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실어증 환자의 동사 의미역 유형에 따른 의미역 선호도 및 동사 선택 정확도 비교
- Title
- 실어증 환자의 동사 의미역 유형에 따른 의미역 선호도 및 동사 선택 정확도 비교
- Other Titles
- Preference of Verb Thematic Role Assignment and Verb Selection Abilities in Persons with Aphasia
- Authors
- 신수현
- Issue Date
- 2020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성지은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erb selecting accuracy of aphasia patients with normal group by verb thematic role preference, thematic role type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can predict the aphasia sever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8 aphasia patients and 20 normal individuals who matched their age and years of education. In thematic role preference test, the preferred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calculated by chosen thematic role and converted into ratios(%). In verb selection test, the correct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calculated and converted into accuracy(%). Both are performed by two-way mixed ANOVA. To investigate what the fact can predict the aphasia severity,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ratio of thematic role preferences between the aphasia group and the normal group. For the ratio of thematic role preference, the ratios of theme role pre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instrument role.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hematic role pre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aphasia group preferred the instrument than normal individual.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accuracy of verb selecting task by thematic role type between the aphasia group and normal group. In other words, the accuracy of the aphasia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The verb selection accuracy according to the thematic role typ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verb selection accuracy by thematic role typ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phasia severity and verb selection accuracy by thematic role type. For the verb selecting task, the variable which best predicts the severity of aphasia was the theme role and it predicted aphasia severity by 74.5%.
It suggests that it was revealed that when two more argument matched with verb, it was dealt with based on the hierarchy of the thematic role. In addition, using thematic role by verb selection accuracy, especially theme role, should be considered for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r the aphasia group.;한국어 문장은 주로 서술어를 중심으로 한 통사구조이며, 주어, 목적어, 서술어, 보어 등 7개의 성분에 의해 표현된다(원해영, 2013). 이 때 문장 속에서 서술어, 즉 동사가 나타내는 관계의 대상을 논항(argument)이라고 하며, 논항이 서 술어와 갖는 의미적인 관계를 의미역(thematic role)이라고 한다(조명한 외, 2003).
실어증 환자의 언어 결함은 개인의 뇌 손상 영역과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이해와 표현 영역 전반에 나타나며, 연관, 인출, 규칙 실행 등과 같은 구어 상징 조작에서 어려움을 보인다(McNeil & Pratt, 2001).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어휘 인출(word retrieval)이다(Berndt et al., 1997; Zingeser & Berndt, 1990). 실어 증 환자들은 명사보다 동사에서 더욱 인출의 결손을 보였다(Hillis & Caramazza, 1991; Jonkers & Bastiaanse, 1998; Kim & Thompson, 2000; Williams & Canter, 1987; Zingeser & Berndt, 1990). 실어증 환자의 동사 산출은 논항에 관련된 의미 역의 의미 관계와도 관련이 있다(Thompson et al., 1997).
Thompson et al.(1997)은 실어증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동사 표현 연구 에서 논항 수가 증가함에 따라 동사와 논항 간의 수행력 감소를 보고했다. Sung (2016)은 한국어의 동사 논항구조에 따른 동사 산출 연구에서 실어증 환자가 3항 동사 산출에서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동사와 의미역 간 관계를 살 펴보는 연구에서 의미역은 동사와 매우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McRae et al., 2005). 이와 관련하여 Jeong & Sung(2018)은 실어증 환자 집단과 정상 성인 집단 에게 행위자, 대상 의미역에 대한 동사 산출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어증 환자 집단은 행위자 의미역에 관련한 과제에서 더 낮은 정반응률을 보였다. 그러나 의 미역과 동사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 중, 대상과 도구 의미역에 관련한 연구는 전무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동사 제시 후 선택한 대상, 도구 의미역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두 의미역 간 위계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실어증 환자들의 의미역 유형(대상, 도구)에 따른 동사 선택 정확도, 실어증 중증 도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연령 및 교육년수를 일치한 정상 성인 20명과 실어증 환자 18명이었다. 대상자에게 글자로 제시된 동사를 본 뒤 가장 연관이 깊다고 생 각하는 의미역을 선택하는 의미역 선호도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제시된 의미 역(도구, 대상) 어휘를 보고 가장 적절한 동사를 선택하는 동사 선택 과제를 실시 하였다. 의미역 선호도 과제는 대상자가 택한 경향성을 빈도로 측정하여 비율(%) 로 환산하였으며, 동사 선택 과제는 대상자가 정반응한 항목을 백분율(%)로 산출 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역(대상, 도구) 선호 비율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의미역(대상, 도구) 제시 유형에 따른 동사 선택 정반응률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이원 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의미역 제시 유형에 따른 동사 선택 과제에서 실어증 의 중증도를 예측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 및 단계 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동사 제시 후 의미역 제시 유형(대상 VS 도구)에 따른 선호도 비율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각 의미역 선호도 비율에 따른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대상, 도구 의미역에 관한 선호에 대하 여 그 차이가 유의하였다. 대상 의미역이 도구 의미역보다 선호도가 유의하게 높 았다. 의미역 선호도 비율에 대한 집단 간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의미역 유형에 따른 동사 선택 과제에서 실어증 환자 집단과 정상 성인 집단 간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미역 제시 유형에 따른 동사 선택에 대한 주효 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각 집단의 의미역 제시 유형에 따른 동사 선택 수행력 간 이차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실어증 중증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은 대상 의미역으로 약 74.5%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실어증 환자와 정상 성인 모두 대상 의미역을 도구 의미역보다 선호하였고, 이는 선행 연구들과 일치한다. 그 원인으로는 하나의 논 항에 하나의 의미역이 들어가야 할 때, 한국어의 의미역의 위계에 입각하여 선택 하기(박철우, 김종명, 2005) 때문이다. 현 의미역 위계에 따르면 대상 의미역이 도 구 의미역보다 높은 위계에 위치한다. 따라서 두 집단 모두 대상 의미역을 도구 의미역보다 더 선호하였다. 동사 선택 과제 간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이는 동사 이름대기 과제에서 실어증 환자가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Sung, 2016)의 결과와 일치한다. 실어증 중증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은 대 상 의미역으로, 약 74.5%의 예측력을 보였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