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6 Download: 0

실재와 가상의 간극

Title
실재와 가상의 간극
Other Titles
The Gap between the Reality and Virtuality: Focused on My Mirror Paintings
Authors
송지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덕현
Abstract
오늘날에는 테크놀로지 발전의 영향으로 각종 미디어와 인터넷 기반의 플랫폼 등을 통해 수많은 이미지들이 생성되고 재생산된다. 이미지들의 범람에 따라 우리의 일상은 실재(Reality)와 가상(Virtuality)이 혼재되어 그 구분이 모호해졌으며, 이러한 현상은 인간의 사고체계에도 많은 변화를 발생시켰다. 본인은 이 실재(實在)를 본질적인 존재에 해당하는 궁극적인 개념으로, 그에 반해 가상(假想)은 가시적이지만 실체는 없는 개념으로 본다. 이는 본인 작업의 중심 사유로서 이 논문에서는 본인의 일련의 작업을 토대로 이처럼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실재와 가상이라는 복잡한 층위의 문제 속에서 발견하게 되는 불완전한 환영성에 대한 질문을 시작으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에 의한 지각체계의 혼란을 살펴보며, 실재와 가상 간의 간극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인은 실재를 완벽하게 복제한 것과 같은 착각을 일으키는 거울의 표면에 주목한다. 그리고 ‘실제 대상’과 ‘거울상’이라는 관계로부터 실재와 가상의 문제를 읽어내고 그 사이의 간극을 분석한다. 또한 여기서 발생되는 표면의 문제를 회화의 형식적인 측면으로 연결, 회화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질문하려 한다. 즉 이 논문은 본인의 ‘거울회화’라는 회화적 장치를 매개로 현대의 가상과 실재 사이에서 혼돈된 주체와 회화의 형식, 그리고 시간성에 대한 사유를 담아내려는 것이다. 본인은 우선 우리가 신뢰하고 있는 현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본론의 첫 번째 장에서는 거울의 구조적인 특성과 표면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내부와 외부의 공간을 조명, 현실과 가상의 모호한 경계에 대해 질문을 시작한다. 또한 거울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거울상, 즉 재현된 환영으로서의 이미지와 그 불완전성을 분석하며, 실재와 가상 간의 차이를 탐구한다. 이러한 측면을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의 시뮬라크르(Simulacre) 이론으로 확장하여 분석하며 그 의미를 탐구한다. 본론의 두 번째 장에서는 표면의 문제를 회화의 2차원적 평면성에 대한 문제로 논의를 확장, 불완전한 환영과 눈속임의 한계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바라보는 주체의 외부적인 시선과 인식의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며 작품 외부 관객의 의미와 그 역할을 분석한다. 이는 조르조 아감벤(Giorgio Agamben, 1942~)의 스페키에스(Spécĭes)적 존재라는 개념과 거울 작업을 전개하는 작가 미켈란젤로 피스톨레토(Michelangelo Pistoletto, 1933~)의 작품을 살펴보며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론 세 번째 장에서는 앞 장의 이론과 작품들을 배경으로 본인의 거울회화 작품 분석을 시도하며 실재와 가상의 간극에 대한 연구를 이어나간다. 본인은 캔버스에 물감 층을 수없이 반복하여 중첩시키는 수행적 태도로서 거울회화를 제작한다. 이 과정에서 색채의 깊이와 작품 표면의 투명성, 반사성 등을 통해시간성의 개념이 발생한다. 거울회화에는 작품 외부의 형상이 비치는데 이를 공간의 시각적 수용이란 층위에서 바라보면 그림이라는 (작가의) 과거적 시간과 감상자의 현재적 시간 간에 간극이, 그리하여 시간의 경과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작품을 이브 클라인(Yves Klein, 1928~1962)의 모노크롬(Monochrome) 회화와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r, 1932~), 바이런 킴(Byron Kim, 1961~) 등의 작품과 비교하며 심화 분석한다. 또한 본인 작업의 다른 계열로서 청사진(Cyanotype)과 바니타스(Vanitas) 정물화라는 전통적 형식의 맥락에서 회화의 재해석을 시도한다. 본 논문에서는 거울회화라는 회화적 장치를 매개로 회화 속 실재와 가상이 교차하는 지점을 바라보고, 그 간극을 읽어내려 한다. 즉 작품 속에 재현된 이미지와 이를 바라보는 실재 간의 불일치, 지나간 과거의 흔적으로서의 거울 회화와 그것을 바라보는 감상자의 시간 간의 간극을 가시화하며 시간의 경과를 사유하려는 것이다. 나아가 회화의 본질에 관해 질문하고 그 확장 가능성을 연구하며, 실재와 가상이 혼재되어 있는 현실에 대한 의문과 지각 체계의 혼란을 조명, 오늘날 보여지는 견고한 형상 너머의 세계와 유한한 우리 존재에 대한 사유를 시도한다. ;Under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countless images have been created and reproduced today through various media and Internet-based platforms. Situated in the overflow of imag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ality and Virtuality has been blurred, and are rather mixed together now in our daily life. Such a phenomenon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 human thought system, as well. Here, the researcher conceptualizes the Reality as the ultimate that corresponds to the essence of being; the Virtuality as the visible yet unsubstantial. Rendering these concepts as pivotal rationnels to the Researcher’s series of works, this paper poses a question and discusses the incomplete illusion that contemporanians would encounter in the complex layers of the Reality and Virtuality. The paper also examines a chaos in our perception system induced from such experiences, and explor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Reality and Virtuality. The researcher pays a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urface of mirror, which illudes a sense of a complete reproduction of the Reality.