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4 Download: 0

놀이와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Title
놀이와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child’s play and play-based learning
Authors
우혜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의 놀이와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고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 특별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의 만 3, 4, 5세 유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놀이와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가 구성한 교사용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연구대상자인 교사들의 일반적인 배경을 묻는 질문 5문항,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묻는 질문 19문항, 그리고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묻는 질문 28문항, 총 52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전반적으로 유아에게 있어서 놀이는 생활 그 자체이고 유아의 전인적 발달뿐만 아니라 행복을 도모하기 때문에 중요하고 의미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즐거움이나 긍정적 정서와 과정지향성이 가장 크게 두드러지는 놀이의 특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놀이를 촉진하는 요인에 관하여서 기관에서 유아가 놀이 중 접하는 환경(놀잇감, 놀이 시간, 놀이 상대, 놀이 장소/ 놀이 공간 등)에 놀이가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놀이를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성인들의 태도와 시선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렇기에 유아의 놀이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교사가 적절한 시점에서 적절한 정도로만 놀이에 개입해 놀이를 확장 시켜주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교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제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유아의 놀이는 구성놀이와 상상놀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놀이중심교육의 핵심이 유아를 중심으로 놀이와 배움을 적절하게 통합한 발현적인 교육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놀이중심교육의 계획 과정에 대해서 유아교사들은 유아의 흥미, 관심, 요구에 기초해 유아 중심적으로 계획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놀이중심교육 실행에 대해서는 교사의 과중한 근무 환경이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인식했으며 유아의 충분한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부분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놀이중심교육의 평가는 중요하며 자연스러운 환경 속에서 유아를 관찰하며 평가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놀이중심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 유아교사들은 관찰자의 역할이 가장 주된 역할이며, 유아의 놀이를 확장해주는 놀이지도자로서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놀이와 놀이중심교육의 정의와 개념을 교사가 충분히 이해하고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교사교육이나 연수 등)을 제공하고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교육을 기관이나 학부모를 비롯한 주 양육자에게도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유아교사들이 현장에서 실제로 겪고 있는 어려움으로부터 오는 부담을 해결해줄 방안을 모색해보아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셋째, 유아교사가 유아의 놀이에 적절한 관찰과 개입을 할 수 있도록 교육의 기회가 충분히 제공될 필요성을 시사하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general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hild’s play and play-based learn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overall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hild’s play? 2. What is the overall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play-based lear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28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working with 3- to 5-year-old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South Korea. A questionnaire for the research was created in order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general eneral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hild’s play and play-based learning. The questionnaire is containing 52 items in total: 5 items asking about the general backgrounds of the teachers, 19 items asking about the perception of teacher on child’s play, 28 items asking about the perception of teacher on play-based learn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genuinely considering child’s play as child’s life itself. Teachers believed that play is important not only because it assists a child to develop as a Whole Child, but also because it promotes child’s happiness. Teachers were considering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and process orientation as the most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play. Regarding the factors that promote play, teachers believed that child was most likely affected by the play environment which child encounter during play, such as toys, play time, play partners, play areas. Regarding the factors that interfere play, teachers believed that adult’s negative attitudes and perspectives on play were most likely affecting the child’s play. As the result, teachers believed that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an appropriate timing and amount to get involved in child’s play in order to support and expand child’s play. In addi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most frequently-happening play in the actual classroom was composition play and imagination play.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assumed that the core of play-based learning was the emergent education that properly integrated play and learning of child. About the planning process of play-based learning, teachers believed that planning should be based on child’s interest and needs. About the implementing process of play-based learning,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overwhelming work environment were the biggest difficulty in implementing play-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n implementing play-based learning wa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participate in play. About the evaluating process of play-based lear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ved that evaluation in play-based learning was important, and the best way to evaluate children was to observe within the daily classroom routine. In addition, teachers believed that the most important role of the teacher in play-based learning is the role of observer, along with the role of play leader who expands child’s play. Based on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ree implications. First of all, there should be enough support for teachers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n play and play-based learning in order for the teachers to exercise the proper play-based learning. Also, there should be an appropriate education about play and play-based learning not only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but also for the institution and the caregivers of the children. Secondly, there should be a proper solution for the difficulties that is derived from the overwhelming work environments and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Last but not least, there should be enough educational session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learn and practice the appropriate method of play observing and appropriate timing for intervention and involvement in child’s pl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