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37 Download: 0

청년세대 문화의 새로운 경계짓기

Title
청년세대 문화의 새로운 경계짓기
Other Titles
Setting New Boundaries of Youth culture : Focusing on the Space of Youth Generation from Sinchon to Instagram
Authors
고명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샛별
Abstract
소셜 미디어가 일상화되면서 청년세대는 온라인 공간에서의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자신의 취향을 드러내고 있으며, 새로운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들은 SNS, 특히 인스타그램이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문화적 생산물을 매개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상징과 기호를 생산하고 소비함으로써 새로운 세대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나아가 청년세대가 SNS를 매개로 형성하고 있는 문화는 하나의 하위문화적 스타일을 넘어 한국 사회의 문화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이 연구는 오늘날 청년세대의 문화를 이해하는 방식 중 하나로써 청년들이 자신들의 공간에서 드러내고 있는 문화적 실천과 경계짓기 방식을 확인하고, 그 특성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은 두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청년세대 문화가 이루어지는 공간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대별 청년세대 문화 공간의 변천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 고찰을 토대로 시기별 청년세대 공간이 갖는 특성을 살펴보고, 오늘날 청년세대 공간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첫 번째 연구 질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197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청년세대 공간을 다룬 신문 기사이며, 형용사 어휘 분석 및 내용 분석을 통해 시대별 청년세대 공간의 이미지 및 경계짓기 특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오늘날 청년세대 공간의 특성과 문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두 번째 연구 질문으로 인스타그램 공간에서 나타나는 청년세대의 문화적 실천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데이터의 수집은 해시태그 ‘#핫플레이스’, ‘#힙플레이스’, ‘#문화생활’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선별된 인스타그램 게시물 데이터를 인터넷 문화기술지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인스타그램 게시물의 분석은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해시태그 및 게시글은 해석의 보조적 도구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문헌 고찰과 기사의 내용 분석을 통해 청년세대의 공간 의 변천을 확인한 결과, 청년세대의 공간은 ‘신촌(1970-80년대) - 압구정·홍대(1990년대) - 삼청동·이태원·가로수길(2000년대)’로 이동하고 있었으며, 각각의 시대마다 대학생, 신세대, N세대라고 불리는 청년들이 자신들의 공간에서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고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또한 청년세대 공간을 수식하는 형용사를 살펴본 결과, 시대가 변함에 따라 청년세대의 문화 공간이 이동하고 있음에도 개성 있고, 특색 있고, 새로운 공간이라는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청년세대는 자신들의 개성과 특별함을 보여줄 수 있는 새로운 문화 공간을 찾아다니며 차별화된 정체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핫플레이스’를 통해 2010년대 청년세대의 공간을 확인한 결과, 청년세대 공간의 특징은 세 가지로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핫플레이스 공간을 수식하고 있는 형용사를 살펴본 결과 새롭고, 독특하고, 이색적인 이미지와 관련된 형용사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의 청년세대 공간이 가지고 있는 장소성과 연속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특징은 청년세대가 자신들의 문화를 향유하는 공간으로써 핫플레이스는 이제 몇 개의 장소로 규정되지 않으며, 파편화되고 유목(遊牧)적인 형태로 등장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공간은 특정 동네, 혹은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으며 차별화된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간, 그리고 이를 이미지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까지 확장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청년세대의 공간이 SNS로 이동하였으며, ‘해시태그(#)’와 ‘사진 찍기’를 통해 흩어져있는 장소에 하나의 집합 정체성을 부여하고, 새로운 장소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미디어의 발달이라는 사회의 변화와 청년세대가 갖는 노마디즘 특성과 연결되는 지점이다. 다음으로 인스타그램 포스팅 게시물에 나타나는 청년세대의 재현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문화 소비 영역과 일상 소비 영역을 살펴본 결과 ‘탈경계성’, ‘과시성’, ‘유희성’, ‘자기중심성’이라는 네 가지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청년세대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라면 어디든지 찾아가 사진을 찍어 올림으로써 자신들의 장소를 확장시키고 그 경계를 무너뜨리고 있었다. 이들은 이미지로 표현되는 인스타그램 공간에서 일상과 비일상의 경계넘기 전략을 활용하고 있었는데, 일상적인 소비를 특별한 소비로 연출하기도 하고, 비일상적인 공간을 일상적인 것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나아가 일상과 비일상의 경계넘기는 과시성과 유희성을 절묘하게 넘나들며 이루어지는 행위이기도 하다. 이들은 고급문화 예술과 관련한 경험을 전시함으로써 자신이 취향과 문화자본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고급스럽고 비싼 공간에서의 경험을 통해 일상을 과시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이와 동시에 진지한 예술을 가볍게 소비하고, 일상을 놀이화함으로써 유희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스타그램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이미지는 나를 중심으로 하는 사진이었는데, 자기 자신을 공간 전면에 드러내고, 자신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드러냄으로써 타인과 소통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해시태그 검색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게시물들은 기본적으로 자기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욕구의 발현이라는 점에서 자기중심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첫째, 장소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시대적 흐름에 따른 청년세대 공간의 이동을 살펴봄으로써 SNS가 청년세대 공간의 연장선상임을 밝히고자 한 점, 둘째, 기존의 사회학 분야에서 잘 다루고 있지 않는 인스타그램을 사회학적 연구 대상으로 끌고 들어왔을 뿐만 아니라, 비정형 데이터의 사회과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 셋째, 인스타그램에서 생산되고 소비되는 문화적 실천들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청년세대가 만들어가는 문화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창구를 제공하였다는 점, 넷째, 이러한 분석을 통해 오늘날 청년세대가 처한 현실과 온라인 공간에서 드러나는 문화적 실천 사이의 간극이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With social media becoming an everyday life, youth generation is expressing its tastes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 online, and virtual space serves as an important place for forming a new group identity. Not only does youth generation reveals its identity through the medium of cultural products in a new space such as SNS, especially Instagram, but also forms a new generation culture by producing and consuming symbols and tastes. Furthermore, the culture which the youth generation is forming by using SNS as a medium, goes beyond subculture style and exerts influence on the culture of Korean society as a whol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was made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oday’s youth generation, particularly to identify the cultural practices that youth are revealing in their space, and to reveal their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Research analysis was proceeded in two steps. First,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cultural space of youth generation by time period, we wanted to ident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youth generation culture. To do s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space by time perio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and identify the location of youth generation space today.