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7 Download: 0

한국어와 러시아어 형상성 분류사 대조 연구

Title
한국어와 러시아어 형상성 분류사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Contrastive Study of Korean and Russian Shape Classifiers : Focused on the correspondence relation
Authors
SAKHABUTDINOVA, LUIZA ZOIROVNA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전혜영
Abstract
본고는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수사 체계와 수 분류사의 상관관계를 살피고 형상성 분류사의 사용 양상과 의미 확장을 통해 형상성 분류사를 재조명하는 연구이다. 형상성 분류사의 통사·의미론적 특성을 다루면서 한국어 형상성 분류사의 목록을 재검토하여 러시아어를 다분류사 언어로 논의한다. 한국어 형상성 분류사 중에 구체명사, 추상명사와 실현되는 분류사가 있는데 이를 특정 분류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형상성 분류사가 명사 분류사와 특정 분류사의 성격을 띤다고 보고 있다. 본고에서는 형상성 분류사 중에 생산성이 높은 분류사, 특정 분류사, 명사 분류사의 성격을 띤 분류사가 있다는 점을 한국어 분류사의 특성으로 주장한다. 기존 논의에서는 한국어가 분류사 언어로 다루어져 온 반면에 러시아어는 비분류사 언어로 논의되어 왔다. 비분류사 언어에서는 분류사가 적게 나타나거나 실현되지 않는다고 주장되어 왔으나 본고에서는 비분류사 언어로 여겨져 온 러시아어에서 한국어 형상성 분류사의 등가(equivalent)를 제시하여 양 언어 형상성 분류사의 대응 관계를 살폈다. 형상성 분류사의 특성상 분류사가 구체명사뿐만 아니라 추상명사와 결합을 할 수 있는데 이는 형상성 분류사의 의미 확장을 통해 설명할 수 있으며 분류사의 이러한 사용을 인간의 인지 체계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 장에서는 연구 목적, 연구 대상과 방법을 설명하면서 분류사에 관한 각 언어의 선행 연구를 기술했다. 한국어와 러시아어 형상성 분류사의 범주화에 대한 연구를 정리하면서 양 언어 문법에서 분류사의 위상을 살폈다. 선행 연구를 검토한 결과, 분류사의 명칭, 기능, 하위유형, 기원에 관한 논의가 대다수였다. 1차원적, 2차원적, 3차원적 분류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1차원적 형상성 분류사로 [길고 가늚]의 자질을 갖는 ‘가닥’, ‘가락’, ‘개비’를 선정하고, 2차원적 형상성 분류사로 [얇고 평평함]의 자질을 갖는 ‘장(張)’, ‘매(枚)’, ‘닢’을 제시했다. 3차원적 형상성 분류사의 경우 [동그랗고 작음]에 따른 ‘알’, ‘톨’, ‘방울’괴 [모남]에 따른 ‘모’를, 보편적 분류사로 ‘개(個)’를 택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과 『러시아어 대사전』에서, 각 언어 형상성 분류사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 용례를 추출했다. 양 언어 사전에서는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형상성 분류사가 수량을 세는 단위로 다루었는지를 확인했다. II 장에서는 분류사의 개념을 정의하면서 분류사의 하위범주와 기능을 다루었다. 분류사의 하위범주로 명사 부류, 명사 분류사, 수 분류사, 소유 분류사, 관계 분류사, 동사 분류사, 처소 분류사, 화시 분류사, 일치적 분류사, 술어 분류사, 내적 위치 분류사가 있다. 이 외에도 수 분류사의 형태·통사론적과 의미론적 특징도 살폈다. 의미론적 특징으로 수사의 분포와 집합성에 따른 기능, 가산성 및 수 분류사의 수량화 기능, 의미 자질에 따른 의미적 부류 및 수 분류사의 부류화 기능을 제시할 수 있다. III 장에서는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수사와 수량사구를 살폈다. 양 언어 수사 체계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품사체계, 기능, 하위유형을 검토하였다. 한국어와 러시아어에서는 수사가 양수사와 서수사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양 언어 수량사구의 통사적 구성도 다루었다. 개별 언어의 복수 표지가 분류사 실현 여부와 관련이 있는데 이를 밝히기 위해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단수성과 복수성 자질을 논의하였다. 한국어 부류성 분류사의 하위유형을 언급하면서 수사와 분류사의 관용적 특징도 알아보았다. 수사 ‘하나’가 수량사구에서 형상성 분류사, 명사와 결합하면서 관용표현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IV 장에서는 한국어의 1차원적 형상성 분류사, 2차원적 형상성 분류사, 3차원적 형상성 분류사, 보편적 분류사와 이에 대응하는 러시아어 형상성 분류사를 고찰하였다. 양 언어의 형상성 분류사와 형상성 분류사가 결합하는 구체 사물과 추상 사물을 검토하면서 사용 영역을 확인했다. 분류사가 명사 지시 대상과 호응 관계를 나타나고 일대일, 일대다, 다대일의 관계를 보였다. 한국어 형상성 분류사 중 러시아어 등가(equivalent)가 실현되지 않는 분류사도 있었다. 한국어의 형상성 분류사로 볼 수 있는 단어로 1차원적 형상성 분류사로 ‘줄기’와 ‘갈래’를, 2차원적 형상성 분류사로 ‘조각’을 제시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형상성 분류사의 지시 대상 확대를 설명했다. 맥락과 사용 분포에 따라 형상성 분류사가 보편적 분류사 ‘개’로 대체될 수 있는데 이때 의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지시 대상과의 결합 양상에 따라 형상성 분류사 간에도 상호 대체가 가능한데 이에 근거하여 형상성 분류사 중에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높은 분류사와 그렇지 못한 분류사를 도출했다. V장은 결론으로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고 논문의 의의와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and Russian word class system and the number classifiers, and re-examines the shape classifiers by expanding their use patterns and meanings. While dealing with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classifier,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list of the shape classifiers in Korean to claim Russian as a multi-classifier language. Among the Korean shape classifiers, there are classifiers that appear with concrete nouns, abstract nouns, and that can be called specific nouns. This study deals with the fact that Korean shape classifiers can show the characteristics of noun classifiers and specific classifiers. Frequently, the shape classifier combines with a small number. This research claims that the existence of classifiers with high productivity, specific classifiers, and noun classifiers among shape classifiers can b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lassifiers. In the previous literature Korean has been discussed as a classifier language, while Russian has been discussed as a non-classifier language. It has been argued that there are few or no realizations of classifiers in non-classifier languages, but this paper examines the correspondence of the shape classifiers of both languages by presenting the equivalence of Korean semantic classifiers in Russian, which has been regarded as non-classifier language. Due to the nature of the shape classifier, the classifier can be combined with abstract nouns as well as concrete nouns, which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meaning of the shape classifiers, and this use of the classifiers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human cognitive system.