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4 Download: 0

한중 순차통역에서 한국어 모국어 학습자의 통역 사례 고찰

Title
한중 순차통역에서 한국어 모국어 학습자의 통역 사례 고찰
Other Titles
韩中交替传译中的韩语母语者口译案例考察:以不同语言特性的学习者口译案例比较为中心
Authors
김자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통역번역대학원 통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손지봉
Abstract
한중 통역은 중한 통역보다 한국어가 모국어인 국내파 학습자들이 상대적으로 부담을 느끼는 통역 유형이다. 외국어 방향으로의 통역이다 보니 속도, 머뭇거림, 표현상의 오류 등 통역의 유창성과 전달력을 떨어뜨리는 요소들이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내에서 통역을 배우는 학습자들의 모국어와 제2언어 습득 배경이 다양해지면서 같은 교실에서 동일한 유형의 통역을 배우더라도 어렵게 느끼는 통역의 방향이 개인마다 달라지게 되었다. 한중 통역에 부담을 느끼는 국내파 학습자들과 달리 중국어가 모국어이거나 어린 시절 중국어를 습득한 학습자들에게는 한중 통역이 중한 통역보다 수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파 예비 통역사들에게 있어 한중 방향 통역의 품질 경쟁력을 갖추는 일은 더욱 어려워졌고 그만큼 중요해졌다고 할 수 있다. 국내파 학습자들이 언어 방향과 상관없이 경쟁력 있는 통역사로 성장하려면 자신의 취약점이 무엇인지, 어떤 부분을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하는지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중 순차통역에서 국내파 학습자의 통역 품질을 진단해보고 이들의 통역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모국어와 제2언어 습득 배경이 서로 다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통역 결과물을 비교하여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분석하고 품질 차이가 크게 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원인을 집중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피실험 집단은 이화여자대학교 한중 통역학과 2학년 학생 14명으로 구성되었고, 이들을 언어 특성별로 그룹화한 결과 중국어 모국어 학습자가 3명, 이중언어자가 5명, 한국어 모국어 학습자가 6명이었다. 실험은 한중 순차통역으로 각기 다른 주제의 3개의 원문 텍스트로 진행되었으며 실험 후에는 피실험자의 통역 녹음자료를 수집하여 전사한 뒤 평가 자료로 활용하였다. 통역 결과물을 평가할 때에는 비언어적 요소뿐만 아니라 언어적 요소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고자 하였는데, 비언어적 요소로는 발화 속도와 간투사(fillers)를, 언어적 요소로는 표현, 누락, 오역, 수정, 반복을 평가 항목으로 활용하였다. 각 그룹의 통역 결과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 모국어 학습자와 타 그룹 학습자와 통역 품질의 차이가 크게 나는 부분은 표현과 속도에 있었다. 특히 표현의 경우 중국어 모국어 학습자의 표현 오류보다 한국어 모국어 학습자의 오류가 3배가량 많았고, 발생 원인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에 피실험자의 표현 오류를 유형화하여 한국어 모국어 학습자 중 다수가 공통적으로 범한 오류의 사례를 선정하였고, 타 그룹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문제점이 주로 어디에서 발생하는지 알아보았다. 발화 속도 측면에서는 평균적으로 보았을 때 한국어 모국어 학습자 그룹이 타 그룹과 비교해 발화량이 적었지만 발화 시간은 더 길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느린 통역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누락과 오역, 수정과 반복, 간투사 항목에서는 타 그룹과 품질 차이가 비교적 작게 나타났으며 오역 항목에서는 중국어 모국어 학습자보다 발생 횟수가 더 적었다. 