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4 Download: 0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지문 코퍼스의 명사 연어 분석

Title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지문 코퍼스의 명사 연어 분석
Other Titles
A Corpus-based Analysis of the Noun Collocations in th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Native Corpus
Authors
김유미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우리나라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EFL 환경에서는 학교 영어교육이 영어 학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영어교육 현장에서 교과서가 학습의 주요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들을 통해 영어교육 문제 해결과 개선이 필요하다(권인숙, 2004; Kim, 2004). 영어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기본 어휘 목록을 기반으로 개발되기 때문에 교과서 내용이나 어휘 선택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과서 검정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여 영어 교과서의 어휘에 대해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고광윤, 박정준, 2007; 권인숙, 2004; 민수정, 정보현, 2012; 신창원, 2017; 윤현숙, 2009; 이소영, 이현우, 2019). 한편 어휘는 개별적으로 학습하는 것보다 다른 어휘와 결합한 연어의 형태로 학습하는 것이 어휘 활용에 있어 효과적인데(김낙복, 2019; Hill, 2000; Nation,2001; Pawley & Syder, 1983; Shin, 2006), 연어의 중요성에 비해서 교과서의 연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교과서에 제시된 연어를 원어민 코퍼스와 비교하여 실제성을 분석한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읽기 지문 코퍼스와 COCA에 제시된 연어를 비교 분석하여 교과서에 원어민이 자주 사용하는 연어가 제시되고 있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과서 코퍼스와 원어민 코퍼스의 연어를 비교하기 위하여 고등영어, 영어Ⅰ, 영어Ⅱ 3종 교과서 총 30권의 교과서 읽기 지문으로 구성된 186,905단어의 교과서 코퍼스를 구축하였고, 비교 코퍼스인 원어민 코퍼스로는 1,001,610,938 단어로 이루어진 COCA를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을 명사 연어로 한정하여 교과서 코퍼스에서 고빈도 명사 상위 10개를 추출한 후 COCA에서 대상 명사와 결합하는 명사, 형용사, 동사 연어 패턴의 연어를 빈도수 기준으로 명사당 25개씩을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선정하였다. 선정한 분석 대상 연어가 교과서 코퍼스와 COCA에 제시된 빈도수를 연어 패턴별로 분석한 후 두 코퍼스에 제시된 연어의 빈도와 패턴별 차이를 알아보았다. 교과서 코퍼스와 원어민 코퍼스에 제시된 명사 연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첫째 전반적으로 원어민 코퍼스에 비해 교과서 코퍼스의 연어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석 대상 연어가 원어민 코퍼스보다 교과서에서 더 높은 비율로 제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두 코퍼스의 명사 연어의 품사 조합 패턴별 빈도수를 조사한 결과 V+N과 A+N, N+N 세 패턴 모두에서 교과서의 빈도수가 더 높았다. 특히 A+N 패턴의 연어는 교과서 코퍼스에서 빈도수가 현저하게 높은 편이었는데, 이는 원어민 코퍼스에 비해 교과서에서 A+N 연어 패턴이 자주 제시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명사별 연어의 빈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교과서 코퍼스의 연어 빈도가 COCA보다 높은 반면 제시된 연어 표현의 수는 더 적게 나타났으며 교과서 코퍼스에 제시된 연어가 원어민 코퍼스의 최상위 빈도 연어에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과서 코퍼스의 명사 연어는 다양성은 부족하지만 동일한 연어가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특징이 있음을 보여 준다. 넷째, 명사별 연어의 빈도에 연어 패턴별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본 결과, N+N 패턴은 두 코퍼스 모두에서 빈도수가 가장 적었으며, A+N 패턴의 연어가 두 코퍼스 모두에서 빈도수가 가장 높았다. 한편 A+N 패턴의 연어는 COCA에 비해 교과서 코퍼스에서 빈도가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연어 표현의 개수는 교과서 코퍼스에서 더 적은 편이었다. 이는 명사 연어 전체 분석 결과와 같은데, 명사별로 동일한 연어 표현이 반복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다양성이 부족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과서와 원어민 코퍼스에 나타나는 명사 연어를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를 통해 교과서 코퍼스에서 특정 명사의 연어가 더 자주 반복적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A+N 패턴에서 두드러졌다. 그러나 원어민 코퍼스의 연어 중 교과서에 제시되지 않은 연어가 많고 교과서 연어가 COCA의 최상위 빈도 연어에 편중된 경향이 있다는 분석 결과는 교과서에 원어민이 자주 사용하는 연어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 않아서 교과서 지문을 통해 원어민이 사용하는 다양한 명사 연어에 학생들이 노출되는 기회가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eatures of noun collocations used in th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English Curriculum with those in COCA. The textbook corpus was constructed with 186,905 words from the reading passages of 30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in three high school English subjects: High School English, English I, and English II. For a comparative study with a native English corpus, COCA, which consists of 1,001,610,938 words, was selected. Prior to choosing collocations for the research, the 10 most frequent nouns were extracted from the textbook corpus. With these 10 nouns, 25 noun collocations in V+N, A+N, and N+N patterns for each noun were extracted from COCA. To analyze the frequency of the noun and noun collocations in the textbook corpus, AntConc software was used, and the frequency of noun collocations in COCA was analyzed on COCA websites. To compare the frequency of noun collocations identified in the textbook corpus and COCA, which are quite different in size, the frequency of the nouns and noun collocation analyzed in each corpus was standardized to the frequency per one million words. Then, the standardized frequency of the noun collocations in the textbook corpus and COCA was compared and examined by three collocation patterns, V+N, A+N, and N+N, to explore differences in frequency by noun collocations and collocation pattern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noun collocations used in the textbook corpus is larger than that of COCA. In other words, noun collocations are used more frequently in the textbook reading passage corpus than in the native English corpus. Second, concerning the noun collocation patterns of the textbooks, all V+N, A+N, and N+N patterns are relatively more frequent compared to COCA. Especial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A+N pattern between the two corpora. Third, in comparing the use of noun collocations of each of the 10 nouns, the textbook corpus presents a larger amount of noun collocations than that of COCA while the number of collocation types displayed in the textbook corpus is limited compared to that of COCA. More specifically, the most frequent collocation types of each noun are mostly displayed in the textbooks whereas the less frequent types are not fully used in the textbooks. In other words, the textbooks display more frequent collocations in COCA while less frequent ones are not fully included. The analysis of collocation diversity reveals repeated occurrences of a small number of the noun collocations in the textbook corpus. Finally, the A+N pattern of collocations occurred most frequently and the N+N pattern appeared least frequently in both textbook and native English corpus. In comparing the frequency of A+N patterns, that of the textbook corpus is higher but in comparing the types of noun collocations, COCA shows a higher diversity of A+N pattern collocations. This result shows the lack of diversity in noun collocations in the textbook reading passag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textbook corpus has a high frequency of limited types of noun collocations, which means a low diversity of noun collocations. This suggests that textbooks include more diverse types of collocations that native English speakers frequently use. It is recommended that a collocation guideline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the construction procedure of English textbooks. This can lead to enhancing the authenticity of the textbooks in terms of collocations they contain. In conclusion, developing and providing collocation guidelines for the English textbook construction procedure could help students get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more authentic collocations through the textboo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