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내적 심상의 표현으로서의 은유적 풍경

Title
내적 심상의 표현으로서의 은유적 풍경
Other Titles
Metaphorical Landscape as an Expression of Inner Imagery : Focused on the My Artworks
Authors
윤혜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Today, modern people live as members of a large society within a social system. They suppress their emotions by their own will and by the will of others within a designated system. Such pent-up emotions require empathy from society. However, emotions that have not received enough sympathy in any way are expressed abnormally. Art is a mean for an individual to discover his or her emotions and to organize and convey the emotions that an artist has experienced with others. Therefore, I feel keenly towards the necessity of art which can provid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our emotions and empathize with each other in today’s collective society. I think art as a medium of empathy, and such a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very individual and society. Art buildings a strong solidarity and empathy by expressing our inner emotions and sharing them with others. I paid attention to the emotion that were a significant part of my life and tried to express them in paintings. For me, life is full of emotional residues. I want to spread this idea on canvas by becoming an ‘The Landscape of Inner Side’ through my own portrayal of artistic expression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human beings have inevitably drifted away from nature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damage of natural environment. This lead to a longing for nature, and as humans changed their views on the landscape, landscape paintings were able to enter the category of art. Especially in the Romantic era, nature was regarded as a reflection of inner emotion. This perspective of romanticism became the basis for my work that depicted the inner world as a landscape. I intuitively captured emotions in the reality world, then reconstructed them, and finally painted them as an inner landscape. In other words, the landscape in my work does not represent the ideally traditional world but the inner world itself. Next, I am using color as an important element in my work. Colors embody various symbols according to the culture, religion and lifestyle of individuals and arouse emotional reactions. Today, modern people freely express their emotions through color. Also, I metaphorically expressed my emotions through color and could see that the colors I used changed according to my emotional state and attitude toward my emotions. My work moves from ‘The Condensed Landscape’ to ‘The Released Landscape.’ The scenery that appears in the work is an expression of the inner elements that corresponds to the external reality. In ‘The Condensed Landscape,’ colors are expressed as floating while blending with juxtaposition. These embrace negative emotions such as anxiety that build up inside by overlapping layers and carry the characteristics of dark shades of color. In ‘The Released Landscape.’ the original color is expressed emphatically. A broader range of emotions are expressed by using various colors without trapping emotions in the internal mind. These changes were made possible by objectively looking at and analyzing emotions that had been bolted inside and by recording the emotional images collected in everyday life. This enabled me to use my rich emotions as a fundamental origin and driving force for my work. By releasing the accumulated and condensed emotions, I wanted to expand my ‘landscape of inner side’ work as a window for communicating with modern people. This process is an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my emotions; an effort to show empathy and solidarity by drawing and absorbing the emotions of the contemporaries. This paper is a study that records this creation process of ‘landscape of inner side’, and will continue to be a strong stepping stone in observing various emotions and expressing inner scenery from a richer perspective.;오늘날 현대인들은 사회 체계 안에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면서 자의건 타의건 자신의 감정을 억압한다. 이렇게 억눌린 감정은 사회의 공감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어떤 방식으로든 충분한 공감을 받지 못한 감정은 비정상적으로 표출되기도 한다. 예술은 한 개인이 자신의 감정을 발견하고 그것을 정리하는 수단이기도 하고, 예술가가 경험한 감정을 타인에게 전하는 일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본인은 현대 사회에서 자신의 감정을 파악하고 서로에게 공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예술이 필요함을 절실히 느낀다. 본인은 예술이 공감의 매개체가 될 수 있으며, 그러한 예술은 개인과 사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내적 감정을 표현하고 이를 타인과 공유하면서 단단한 연대와 공감을 구축할 수 있다. 본인은 본인의 삶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 감정에 주목하였으며 이를 회화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인에게 있어서 삶은 남겨진 감정들로 가득 찬 것이었고, 이러한 생각은 본인만의 작업 방식을 통해 ‘내면의 풍경’이 되어 캔버스에 펼쳐진다. 산업혁명 이후, 기술의 발전과 자연의 훼손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인간은 자연과 멀어졌다. 이는 자연에 대한 동경을 가져왔으며, 자연 풍경을 바라보는 인간 시선의 변화에 따라 풍경화가 예술의 범주로 들어올 수 있었다. 특히 낭만주의 풍경화가들은 자연을 내적인 감정의 투영체로 생각하였으며, 이러한 낭만주의의 자연관을 본인의 작업의 근거로 보았다. 본인은 현실의 단면들에서 선험적으로 정서를 포착하고 이를 재구성하여 내면의 풍경으로 그려내고 있다. 즉, 본인 작업에 있어서 풍경은 전통적이고 이상적인 세계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세계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인은 작업에서 색을 중요한 조형 요소로 사용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색은 개인과 개인이 속한 문화, 종교, 생활방식에 따라 다양한 상징을 내포하며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색을 통해 자신의 감성을 자유롭게 표현한다. 본인 또한 색을 통해 감정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본인의 감정 상태와 감정을 대하는 태도에 따라 화면에 사용하는 색도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인의 작품은 ‘응축된 감정의 풍경’에서 ‘발산하는 내면의 풍경’으로 나아가고 있다. 작업에 나타나는 풍경은 공통적으로 외부 현실과 조응하는 내면을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전자에서는 색을 병치 혼합하면서 화면 안에 부유하는 것처럼 표현하였고, 중첩된 레이어는 내면에 쌓이는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담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어두운 색조가 특징이다. 후자에서는 원색을 더욱 강조하여 표현하였으며, 마음속에 감정을 가두지 않음으로써 보다 다양한 감정을 다채로운 색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일상에서 수집한 감정 이미지들을 기록하면서, 내면에 가둬두었던 감정들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분석함으로써 가능했다. 이로써 본인이 가진 풍부한 감정을 작품의 재료이자 원동력으로써 사용할 수 있었다. 본인은 축적하고 응축했던 감정을 펼쳐놓음으로써 ‘내면의 풍경’작업을 현대인들과 소통하는 창으로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는 본인 감정에 대한 이해와 인정이며, 동시대인들의 감정을 끌어내고 흡수하여 공감과 연대를 보여주려는 노력이다. 본 논문은 ‘내면의 풍경’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기록한 연구인 동시에, 앞으로도 다양한 감정을 관찰하고 보다 풍성한 관점으로 내면의 풍경을 표현하는 것에 있어서 튼튼한 디딤대가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