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4 Download: 0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

Title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
Other Titles
Longitudinal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among Adolescents’ Perceived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Authors
손한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among adolescents’ perceived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Also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periods and middle school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examined in the relation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T1) through 3rd grade in middle school(T6) wave(2011~2016)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by the Panel Study o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14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longitudinal stability over six waves. Second, acculturative stress and self-esteem,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had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And these patterns persisted without much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significant influence was found only school adjustment on acculturative stress at the next waves. Lastl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was mediated by self-esteem.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e longitudinal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among adolescents’ perceived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prior relationship in which school adjustment influenced acculturative stress at a later wav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highlighted the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 necessity of support system to help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sources for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and programs to promote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고학년,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학교로의 전환기, 중학교 시기에 따라 세 변인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이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 중인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의 1차년도(T1, 2011년, 초등학교 4학년)부터 6차년도(T6, 2016년, 중학교 3학년)까지 참여한 다문화가정 청소년 1,114명을 분석하였다.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는 Hovey와 King(1996)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Scale for Adolescents [SAFE])를 노충래(2000)가 번안 및 수정하여 사용한 것을 홍진주(2004)가 문항수정 과정을 거친 후 반복적인 질문 6문항을 제외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으며, 자아존중감은 Coopersmith(1969)가 개발하고 오전영(1981)이 번안한 자아개념검사 중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문항을 발췌하여 사용한 박난숙과 오경자(1992)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학교생활적응은 민병수(1991)가 제작한 초등학생용 학교생활적응 척도 중에서 학교행사 관련 문항을 제외하고 수정한 김지경 등(2010)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초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0을 사용하여 변인들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을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설정하여 검증하였으며, 종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살펴보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은 여섯 시점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각 변인 간 종단적 상호 영향과 관련하여,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이 종단적으로 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양상은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중학교까지 학교급에 따라 큰 차이 없이 지속되었다.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경우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에서 학교생활적응으로의 경로는 모든 시점 간 유의하지 않았지만, 학교생활적응은 다음 시점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이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전년도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해당 연도 자아존중감을 통해 차년도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고, 전년도 학교생활적응은 해당 연도 자아존중감을 통해 차년도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쳐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여섯 시점의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학교생활적응이 이후 시점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선행적 관계를 밝혀 다양한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결과로, 학교생활적응을 돕는 개입이 이른 시기에 이루어질수록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에서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로의 경로뿐 아니라,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에서 학교생활적응으로의 경로 모두에서 종단적 매개역할을 담당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발달에 대한 이해를 비롯하여 학교생활 부적응의 예방적 측면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환기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가 다문화가정 청소년 관련 정책과 학교생활적응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