시간과 에너지 부족’이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예방적 서비스의 특징으로는 ‘학교상담의 서비스 대상과 영역의 확대로 예방적 기능을 담당’과 ‘자발적 참여 촉진과 예방교육을 통한 학생의 종합적인 발달과 성장을 도모’가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예방적 서비스 전문성에 도움을 주는 요인으로는 ‘상담교사 네트워크의 활성화’, ‘적절하고 효과적인 연수 및 교육 기회’, ‘예방적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한 상담교사의 인식과 수용’이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예방적 서비스의 전문적 수행을 위해 참여자들이 사용한 의도적 전략으로는 ‘준비, 실행, 평가의 과정을 통한 서비스 질의 향상 추구’, ‘나의 상태, 필요 상황, 실시 대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용’, ‘구성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 촉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구성추구’가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예방적 서비스의 전문적 수행을 위한 노력의 결과로는 ‘경험의 축적으로 예방적 서비스에 대한 노하우와 자신감 증진’, ‘학교 전체에 드러나는 가시적 성과를 통해 입지 강화’, ‘반응적 서비스 효과 증진을 위한 예방적 토대 마련’, ‘학생의 종합적인 발달과 성장을 위한 긍정적인 학교 문화 조성’이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로 체제 환경 조성 영역에서의 전문성 형성 경험에 관한 개방코딩 과정에서 14개의 주제가 분석되었다. 체제 환경 조성 수행의 전제 조건으로는 ‘체제적 특성을 갖는 학교 조직’과 ‘학교 체제가 요구하는 상담교사 역할의 다중성과 어려움’이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체제 환경 조성의 전문성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학교의 내적‧외적 특성에 따른 학교 체제의 다양성’과 ‘체제 내 취약한 입지로 인한 한계와 어려움’이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체제 환경 조성의 특징으로는 ‘고립되지 않으면서 체제 내 구성원과 유기적으로 소통하고 관계맺음’과 ‘학생을 중심에 두고 체제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체제 환경 조성 전문성에 도움을 주는 요인으로는 ‘체제 내의 적극적인 조력자와 지지적인 분위기’, ‘이전 상담 경력이나 교직 경력이 유능성으로 인정됨’이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체제 환경 조성을 위한 전문적 수행을 위한 참여자들의 의도적 전략으로는 ‘체제 파악과 구성원과의 신뢰감 형성을 토대로 협력적인 관계 형성’,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자신의 입장을 옹호’, ‘다양한 방법으로 상담교사의 활동과 전문성을 알림’이 주요 주제로 분석되었다. 체제 환경 조성의 전문적 수행을 위한 노력의 결과로는 상담교사의‘상담에 대한 전문성이 인정되어 협력적 분위기가 조성됨’, ‘체제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구성원의 인정과 지지를 얻음’, ‘상담교사로서 정체성이 확고해짐’이 주요 주제로 도출되었다. 네 번째로는 모든 주제들을 통합하여 세 가지 영역별 전문성의 관계를 탐색한 결과 참여자들이 학교 체제에서 전문성을 발달시켜나가는 과정으로 ‘체제 진입 단계’, ‘체제 파악 단계’, ‘체제 적응 단계’, ‘체제 활용 단계’의 네 가지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세 가지 영역별 전문성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을 반응적 서비스, 예방적 서비스, 체제 환경 조성의 세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에서의 고유한 전문성 형성 경험과 특징을 규명하였고, 세 가지 영역을 통합하여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종합적인 그림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재 근무 중인 전문상담교사에게 학교상담 전문성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방향을 제시하고, 예비 전문상담교사를 위한 학교상담 교육과정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논의에서는 각 영역에서의 전문성 특징과 전략에 대해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각 영역에서의 전문성을 발달시키기 위해 개인적으로, 정책적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