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9 Download: 0

중고령자의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요인

Title
중고령자의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요인
Other Titles
Community Factors affecting Loneliness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Authors
이하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성별 간 비교를 중고령자의 외로움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을 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9년 진행된 ‘서초형 고령친화도시 조성 연구용역’의 ‘서초구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설문조사’의 문항과 결과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서초구에 거주하는 55세 이상 64세 이하의 예비노인 92명, 65세 이상 노인 358명으로 총 450명이다. 450명의 연구대상자 중 남성은 177명이었고, 여성은 273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3개의 지역사회 관련 독립변수는 연구대상자들이 지역사회 활동 접근성, 지역사회 정보 접근성, 지역사회 노인존중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이다. 이 변수들이 중고령자의 외로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남성과 여성 성별 집단에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중고령자의 외로움 수준을 비교한 결과, 성별에 따른 외로움의 차이는 유의하였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외로움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 집단의 경우 일반적 특성 중 최종학력이 집단에 따라 외로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집단의 경우 일반적 특성 중 주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경제상태가 집단에 따라 외로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 집단과 여성 집단 모두 지역사회 활동 접근성과 지역사회 정보 접근성은 외로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지역사회 노인존중에 대한 인식은 외로움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적 평균치에 근거한 여성 중고령자 중심의 외로움 감소 프로그램이 아닌, 성별 간 다른 특성을 고려한 지역사회복지관 등의 서비스 제공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둘째, 남성 중고령자에게는 학력이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 중고령자에게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경제상태가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중고령자의 성별 특성에 맞는 지원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사회 노인존중에 대한 인식은 남성과 여성 중고령자 모두에게서 외로움 감소에 영향을 미치므로, 지역사회에서 노인존중 분위기 형성을 위한 개입 및 활동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mmunity factors that affect loneliness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By reflecting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ways to assuage loneliness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Data from ‘Survey for Seocho-gu District Age-friendly City Planning’ which was conducted in 2019 were analyzed. Study subjects were 92 pre-elderly aged 55 to 64 and 358 elderly aged over 65. Of 450 study subjects, 177 were males and 273 were females. Three independent variables of community factor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access to community activity’, ‘access to community information’ and ‘community perception on the elderly respect’. The study analyzed how these variables affect loneliness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Furthermore, the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For the study,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one-way ANOV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used on SPSS program.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ed a gender difference of loneliness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The average of males’ lonelines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s. Second, in the case of males, there was a difference in lonelines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For the females, level of loneliness differed according to subjective perception on health and economic status. Third, ‘access to community activity’ and ‘access to community information’ had no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s loneliness while ‘community perception on the elderly respect’ had a negative effect on loneliness. Below are suggestions implied from the results. First, because population ratio of the female middle-aged and the elderly outnumbers that of males, most of the existing programs dealing with elderly loneliness are targeted towards females. However, the results imply that males are also vulnerable to loneliness. Thus, there should be provision of supports and service by community center and others reflecting on both gender’s needs and characteristics. Second, si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education level affects loneliness on males whereas subjective perception on health and economic status affect loneliness on females, different approach to effectively reduce loneliness of each gender must be taken. Lastly,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s perceived thoughts of their community respecting them had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heir loneliness. Therefore, there must be intervention and activities to promote elderly respect and age-friendly atmosphere of local commu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