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4 Download: 0

양극성 장애를 진단받은 기혼여성의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양극성 장애를 진단받은 기혼여성의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in the Art Therapy for Married Women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Authors
심은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본 연구는 양극성 장애를 진단받은 기혼여성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맥락을 이해하고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양극성 장애를 진단받은 후 휴직을 하고 슬하에 1명의 자녀를 둔 41세 기혼 여성이다. 사례는 2018년 9월 19일부터 2019년 3월 27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 1회씩 60분간 총 27회기를 실시하였다. 양극성 장애를 진단받은 기혼여성을 위한 미술치료의 목표는 내적 긴장감 완화, 자기표현과 경험의 재구조화를 통한 새로운 인식의 변화, 질환에 대한 비관적인 태도의 균형 및 수용이며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의 미술치료 전 회기와 작품 사진, 인터뷰, 연구자의 관찰일지, 사전·사후 인터뷰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양극성 장애를 진단받은 기혼여성의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의 작품 이미지, 연구자의 현장 관찰 내용,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이 담긴 축어록을 반복적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였다.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마주하고 싶지 않은 나의 모습>, <주체적 삶에 대한 준비가 부족했던 자신에 대한 실망감>, <자신의 고통스러웠던 삶의 의미를 발견>, <미술 작업을 통해 드러난 주요 관계를 탐색하며 새로운 관점을 갖게 됨>, <양극성 장애 증상의 솔직한 표현>, <작품에 담겨 있는 자신의 정서 마주하기>, <양극성 장애 환자로서 자신에 대한 반추>가 포함된 7개의 상위 주제와 15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몇 가지 의미로 함축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현재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는 과거의 사건과, 현재의 상황, 이상과 현실의 경계를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으며 자신을 객관화하여 바라보는 경험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자신을 표현하고 객관화하는 경험을 바탕으로 부정하고 싶은 과거와 현실을 이해하고 자신을 실망하고 분노하게 하는 상황들을 수용하는 경험이 이루어졌으며 자신의 손상된 심리적, 정서적 상태를 위로하는 긍정적 자기 언어화(self-verbalization)가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의 활용에 따른 결과물이 지속적이고 보존이 가능하며 변화의 순간을 지켜주는 영속성의 특성으로 인하여 자신의 병증에 대한 내적 변화의 과정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새로운 통찰과 내적 통합의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양극성 장애를 진단받은 기혼여성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미해결된 감정들을 미술로 표현하고 마주 보고 통찰하면서 현재 자신을 구성하고 있는 상황들은 이해하는 내적 변화로 연결되었고 점차적으로 긍정적이고 도움이 되는 말을 자기 스스로 되뇌는 자기 언어화가 작품을 통해 나타났으며 자신을 수용하고 따뜻하게 바라보고자 하는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더불어 전회기에 걸쳐 창조된 자신의 작품들 속에 담긴 극적인 기분 변화의 기록을 마주하며 당시의 정서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고 자신의 증상을 보다 이해하는 경험이 이루어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tail what married women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have experienced through art therapy and its mea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ppli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context.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41-year-old married women with a child, taking a leave of absence from work after being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Cas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9, 2018 to March 27, 2019, with a total of 27 sessions once a week for 60 minutes. The objectives of art therapy for married women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were to relieve their internal tension, change perceptions through self-expression and the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as well as balance and accept pessimistic attitudes towards diseases. The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se goals.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 participants' art therapy sessions, images of their works, researchers’ observation journals, and pre/post interviews with them. For data analysis, the study sought to explore the art therapy experience and its meaning of married women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using a repeated comparison analysis method. To do so, this research repeatedly compared and analyzed the study participants' work images, researchers' field observations, and the verbatim records of in-depth interviews with study participants, paying attention to understand the overall context.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derived 7 topics and 15 subtopics, which included: , , , , , , and . The implications of these topics can be discussed as follows. First, research participants had the opportunity to concretely express the boundary between past events and present situations and between ideals and reality that composed their current identity through art therapy, and also had an experience of objectively looking at themselves. Second, study participants had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past and reality they wanted to deny by expressing and objectifying themselves as well as to accept situations that disappointed and angered themselves. They also had self-verbalization to positively comforting their damag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Third, the study participants could recognize their internal change caused by their illness, due to the nature of perpetuity that stored the outcomes of art therapy and preserved the moments of change, experiencing new insights and internal integration. In conclusion, through art therapy, married women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expressed, faced, and reflected on their unresolved emotions in art, which led to their internal changes of understanding the situations that compose themselves. In addition, the self-verbalization of reiterating positive and helpful words themselves appeared in their works, and they also had perceptions change to accept and look at themselves warmly. Moreover, the married women had the opportunity to objectively observe the emotions at the time by facing the record of dramatic emotional changes in their works, which were created throughout all sessions, and they could also better understand their sympto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