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병원형 Wee센터 이용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병원형 Wee센터 이용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Group Art Therapy for Ego-Resilience of Adolescent Attending Wee Center in Hospital
Authors
양수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형 Wee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자아탄력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사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경기도교육청에서 위탁 운영 중인 B시 L정신과병원 내에 위치한 병원형 Wee센터를 이용하는 6명의 청소년으로 여학생 4명, 남학생 2명이다. 사례는 2019년 10월 14일부터 2019년 12월 30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 1회 100분간 총 12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병원형 Wee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목표는 긍정 사고 및 정서 경험, 효율적 문제 해결 능력 향상, 인지 재구조화이며 이를 바탕으로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집단미술치료 전 과정을 녹음하여 전사한 축어록, 연구 참여자들의 사전·사후 면담, 병원형 Wee센터 사회복지사(관찰자)와의 사전·사후 면담, 연구 참여자들이 직접 작성한 질문지, 연구자의 회기 일지 그리고 작품 사진 등을 통해 이루어 졌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병원형 Wee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경험과 그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심층적인 탐구를 위해 축어록을 비롯한 수집된 자료를 반복해서 정독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유의미한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 경험을 개방코딩을 통해 범주화하여 정리하였다. 수집하여 분석한 자료는 총 5개의 상위 범주와 12개의 하위 범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집단미술치료 사례 경험의 상위 범주는 <나를 돌아보는 미술치료 작업에서 마주한 복잡한 마음>, <미술 작품 속에서 새로운 희망과 편안한 감정을 느낌>,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자원을 찾음>, <혼자서는 할 수 없는, 함께하는 행복을 느낌>, <나에게 희망을 안겨준 집단미술치료> 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원형 Wee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자아탄력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한 것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참여자들은 집단 내 참여자들과 친밀하고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또래 및 대인관계에서 겪었던 어려움을 해소하였다. 둘째, 자아탄력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참여자들은 자신의 감정을 스스로 조절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가지게 되었다. 셋째, 자아탄력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참여자들은 자신과 자신의 미래에 대해 낙관적으로 생각하며, 미래지향적이고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게 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자아탄력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한 병원형 Wee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찾은 자신의 내적 능력을 활용하여 그들의 어려운 상황을 탄력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참여자들은 과거에 호소하던 부정적인 정서를 긍정적으로 해소하고, 희망적인 미래를 기대하는 낙관적이고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는 정서·행동 고위험군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에 집단미술치료가 효과적인 작용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perience that adolescent attending wee center in hospital experience through a group art therapy for the ego-resilience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were four female and two male adolescent attending wee center in L mental hospital in city B. Twelve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were conducted once a week, 100 minutes per session from October 14th to December 30th of 2019. The objective of this group art therapy was promote ego-resilience for adolescent attending wee center in hospital experience through experiencing positive thinking and emotion, improving effec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gnitive restruction. The entire session of group art therapy organized based on these poi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voice records and verbatim records of every sessions, private interviews of participants and social worker of wee center in hospital, questionnaires written by participants, daily records and the pictures of participants’ art pieces. Data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ison method to examine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of adolescent attending wee center in hospital. In detail, transcribed texts were read repeatedly and significant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of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through the process open cod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five categories and twelve sub-catagories were organized. Five categori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 , , ,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experiences of the group art therapy are as following: First, through group art therapy for the ego-resilience, participants relieved difficulties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build intimate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peer group. Second, through group art therapy for the ego-resilience, participants got the ability to control and express their emotion themselves properly. Third, through group art therapy for the ego-resilience, participants can think optimistic about themselves and their future, and got future-oriented and positive thinking. To summarize, through group art therapy for the ego-resilience, adolescent attending wee center in hospital were able to solve their difficult situation flexibly by using their internal capabilities found from group art therapy. Participants finally relieved negative-emotion appealed in the past and expected their wishful future with positive attitude. This suggest that group art therapy can work effective to ego-resilience of adolescent attending wee center in hospit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