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2 Download: 0

반려동물 상실 애도와 심리적 성장의 관계에서 의미재구성과 긍정적 사회적 반응의 조절된 매개효과

Title
반려동물 상실 애도와 심리적 성장의 관계에서 의미재구성과 긍정적 사회적 반응의 조절된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aning Reconstruction and Positive Social Reactions on Relationship between Companion Animal Loss Grief and Psychological Growth
Authors
한성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동물 상실로 인한 지속애도와 심리적 성장의 관계에서 애도에 대한 의미재구성의 매개효과와 긍정적 사회적 반응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즉 지속애도가 의미재구성을 통하여 심리적 성장에 이르는 경로가 긍정적 사회적 반응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현대사회에서 반려동물은 인간과 정서적 애착관계를 형성하는 대상으로, 친밀한 반려동물이 죽었을 때 반려인이 애도의 반응을 나타내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반려동물과의 관계 특성이나 다른 요인에 의하여 애도의 증상이 심각해지고 기간이 길어지는 지속애도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때 인간과의 사별 후 애도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상실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것은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반려동물 애도는 사회적으로 승인되지 않은 애도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반려인의 정상적인 애도과정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반려동물 상실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사회적 지지체계와 치료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반려동물 상실 후의 지속애도가 의미재구성을 거쳐 심리적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긍정적 사회적 반응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반려동물을 상실한 지 6개월 이상 경과한 성인남녀 36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지속애도, 애도에 대한 의미재구성, 긍정적 사회적 반응, 외상 후 성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 상실 후에 경험하는 지속애도 반응이 심리적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려동물 상실에 의한 지속애도와 심리적 성장의 관계에서 애도에 대한 의미재구성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속애도가 심리적 성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기도 하고 의미재구성을 통해서 성장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지속애도 수준이 높을수록 기존의 의미구조에 혼란을 가져와 의미재구성을 방해하지만, 심리적 고통으로 인해 의미 생성이 어려울수록 역설적으로 의미를 재구성하고자 하는 동기가 높아지고 인지적 전략이 활성화되어 심리적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변인인 애도에 대한 의미재구성과 종속변인인 심리적 성장의 관계에서 긍정적 사회적 반응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호작용효과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긍정적 사회적 반응을 많이 받을수록 의미재구성을 적게 하고도 높은 수준의 심리적 성장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반려동물 상실로 인한 지속애도가 의미재구성을 통하여 심리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 사회적 반응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긍정적 사회적 반응이 적을 때는 지속애도가 의미재구성을 매개로 심리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게 작용하고, 긍정적 사회적 반응이 많아질수록 의미재구성의 매개효과가 점차 감소하다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긍정적 사회적 반응을 충분히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지속애도에서 심리적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의미재구성의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이 존재하는 것이 심리적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긍정적 사회적 반응을 충분히 받는 상황에서는 매개변인인 의미재구성 작업을 적게 하여도 혹은 의미재구성의 작업 없이도 지속애도에서 심리적 성장에 이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을 상실한 반려인이 겪는 지속애도와 심리적 성장의 관계에서 의미재구성의 부분매개효과와 긍정적 사회적 반응의 수준에 따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반려동물 애도가 사회적으로 박탈된 애도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춘 본 연구의 결과는, 반려동물 상실에 대한 의미재구성에 어려움을 겪거나 사회적 통념으로 인해 정상적인 애도과정을 거치지 못하는 반려인들에게 정서적 지지와 타당화 등 긍정적 사회적 반응을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심리적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aning reconstruction and positive social reactions on relationship between companion animal loss grief and psychological growth or posttraumatic growth. A total of 369 adults, who had lost their companion animals at least six months ago,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n Prolonged Grief Disorder, Grief and Meaning Reconstruction Inventory, Social Reactions Questionnaire, and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prolonged grief reaction experienced after the loss of companion animal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longed grief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partially mediated by meaning reconstruction. In other words, it has been confirmed that prolonged grief affects posttraumatic growth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e higher the level of prolonged grief, the more confusion the existing meaning structure causes and hinders meaning reconstruction, but the more difficult the meaning is to create due to psychological pain, the more motivated and cognitive strategies are ironically activated, which have a positive impact on posttraumatic growth. Third, positive social reaction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reconstruc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other words, if people receive a lot of positive social reactions, they will grow at a high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even with less meaning reconstruction. Fourth,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indirect effect of prolonged grief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meaning reconstruction was moderated by positive social reactions. When there are less positive social reactions, prolonged grief has an influence on psychological growth through meaning reconstruction. But the more positive social reactions, the less and less the mediating effect of meaning reconstruction. So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prolonged grief on psychological growth through meaning reconstruction depends on the level of positive social reactions.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firmed the level of positive social reactions have a differe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longed grief and posttraumatic growth mediated by meaning reconstruction. There are many people who are grieving deeply for their dead companion animals, and some of them have difficulty in going through a normal grief process due to social prejudices towards animal loss grief.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viding enough positive social reactions like emotional support and unconditional respect to companion animal loss griever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psychological recovery and growth after the loss. And it is necessary for counselors to help ease maladjustment and reach psychological growth due to feelings of loss, guilt, regret, depression, shame, and isolation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loss of companion anim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