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작동하는 패러독시컬 오브제

Title
작동하는 패러독시컬 오브제
Other Titles
Working Paradoxical Objet
Authors
조수빈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경원
Abstract
This thesis studies the ‘Paradoxical Objet’ through the author’s artwork. This study seeks to find whether the concepts and forms that make up this body of work, has a place and function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The starting point for this artwork, begins with alleged ‘useless thoughts’, which are triggered by a build-up of so-called “trivial” or “minor” personal encounters one can encounter as a member of society. However, the characteristic trait of this jumping off point in my art process, is the manner in which it presents a metaphorical paradoxical message while simultaneously having the ability to extend its meaning to be relatable to anyone in society. Today’s societal ‘violence of positivity,’ has become more taxing and exhausting on the human condition than restrictive doctrines. Positivity is being used as psychological tool to boost individual productivity, and thus improv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n society as a whole. However, despite living in a society that envisions limitless potential, this practice can unintentionally lead to personal freedoms and individual leisure time to disappear. This positivity-based thinking instead leads people to behave more like machines rather than humans. Thus, there is a need to reassess positivity as a ‘value of negativity.’ And therefore, negative human experiences one may easily dismiss are not meaningless and without value. Paradoxically, these so called trivial negative deserve consideration into order to reveal deeper truths and meanings. Thus one can say that human negativity is a subject worthy of speculation o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paradoxical objet.’ To this end, my work poses these artistic questions through installation, video, drawing, performance art, and combining mixed media with mechanical elements, and requiring audience participation to especially pose the artistic questions present in my work. Through borrowing concepts of mixed media with the use of light switches, circuits and power devices, the artwork encounters the point in which the objet is perceived as a composite medium rather than a utilitarian objet with material properties as it is used in production. By highlighting these functional parts of the machine through these elements, one also reveals the paradoxical nature in which the methodology renders these objets as meaningless. Based on this realization, the narrative and content aspects of each work were analyzed in order to come to concrete realizations. In addition, the work analyzes the environment created through the use of audience participation, and the manner in which the experience allows the viewer to experience and participate in the artistic process. Thus, one can solidify this framework as an artistic tool to interpret everyday surrounding environments in this ongoing artistic process.;본 연구는 ‘패러독시컬 오브제’로서 작동하고 작용하는 본인의 작품들에 대해 내용적, 형식적으로 분석하면서 이 작품들이 어떻게 동시대 예술의 맥락 안에서 기능하는지 근거를 찾아 밝히고자 한다. 본인의 작품은 본인을 둘러싼 사회 내에서 그 구성원 중 한 명인 본인이 겪는 개인적이고 사소한 경험에서 촉발되는 소위 ‘딴 짓’이나 ‘쓸 데 없는 생각’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거기서 도출되는 의미를 확장하여 누구나 공감할 수 있을 법한 내용을 비유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패러독스를 발현시킨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성과사회로 대변되는 오늘날 ‘긍정성의 폭력’은 규율과 통제보다도 인간을 더욱 피로하고 소진되게 만든다. 긍정성이란 개인의 업무생산능력을 최대화하여 사회 전체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이용되는 효율적인 심리 전략이다. 그러나 모든 것이 가능한 이 사회는 개인의 자유와 여가 시간을 스스로 소거하면서 인간을 더욱 기계적으로 만들며, 긍정에 반하는 ‘부정성의 가치’에 대한 재평가를 촉구한다. 본인은 인간의 부정성에 주목하여 그간 쓸 데 없다고 생각했던 무의미한 행위들이 실은 의미가 없는 것이 아니라 역설적으로, 기존의 것과는 다른 의미를 발현시키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인간이 행하는 예술의 부정성에 대하여 고민하며 예술의 방법론 안에서 좋은 역설을 만들어 사유하게 하는 것이 본인 작업의 과제임을 지각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설치, 영상, 드로잉, 퍼포먼스 등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본인의 작품들을 각각 복합 매체, 기계요소의 사용, 관람자의 참여라는 측면으로 특징지어 구체적으로 이 작품들이 예술적 질문으로써 작용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믹스드 미디어(mixed-media)와 오브제(objet)의 개념을 빌려와 작품이 제작에 사용된 재료의 물성보다는 하나로 결합된 상태가 중요한 복합 매체로 인식되는 지점에 대해 다루었으며, 스위치, 회로, 동력 장치를 통해 기계의 기능적인 부분을 부각하면서 그를 의미적으로 무(無)화시키는 역설적 방법론을 실현함을 밝혔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각 작품이 가지고 있는 서사와 내용적 측면과 함께 이들이 실현되는 구체적인 방법, 그리고 관람자에게 각각 참여의 기회와 특정 경험을 제공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양상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인은 이를 통해 사유의 틀을 공고히 하고, 이를 앞으로 지속되는 작업 과정에서도 일상과 주변 환경을 해석하는 예술적 도구로 사용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