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described previous research in each language on classifi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ubjects and methods of the study. In summarizing the study of the categorization of Korean and Russian shape classifiers, the chapter examined the status of classifiers in both language grammar system. As a result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most of the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the name, function, subtype, and origin of the shape classifier. The list of shape classifiers were used as a subject of the study. The 가닥, 가락, 개비 with the features of [long and thin] were selected as the one-dimensional shape classifier, and 장(張), 매(枚), 닢 with the features of [thin and flat] were selected as the two-dimensional shape classifier. In the case of a three-dimensional shape classifier, 알, 톨, 방울 with the features of [round and small] and 모 with [angular] features are referred. Universal classifier 개 is included to the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examples of the shape classifier and count words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Korean National Language Institute Standard Korean Dictionary”and "Russian Dictionary”. It was confirmed that the shape classifiers covered in this study were used as units for counting quantities. In Chapter II, the classifier was defined, and the subcategories, functions were examined. The subcategories of classifiers including noun categorization, noun classifiers, numeral classifiers, possessive classifiers, relational classifiers, verb classifiers, locative classifiers, deictic classifiers, concordial classifiers, predicate classifiers, and intra-locative classifiers were discussed.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number classifier were also examined. Functions of distribution and collectivity of numerals, countability and quantification function of the numeral classifier, semantic class according to semantic features, and classification function of numeral classifier were analyzed as semantic features. Chapter III examined the numeral and quantity expressions of Korean and Russian. The world class system, functions, and subtypes were review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both language numeral systems. In Korean and Russian, the numeral was common in having a qualitative and cardinal numerals. The syntactic composition of both language quantity expressions was also covered. Plural markers of individual languages are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classifiers. To clarify this, the singularity and pluralities of Korean and Russian were discussed. While referring to the subtypes of Korean classifiers, the chapter also dealt with the idiomatic characteristics of numerals and classifiers. The chapter studied the case where the numeral ‘one’ is used as an expression of idioms in combination with a shape classifier and a noun in a quantity expression. Chapter IV looked at Korean one-dimensional shape classifiers, two-dimensional shape classifiers, three-dimensional shape classifiers, universal classifiers and corresponding Russian shape classifiers. The domain of use was identified by examining the concrete and abstract objects that can combine with shape classifiers of both languages. The classifier showed a correspondence with the noun indication object and showed a one-to-one, one-to-many, and many-to-one relationship. Some Korean shape classifiers do not have Russian equivalents. In addition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words that can be seen as a Korean shape classifier are suggested to be 줄기 and 갈래 as a one-dimensional classifier, and 조각 as a two-dimensional classifier. Through this process, the classified entities of the shape classifier were explained. Depending on the context and the distribution, the shape classifier can be replaced by the universal classifier 개. It is possible to substitute each other among the shape classifier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pattern with the subject, and based on this, a relatively high-productivity classifier and a classifier with no productivity were derived. In conclusion, chapter V summarized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and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future tasks of the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