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3 Download: 0

무용작품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연구

Title
무용작품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Dance Work 「Me, Natasha, and A White Donkey」
Authors
홍세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기숙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entire creative process of her dance performance「Me, Natasha, and A White Donkey」. Its purpose is to examine closely the procedures and processes of the poetic text of Baekseok's 「Me, Natasha, and A White Donkey」 being converted into dance language and created into a dance performance.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dance performances based on texts, the investigator found out that few studies investigated the creative process to figure out how poems were created into dance movements. The research began based on a need to recognize that a process was as important for its research value as a creative product. As for methodology, literature study was combined with practice-based research. The research proceeded ception → practice and choreography → performance on the stage → analysis of performance. Literature study covered the life and poetry of Baekseok and found six characteristics in his poems. The poet wrote poems in a colloquial and narrative style and used folksy poetic words, sensory words, emotional adjectives, postpositions, noun phrases, and narration in a colloquial form as his original expressive methods. Taking advantage of his own linguistic colors and style features, he created sensual poems even in daily language. The investigator made an inquiry into his poem 「Me, Natasha, and A White Donkey」, understood its poetic meanings in four characteristics including emotional adjectives, sensory words, postpositions, and noun phrases, and examined which elements could be converted into dance. The practice-based research covered the entire creative process of the dance performance 「Me, Natasha, and A White Donkey」 from conception to the stage. At the conception stage, the investigator set her intention for choreography and a topic for her performance 「Me, Natasha, and A White Donkey」 based on the four characteristics of the poem 「Me, Natasha, and A White Donkey」. At the practice and choreography stage, the investigator created a specific dance language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poem and used it to create her choreography and dance performance. Five ballet specialists that worked as a dancer and choreographer for ten years or longer participated in the stage along with the investigator. This process gave birth to the following dance language: first, the emotional adjectives and sensory words of the original poem were created into a dance language to express the speaker's feelings and emotional states. The textures of movements were formed to display heaviness and unstable lightness in a complex way; second, the postpositions that were used in a stylistically strange way in the original poem were created into a dance language to express conflicting elements. Changes to breathing due to postpositions caused changes to the rhythms and patterns of movements; third, the noun phrases used in the original poem, ‘~것이다’ and ‘~이다’ were created into a dance language to reflect the emotion of conviction inside the speaker. Passive and heavy movements expressing inner feelings were converted into active and light ones; and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oquial form in the original poem were applied to the style of choreography and the composition of the performance. The dancers made the original poem a part of themselves, thus converting their own senses and emotions into their unique dance language. Their dances were organized in an enumeration form, showing the aesthetics of free weaving and folding. The present study made an approach to poetry in a linguistic aspect and proposed a new method of choreography to create poetic words implying poetic meanings into sensual movement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 dancers took the initiative in the creative process through talks and discussions, and their creative experiences as a community will propose a new model for creative education for the fusion of poetry and dance for common people as well as dance experts and specialist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made an independent and sensuous inquiry into the meanings of poetry in a creative process and created individual emotions and inspirations into a unique dance language. The method of choreography and operation tried in the study will hopefully serve as a case in the creation of poetry into a dance text. The study will thus become a small stepping stone in the expanded scope of new methods of choreography and dance practice researches.;본 논문은 무용작품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의 작품을 포함한 전 창작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의 시텍스트가 어떠한 절차와 과정을 거쳐 무용언어로 변환되어 무용작품이 되었는지를 면밀하게 살피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시텍스트를 변환한 무용작품을 연구한 선행연구를 탐구하였고 시가 어떻게 무용동작으로 창조되었는지에 대한 창작과정을 연구한 것이 거의 없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창작의 결과인 작품만큼 그 과정 또한 중요하게 연구할 가치가 있다는 필요성을 가지고 본 연구를 하였다. 본 논문의 방법론으로 문헌연구와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설계 → 시 연구 → 작품구상 → 연습 및 안무 → 작품공연 → 작품분석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문헌연구에서는 백석의 생애와 시를 탐구하여 다음 여섯 가지 시의 특징을 발견하였다. 백석의 시는 구어형식의 서술방식을 띄고 있으며, 토속적 시어, 감각어, 감정형용사, 조사, 명사문구, 구어형식의 서술 등이 독창적인 표현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백석만의 언어적 색채와 문체적 특성은 일상언어를 활용하면서도 감각적인 시를 창조하였다. 본 연구자는 원작 시 「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를 탐구하였고 감정형용사와 감각어, 조사, 명사구문, 구어형식 등 네 가지 특징으로부터 시의 의미를 파악하고 춤으로 전환할 수 있는 요소를 탐구하였다. 그리하여 감각어와 감정형용사에서 움직임의 질감을 발견하고, 운율적인 조사의 활용에서 동작의 리듬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명사구문에서 움직임의 무게감을 느꼈으며 구어 형식의 서술구조에서 작품의 구성방식을 착안하게 되었다. 그리고 실기기반연구법을 통해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의 작품구상부터 공연까지 전 창작과정을 연구하였다. 작품구상단계에서는 시 연구에서 탐구한 시의 네 가지 특징을 바탕으로 무용작품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의 안무의도와 작품의 주제를 설정하였다. 연습 및 안무단계에서는 원작 시를 이해·해석하여 구체적인 무용언어를 창조하였고 이를 안무 및 작품구성을 하였다. 이 단계에는 연구자를 포함하여 5명의 발레 전공자가 참여하였다. 이들은 10여년 이상 활동한 무용수이자 안무가로 활동하였다. 본 연구자는 무용수와 대화와 토론을 통한 공동창작의 작업방식을 활용하여 무용수가 원작 시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체화하여 고유한 무용언어를 찾을 수 있도록 인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이 무용언어가 창조되었다. 첫째, 시의 감각어와 감정형용사는 매우 느리고 무거운 질감으로 담아낸 무용언어로 창조되었다. 둘째, 시에서 독특하게 활용하고 있는 조사는 동작의 분절과 높낮이에 순간적인 변화를 주었다. 셋째, ‘~것이다’,‘~이다’와 같은 명사구문은 소극적이고 무거운 동작에서 적극적이고 가벼운 동작으로 변화하게 하였다. 넷째, 서사적 서술을 지닌 시의 구어 형식은 안무구성에 적용하였다. 무용수들 각각의 고유한 춤을 나열한 구성은 작품에서 화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끊임없이 펼쳐내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시의 언어적 측면에서 접근한 안무법과 작업방식은 시어를 고유한 무용언어로 창조하고자 했던 안무의도가 작품에서 드러나게 하였다. 또한 각각의 고유한 무용언어로부터 완성된 춤은 각 무용수마다의 시가 되어 작품에서 본 연구자가 그리고자 했던 시의 풍경과 감성을 밀도감 있게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시텍스트를 무용작품으로 창작하는 과정이 원작의 시어가 지닌 색채와 시적의미를 몸에 담는 탐구의 과정이며, 이를 고유한 무용언어로 도출하는 창조의 과정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시를 기반으로 무용작품을 창작하고 그런 작품을 연구하는데 참고가 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에서 시도한 안무법과 작업방식이 시텍스트를 무용텍스트로 창작하는데 하나의 사례가 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