최미경(2003)에 따르면 AB 방향의 통역의 경우 원문을 이해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큰 실수가 BA 방향보다 적기 때문에 원문에 대한 분석력과 탄탄한 인지능력을 갖춘 학습자의 경우 AB 방향 통역에서 오히려 긍정적인 통역 결과를 산출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 같은 전문가의 의견과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한국어 모국어 학습자가 비록 도착어 표현능력은 타 그룹에 비해 많이 취약한 편이라 하더라도 향후 정확하고 다양한 중국어 표현을 두루 숙지함과 동시에 반복 연습으로 통역 속도를 높이면 충분히 경쟁력 있는 한중 통역이 가능할 것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타 그룹과 품질 차이가 작았던 누락과 반복, 수정과 같은 기타 항목은 표현을 개선하여 더욱 자신감 있는 발화가 가능해지면 저절로 개선되는 부분일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특정 피실험자 집단의 통역 결과물을 대상으로 언어 특성별로 그룹을 나눈 후 그 평균치를 비교한 것이기 때문에 각 그룹에 해당하는 모든 학습자의 통역 품질을 대표한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통역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품질 분석 방식을 참고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본인의 통역이 어떤 수준인지 직접 진단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가 한중 순차통역에 어려움을 느끼는 국내파 학습자들이 스스로의 취약점을 되짚어보고 보다 나은 통역을 위해 노력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与中韩口译相比,韩中口译对韩语是母语的本土派来说,会更有负担。因为韩中口译是外语方向的口译,所以会频繁出现速度慢、犹豫、表达错误等导致口译的流畅性不足和传达力下降的一系列问题。但是,最近随着在国内学习口译的学习者的母语和第二语言学习背景变得多样化,即使在同一教室里学习相同类型的口译,感到吃力的口译方向也会因人而异。因为与对韩中口译感到有负担的本土派不同,对于汉语是母语或小时候学习中文的学习者来说,韩中口译会比中韩口译更容易一些。因此,对于国内未来口译员来说,具备韩中口译的质量竞争力变得更加困难,同时也变得尤为重要。 如果国内的学习者想不分语言方向成长为具备双向竞争力的口译人员,那么首先要了解自己的弱点,并且掌握需要集中改善的部分是很重要的。为此,本研究为了在韩中交替传译中诊断韩语母语者的口译质量并了解影响口译质量的因素,以母语和第二语言学习背景不同的学习者为对象进行了实验。然后对他们的口译作出比较后,分析他们之间存在的差异,并集中考察质量差异较大的部分。 实验对象为梨花女子大学韩中口译系二年级的14名学生。根据语言特性,实验小组分为汉语母语者3人,双语者5人,韩语母语者6人。实验内容为对不同主题的3个原文文本进行韩中交替传译。实验结束后,收集了实验对象的口译录音资料,并将其转写成文字用作评估资料。评估口译时,综合考虑了非语言性因素和语言性因素,非语言性因素包括语速和填补词(fillers),语言性因素包括表达、漏译、错译、修改、重复等评价项目。 分析各组口译结果显示,韩语母语者和其他小组学习者的口译质量差异较大的部分是表达与速度。尤其是表达部分,韩语母语者的表达错误是汉语母语者的三倍左右,其原因也多种多样。因此,对实验对象的表达错误进行分类后,选出了韩语母语者中大多数人共同犯的错误,并通过与其他小组的比较分析,查看了问题发生在哪里。以语速为例,平均来说韩语母语者小组的说话量比其他小组要少,但说话时间却更长,所以整体来看,他们的口译速度较慢一些。相反地,在漏译、错译、修改、反复及填补词(fillers)项目上,与其他小组的质量差异较小,且错译项目的发生次数也比汉语母语者少。 Choi, Mi-Kyung(2003)指出,AB方向的口译,因不理解原文而出现的大失误要比BA方向少。因此,对原文的分析能力和认知能力较强的学习者来说,AB方向口译有时反而能得到更好的口译结果。专家的意见和本研究的分析结果启示我们,即使韩语母语者的译出语表达能力远落后于其他小组,但日后熟练掌握准确并多样的汉语表达并通过反复练习,提高口译速度的话,也完全可以实现有竞争力的韩中口译。至于与其他小组质量差异较小的漏译、反复、修改等其他项目,通过改善表达,能够更加自信地发言的话,这些部分将会自然而然地得到改善。 但是,由于本研究的分析结果是以特定实验对象的口译结果为对象,根据语言特性分成小组后,比较其平均值而得出的,因此很难说其代表了各组所有学习者的口译质量。因此,为了提高口译质量,参考本研究中使用的质量分析方式,学习者亲自评估自己的口译水平是很重要的。希望本研究能够为对韩中交替传译感到困难的国内学习者提供重新审视自己弱点,并为更好的口译而努力的契机。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통역번역대학원 > 통역번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