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5 Download: 0

도자 벽장식을 통한 시간의 시각적 표현

Title
도자 벽장식을 통한 시간의 시각적 표현
Other Titles
The Visual Realization of Time by Ceramic Wall Decoration
Authors
박은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시간은 모두에게 공평하게 주어져있다. 인간은 각자에게 주어진 시간 안에서 살아간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시간’이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대상을 시각화하고, 이미지화함으로써 시간의 ‘시각적 상징화’에 의의를 두었다. 시간에 대한 단상을 떠올리는 것은 연구자에게 중요한 일이자 영감을 주는 매개체이다. 시간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보이지 않는 커다란 흐름이다. 그 흐름은 우리의 주변을 감싸고 있지만, 그것을 눈으로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다. 다만 한 명의 주체로 그것을 느끼고 생각할 뿐이다. 수많은 점들이 모여 하나의 형태를 형성하듯, 한 인간의 내면은 수많은 순간들의 모임으로 인해 고유한 한명의 인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시간은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된다. 인간은 과거의 사건을 경험하고 그것을 기억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이 과거의 기억을 통해 인간은 미래를 유추해 볼 수 있는 지적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이것이 바로 ‘시간의식’이다. 시간의식을 통해 인간은 시간을 개념화하고 객체화된 대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으로 인해 만들어진 거친 질감을 도자 벽장식을 통해 구현한다. 벽장식은 실내공간의 분위기뿐만 아니라 건물의 내부와 외부에 조형미를 풍부하게 줄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는 인간의 감정과 미적감상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 요소로 실생활 속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반복적으로 만들어진 유닛들은 벽장식과 같은 타일(tile)로 기능하며 온전한 형태의 유닛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마모되고 변형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는 연구자가 느끼는 ‘시간의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오래된 건물이나 부서진 사물의 파편 등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균열같이 오랜 시간의 흐름으로 인한 외부 자극에 의해 얻어지는 질감들이다. 연구자는 이 이미지들을 통해 시간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자가 느끼는 ‘시간의 이미지’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거칠고 마모된 텍스쳐로 구현된다. 사물의 거친 표면을 복제하거나, 표면을 물리적으로 깎아내 거칠고 마모된 질감을 만들어내었다. 텍스처를 강조하기 위해 유닛의 형태를 기하학적 도형으로 단순화하였고, 각각의 작품마다 색안료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해 전체적으로 차갑고 채도가 낮은 색감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소성 중 기물 형태의 틀어짐을 적게 하기 위해 슬립(slip)에 알루미나(alumina)를 섞어 사용했다. 알루미나(alumina) 사용 시 비율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 한 후, 정확한 비율에 의해 작업했다. 본 연구의 과정을 통해 온전한 형태의 유닛이 점차 마모되는 과정을 텍스처로 나타내었을 때 시간의 흐름을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고, 동시에 거친 표면과 매끈한 표면이 극명한 대비를 이루어 서로의 형태와 질감을 강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을 통해 만들어지는 질감을 이미지화하여 도자 벽장식으로 구현한 것으로 다양한 텍스처를 활용하여 시간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하고자한다.;Time is given fairly to everyone. Humans live within the time given to each other. Through this study, I put significance on the 'visual symbolization' of time by visualizing and expressing the invisible object of 'time' through images. It's important to me to think of a single phase of time and it's an inspirational medium. Time is the unseen flow that surrounds us. Time is being around us, but we can't see and touch it. However, we can feel and think about it. Like many dots come together to form a shape, the inner side of a human forms a unique human by gathering of many moments. In this process, time effects importantly. By experiencing past events and remembering them, humans can indirectly feel the flow of time. Through this memory of the past, humans develop intellectual abilities that can infer the future by analogy, and this is 'time awareness'. By recognizing the flow of time, a human conceptualizes time and is accepted by an object.h This study embodies rough textures made by the flow of time through ceramic wall decorations. The wall decoration not only gives the atmosphere to the space but also has the ability to give a beauty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buildings. This is a spatial element that affects human emotions and aesthetic feelings, and has a lot of influence in real life. Repeated units function as tiles, such as wall decorations, and the intact form of units will appear worn out and deformed over time. These represent the usual ‘flow of time’ I feel, the textures obtained by external stimuli caused by long periods of time such as fragments from old building and broken objects. the goal is visually expressing the flow of time through the images ahead. The ‘image of time’ I feel is embodied in rough and worn texture using various materials. copying the rough surface of an object or physically sculpting the surface to produce a rough and worn texture. To emphasize the texture, the form of the unit was simplified into a geometric figure. Also, for each artworks, I used different amounts of chromatic pigments to express the atmosphere of cold and low chroma colors. After checking the size variations based on the amount of alumina, I used right amount of alumina for each artworks. Through the course of this study, we were able to intuitively communicate the flow of time in which the whole form of the unit gradually wears out in texture. And the rough and smooth surfaces were in stark contrast, which allowed them to emphasize each other's shape and texture. This study is an image of the texture produced through the flow of time and expressed in ceramic wall decoration. I would like to present it as a way of visually communicating the flow of time using various textur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