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살아있는 사물

Title
살아있는 사물
Other Titles
Living object
Authors
한수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정
Abstract
본 연구자는 사물을 대할 때 어떤 사물은 살아있다고 느끼고 어떤 사물은 죽어있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사물의 살아있음과 죽어있음은 어떻게 구별되는 것일까. 우선, 이것은 사물을 의인화한 표현으로 사물을 대하는 사람의 의식이 살아있거나 죽어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다. 여기서 사물이 살아있다 함은 사물을 인식하는 사람의 의식이 온전하게 살아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연구자는 도자 작업을 함에 있어 ‘살아있는 작품’을 만들고 싶었다. 이를 위해 우선 사물에 관한 온전한 인식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그것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인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수 많은 풍경, 사람, 사물들 사이에 존재하는데 그것들 중에 어떤 것은 보고, 어떤 것은 보지 못한다. 또 어떤 것은 만지고, 어떤 것은 만지지 못한다. 우리가 무언가를 보거나 만지지 못하는 것은 대상과의 물리적인 거리나 상황의 제약 때문일 수도 있겠으나 우리가 그것들에 관심을 갖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사물을 진정으로 안다는 것은 관심에서부터 출발한다고 생각하였다. 주관적 관심은 의식과 연관이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제 Ⅱ장에서 의식과 지각의 구조를 현상학적으로 연구한 에드문트 훗설(Edmund Husserl 1859~1938)의 인식론을 연구하였다. 훗설의 인식론을 연구함에 따라 필자는 도예 실기연구에 있어서 살아있는 작품, 다시 말해 온전하게 인식 되어지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작 방식이 필요한가를 탐구하게 되었다. 제 Ⅲ장에서는 온전한 인식을 방해하는 요소란 무엇인가를 고찰하고 나아가 그러한 요소들을 극복하기 위해 작품에 시도했던 방법들을 기술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제작 방법을 시도해본 결과 연구자는 또 다른 한계를 발견하게 되었다. 연구자가 시도한 색소지나 ‘tull’의 자극적인 방식으로는 관심에서 비롯된 의식적인 ‘손길’과 ‘눈길’을 지속적인 행위로 이어지게 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방법을 공예론에서 찾게 되었다. 제 Ⅳ장에서는 공예론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와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자극적인 표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보다 자연스러운 표현을 고민하게 되었고, 기능적 쓰임이 만드는 사물과 사람 간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관계성을 생각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손길’과 ‘눈길’의 의미와 살아있는 사물이 무엇인지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제 Ⅴ장에서는 이론적 연구와 함께 진행한 실기 연구 작품을 해설한다. 초반에는 직관적인 관심과 기법 자체에 대한 호기심에서 작업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기술적 발전과 작품의 완성도는 높아졌지만 제작기법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회의가 생겼다. 따라서 작품은 후반으로 갈 수록 실험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사물의 ‘살아있음’은 기능적 쓰임(좋은 기능성)과 심미적 쓰임(아름다움)을 가진 것이 그에 알맞은 생활 환경에 놓일 때 가능해지며 사물을 만드는 연구자는 기능적 쓰임과 심미적 쓰임 두 방향 모두 적절하게 구현되어야 살아있는 사물을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더불어 진정으로 손길이 닿고 눈길이 닿는 것, 즉 살아있는 사물은 그것이 온전하게 인식되는 것 뿐만이 아니라 또한 그 사물이 계기가 되어 새로운 의식이 야기되는 것이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When I deal with things, I feel that some things are alive and some things are dead. How does it distinguish between living and dead things like this? First of all, this is a personified expression of objects that will be affected by the consciousness of the person who deals with the object is alive or dead. From that perspective ‘Things are alive’ means that the consciousness of a person who perceives things is intact. In this sense, I wanted to make 'living pieces' in pottery work. To this end, I first tried to study what is a complete perception of things and how they are done. We exist among countless landscapes, people, and things, some of which we see, and some of which we can’t see. Some of them you can touch and feel but some can’t. The reason why we cannot see or touch is because of physical distance from the object or the constraints of the situation, but it could be also we were never been interested in them. Therefore, I reach the idea that knowing the objects are starting from recognition of interest. Subjective attention is associated with consciousness. Thus, with having a critical mind, the studies started from Edmund Husserl's (1859– 1938) epistemology which wa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and perception in Chapter II. By studying the epistemology of later years, resultantly became to considered what production methods would be necessary to create a living work and to make it as fully recognized work. Chapter III examines what factors hinder complete recognition and further describes the methods that have been attempted to overcome them. However, after trying these methods, I found another limitation. The colored clay or ‘tull’, stimulant methods that have been tried did not lead to the continuous act of conscious ‘feel’ and ‘see’ based on interest. Therefore, we found a wa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e theory of crafts. Chapter IV explored basic research on craft theory and another possibility. These studies have led us to think about the continuous and re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people created by functional use and to rethink the meaning of ‘feel’ and ‘see’ and what living things are. Chapter V describes practical research works that were conducted with theoretical research. In the beginning, I began to work out of an intuitive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the technique itself. However, as the work progressed, technical development and completeness of the work increased, but there was skepticism about the meaning of the production technique. Thus, the later we went, the more experimental we became. Through these studies, researchers found that ‘living’ of objects is possible when having functional uses (good functionality) and aesthetic uses (beauty) are placed in a suitable living environment, and that researchers who make things must explore both functional and aesthetic uses deeply and combine them well to produce living things. Also, I concluded that something truly make us to ‘see’ and ‘feel’ is a living thing. And that should be not only making a complete recognition of it but should be something that makes a new conscious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