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newspaper articles from 1970s to 2010s covering the subject of youth generation’s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adjectives and contents analysis in these articles, images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generation’s space were identified.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as set to examine the cultural practices of the youth generation in the space of Instagram, in order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e of today’s youth generation’s space. Data collected through Instagram posts including hashtags '#hot_place', '#hip_place' and '#cultural_life', was analyzed through internet ethnography. The Instagram post analysis focused on images, while hashtags or postings were used as assistive tools for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document reviews and articles from the 1970s to the 2000s showed the changes in the space of the youth generation. It moved on from Sinchon(1970-80s) - Apgujeong, Hongdae(1990s) - Samcheong-dong, Itaewon, and to Garosu-gil(2000s). Each era formed a collective identity based on its University Culture, New Generation Culture, and N Generation Culture. In addition, after examining adjectives modifying the space of the youth genera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image of a unique, distinctive, and novel space repeatedly appeared despite the continuous transfer of the youth generation’s cultural space. In other words, the youth generation sought for a new cultural space that could signify their individuality and distinction, securing its differentiated identity. Second, by examining the space of youth generation in the 2010s by the keyword ‘Hot Places’, thre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1) Words such as ‘New’, ‘unique’, and ‘novel continuously appeared to modify ‘Hot Places’ even in different eras, indicating that the placeness of youth generation space was in line with the former generation. 2) Youth generation nowadays define hot places where they seek to enjoy cultural life, and does not limit it to a few distinctive locations. Now hot places are in fragmentation and nomadic forms, and are expanded to places offering special and extraordinary experience, where experiences could be portrayed into images. 3) The space of the youth generation had moved on to SNS. This study found that youth generation assigned a sole group identity on scattered places by using hashtags(#) and taking photos, and built a new placeness among them. This is a link between the change in society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and the nomadic characteristic of youth generation. Third, this study examined cultural and daily consumption of youth generation to find its aspect of reappearance on Instagram posts. As a result, four characteristics were found: ‘trans-boundary’, ‘conspicuousness’, ‘amusement’, and ‘self-centeredness’. The youth generation expanded its space and broke down the boundary of space by visiting wherever they could experience something special and posting a picture on SNS. In Instagram space, where posts are expressed through images, youth generation carries out a daily and non-daily boundary-crossing strategy, which express normal daily life consumption as a special event, and vice versa. Furthermore, it is done by subtly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amusement consumption. By displaying their high-end culture and art related experiences, not only did they reveal their tastes and cultural resources, but also flaunting their daily lives conspicuously through experiences at luxurious and expensive places. Simultaneously, they consumed serious art in a light attitude and showed everyday life in a playful mood therefore exposing amusement. Lastly, the most frequently posted image on Instagram was a self-centered picture. It was used to interact with others by revealing oneself fully on the front space and actively expressing one's taste. In particular, the posts with hashtags found in the course of this study mainly implicit the desire to reveal oneself, which can be seen as self-centeredn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changes in youth generation’s space over tim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at SNS is an extension of youth generation space which goes beyond where subculture occurs.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focused on Instagram, which is not easily found among the preexisting subject of study in sociology, as a subject of sociological research but also attempted to analyze unstructured data by sociological method. Third,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research on cultural practices produced and consumed on Instagram, and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today's youth generation culture. Fourth,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above, identifies the cause of the gap in cultural practices between the reality today’s youth generation is facing and within the virtual sp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