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9 Download: 0

부부갈등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실행기능, 정서조절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부갈등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실행기능, 정서조절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Emotion 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s :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and Children’s Sleep
Authors
노지운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는 ’부부갈등과 아동의 수면 및 발달 경로 모델(El-Sheikh & Kelly, 2011)’과 ’양육행동과 아동의 수면 경로 모델(Erath & Tu, 2011)’을 이론적 틀로 하여 부부갈등이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수면의 매개적 역할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부부갈등이 아동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수면을 통해 아동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아동의 발달영역으로 인지발달 측면에서의 실행기능, 정서발달 측면에서의 정서조절, 그리고 사회발달의 측면에서의 문제행동에 초점을 두었으며, 수면의 영역은 수면시간과 수면문제로 구분하여 경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1~3학년 아동과 이들의 어머니 467쌍으로, 어머니 보고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부갈등은 Grych, Seid와 Fincham(1992)이 개발한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PIC])를 도현심, 김민정, 김상원, 최미경과 김재희(2011)가 어머니용으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Skinner, Wellborn과 Regan(1986)이 개발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Parents as Social Context Questionnaire [PSCQ])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동의 수면 중 수면시간은 아동의 주중과 주말 수면시간의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수면문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Owens, Spirito와 McGuinn(2000)이 개발한 아동의 수면습관질문지(The Children’s Sleep Habits Questionnaire [CSHQ])를 한국 실정에 맞게 타당화한 이경숙과 박진아(2016)의 한국판 아동 수면습관질문지(K-CSHQ)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실행기능은 Isquith, Gioia와 Espy(2004)의 유아용 실행기능 행동 평정 척도(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for Preschool-age children [BRIEF-P])를 서정은과 박혜원(2011)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정서조절은 Shields와 Cicchetti(1995)가 개발한 정서조절 척도(The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ERC])를 박서정(2004)이 번안한 척도를, 문제행동은 Goodman(1997)이 제작한 강점과 취약점 질문지(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Mplus 7.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은 아동의 실행기능, 정서조절 및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간접적인 영향의 경우, 부부갈등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통해 아동의 실행기능, 정서조절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경로와 부부갈등이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수면문제를 통해 아동의 실행기능, 정서조절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하지만 부부갈등이 아동의 수면문제를 통해 실행기능, 정서조절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간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수면의 영역 중 수면시간은 모든 변인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종합해보면, 부부갈등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는 아동의 수면문제를 증가시켰으며, 그 결과 아동이 낮은 수준의 실행기능과 정서조절, 그리고 높은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였다. 가족맥락 안에서 아동의 수면과 발달을 살펴본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체계 간 유기적인 관계를 강조한다. 또한, 가정환경과 아동의 발달 간의 관계에서 수면문제의 매개적 역할을 밝힘으로써 수면의 질적인 측면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수면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결과이며, 부부갈등이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수면을 통해 발달에 미치는 경로를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아동 및 부모 대상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면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onceptual model linking parental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sleeping and development(El-Sheikh & Kelly, 2011)’ and ‘conceptual model linking parenting and children’s sleep(Erath & Tu,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direct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children's cognitive(i.e., executive function), emotional(i.e.,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i.e., problem behaviors) development,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sleep. Domain of sleep was divided into sleep duration time and sleep problems. A total of 468 Korean 1st to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other’s report. Marital conflict was assessed through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CPIC),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was assessed by Parents as Social Context Questionnaire(PSCQ). Children’s sleep duration time was examined through bedtime and wake time. And children’s sleep problem was measured through Children’s Sleep Habits Questionnaire(CSHQ). Children' executive function was assessed by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for Preschool-age children(BRIEF-P), and emotion regulation was assessed by the Emotion Regulation Checklist(ERC). Finally, problem behaviors were assessed using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SDQ).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SPSS 21.0 and Mplus 7.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rital conflic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emotion 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s. Second, marital conflict had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emotion 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s through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Finally, marital conflict had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emotion 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s through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sleep problems. However, the indirect effects of marital conflict on the executive function, emotion 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through sleep problems were not significant, and sleep duration time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all variables. In sum, mother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marital conflict showe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towards their children, and children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sleep problems which led to low levels of executive function, emotion regulation, and high levels of problem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examined the children’s sleep and development in the family context, emphasize the organicity of the family system.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the children with sleep quality were confirmed by clarifying the mediating role of the sleep probl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studies for children’s sleep and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