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영상 제작 활동을 통한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 미디어 리터러시 및 SSI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효과

Title
영상 제작 활동을 통한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 미디어 리터러시 및 SSI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Video Production-based SSI Instruction on Promoting Middle Students’ Science Core Competencies, Media Literacy and Understanding of SSI
Authors
박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현주
Abstract
영상은 뉴미디어 시대의 대표적인 미디어로써 수많은 영상들이 제작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공유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들에게 콘텐츠에 대한 비판적인 수용이 요구되며 나아가 자기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상 제작 활동을 통한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이하 SSI) 수업을 설계하여 중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과 미디어 리터러시 및 SSI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 소재 중학교 3학년 7개 학급의 학생 124명이 참여하였으며 정규 과학 수업시간 8차시에 걸쳐 진행되었다. 수업은 중학교 3학년 과학 “과학과 인류 문명” 단원과 관련하여 과학기술 분야 6가지(신재생 에너지, 자율주행, CCTV, 플라스틱의 활용, 유전자 조작, 식품 첨가물) 중에서 조별로 하나를 선택하여 자유탐구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SSI에 대한 조의 입장을 전달하기 위한 영상을 제작하였다. 참여 학생들은 수업 전과 후에 과학과 핵심역량과 미디어 리터러시를 측정하는 검사지에 응답하였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 중 24명을 선정하여 영상 제작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SSI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영상 제작 활동을 통한 SSI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능력)은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01), 대부분의 영역에서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d>0.8). 미디어 리터러시 또한 능력 영역(비판적 이해, 활용과 표현)과 시민성 영역(관용성, 참여성, 공공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p<.01) 효과크기는 중간 이하로 나타났다. 면담 결과에서도 학생들은 영상 제작 활동을 통한 SSI 수업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다양한 미디어를 통한 자료 탐색으로부터 SSI를 바라보는 다양한 가치관과 입장이 존재함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하나의 입장을 선택하기 어려워하기도 하였다. 또한 미디어마다 제작 의도가 있음을 파악하여 본인 또한 자신의 입장을 반영하여 영상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영상을 통해서 SSI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심과 실천을 촉구하기도 하였으며 나아가 과학기술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production-based SSI instruction on promoting middle students’ science core competencies, media literacy and understanding of SSI. To achieve the aim, one hundred twenty-four 9th grade students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SI program over eight class periods. The SSI instruction was designed for “Science and Human Civilizations” unit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unit covered diverse cutting-edge technologies, including renewable energy, autonomous driving, CCTV, the utilization of plastics, the genetic manipulation, food additives, and societal issues that such technologies created. The students chose an issue from the technologies, and conducted their own guided inquiry project on the issue. Finally, they were asked to create a video clip representing their understanding and value position on the issue. Data was collected by two questionnaires to examine students’ science core competencies and media literacy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In addition, 24 students voluntarily responded to interviews after the instruction and shared their experiences on video production-based SSI instruction. In results, students’ science core competencies and media literac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struction. In science core competencies, the students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five factors (i.e. scientific reasoning,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participation/ lifelong learning in science) and Cohen’s effect size was large in the most of factors. Similarly, they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two factors (i.e. competence and citizenship) of media literacy, but Cohen’s effect size is smaller than medium in the most of factors. The interview data also supported the quantitative results.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and multiple perspectives surrounding SSI when exploring materials through various media. They also became aware of the intentions of production for each media. They also tried to persuade potential audiences about the importance of taking action to resolve SSI through the video. Finally, they responded that the program gave them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dir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