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object’ and the ‘mirrorred image’, the researcher reads and anlyzes the matter of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ity and Virtuality. Connecting the notion and effects of surface to formal aspects of painting, the researcher also probes the new possibilities of painting. Mediated through the researcher’s own pictorial device called ‘Mirror Paintings’, the paper aims to capture the thoughts on subject, temporality, and forms of painting that are convoluted in between the Reality and Virtuality of the contemporary era. The researcher primarily casts doubt on the Reality as we see and believe in. In the first chapter, the ambiguity of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ity and Virtuality is questioned by illuminating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that are formed arou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surface of mirrors. Analyzing mirrored images gene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mirror, i.e., the reproduced illusion, as well as its incomplete nature, this chapter explor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ity and Virtuality. Such analyses and exploration on signification expands to Simulacre theory of philosopher Gilles Deleuze (1925~1995). In the second chapter, the researhcer’s discussion on surface extends to the two-dimensional planarity of painting, based on which the limitations of incomplete illusion and deception are investigated. The chapter also contains the studies on the possibility of a subject's external gaze and perception, with analyses on the signification and role of the beholders outside the works. The studies and analyses ar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existence as spécĭes” of Giorgio Agamben (1942~), and the works of Michelangelo Pistoletto (1933~), an artist who had developed a series of mirror-themed works. Continuing the research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ity and Virtuality into the third chapter, the researcher analyzes her own works based on the theory and works scrutinized in the previous chapter. The researcher creates her Mirror Paintings with performative practices of repeatedly overlapping paint layers on canvases. In the process of creation, the concept of temporality arises from the depth of color and the transparency and reflectivity of the surface of the works. The Mirror Paintings reflects the shape of the exterior; and viewing this phenomenon in consideration of the visual reception of space, a discrepancy between the past time (of the researcher’s) and the present time of the viewer arises, which altogether comprises a passage of time. Another series of the researcher’s works additionally attempts for painterly re-interpretations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forms, such as blueprints and Vanitas still life paintings. Those works ar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Monochrome paintings of Yves Klein (1928~1962), and works of Gerhard Richter (1932~), Byron Kim (1961~), and more. This paper observes the intersection of and read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Reality and Virtuality depicted in paintings, with the observation and reading being mediated through the researcher’s pictorial device called Mirror Painting. In the paper, the researcher ponders on the passage of time by visuali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age reproduced in her works and the Reality of beholding it; between the traces of the past captured in Mirror Paintings and the time of beholders. Furthermore, the researcher questions the essence of painting, explores its possibility of extensions; illuminates the doubts towards the reality where the Reality and Virtuality coexist, as well as the chaos in our perception system. With such attempts, the paper speculates the world beyond solid forms and finite existence we see and are tod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