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0 Download: 0

성인 초기 여성의 성격 5요인 잠재 프로파일 유형과 외로움의 관계

Title
성인 초기 여성의 성격 5요인 잠재 프로파일 유형과 외로움의 관계
Other Titles
Latent Profiles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Loneliness : The Mediating Role of Self-Compassion
Authors
하소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 초기 여성의 성격 5요인 잠재 프로파일 유형별 자기자비, 외로움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고 성격 5요인 유형과 외로움의 관계를 자기자비가 매개하는 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여자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505명을 대상으로 성격 5요인, 자기자비, 외로움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한 자료 중 외국인과 중복된 자료들을 제외한 4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6.0을 이용해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Mplus 7.4를 이용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해 성격 5요인의 프로파일 유형을 확인하고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성격 5요인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자기자비와 외로움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SPSS Macro PROCESS를 이용해 성격 5요인 프로파일 유형과 외로움의 관계를 자기자비가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다항범주 독립변인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 5요인의 잠재 프로파일 분석 결과, 통제적 내향형(유형1), 안정적 외향형(유형2), 신경증적 반항형(유형3)의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면, 통제적 내향형은 외향성과 개방성 수준이 낮고,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은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다. 안정적 외향형은 신경증 수준이 낮고,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은 높은 수준이었다. 마지막으로 신경증적 반항형은 신경증 수준이 높고 친화성, 성실성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 5요인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자기자비와 외로움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외로움은 신경증적 반항형(유형3), 통제적 내향형(유형1), 안정적 외향형(유형2) 순서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자기자비는 안정적 외향형이 통제적 내향형과 신경증적 반항형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기자비는 성격 5요인 잠재 프로파일 유형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매개하였다. 준거집단인 통제적 내향형과 비교할 때 안정적 외향형의 경우 자기자비를 매개로 해 외로움을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신경증적 반항형의 경우에는 자기자비를 매개로 외로움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준거집단이 안정적 외향형일 때 신경증적 반항형의 경우 자기자비를 매개로 외로움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성격 5요인 잠재 프로파일 유형을 외로움을 예측하는 개인적 변인으로 설정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자기자비와 외로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성격 유형 중 자기자비와 같이 적응적이고 회복력이 있는 양상은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개인 내적 특성인 성격 프로파일 유형을 통해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성격 5요인 유형과 외로움의 관계를 자기자비로 설명함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외로움에 대한 개인적 변인들을 고려한 자기자비적 태도를 취하도록 돕는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elf-compassion and loneliness according to types of drawn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profiles in early adulthood women and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profiles on loneliness, mediated by self-compassion. 450 college women attending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self-rated questionnaires excluding duplicated data and foreigners. For the collected data, data analyses includ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LPA(latent Profile Analysis), one way ANOVA, and mediation analysis with multi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 utilizing SPSS 26.0, Mplus 7.4 and SPSS PROCESS 3.4.1.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 latent profile analysis showed 3 profiles of Big five personality traits, such as ‘controlled introverted type’,‘stable extroverted type’, ‘neurotic resistant type’. Controlled introverted type was a group with level of extraversion and openess to experience, and the average level of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Stable extroverted type showed low level of neuroticism and high level of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openess to experience. Neurotic resistant type was a group with high level of neuroticism and low level of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neliness and self-compassion between such group profiles. :Level of loneliness is highest in the latent profile with neurotic resistant type, whereas it is lowest in the latent profile with stable extroverted type. Also, stable extroverted typ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self-compassion that did controlled extroverted type and neurotic resistant type. Third, the Big Five personality profiles were linked with loneliness indirectly through self-compassion. In comparison to controlled introverted type, stable extroverted type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lower level of loneliness at the same time indirectly associated through higher level of self-compassion, and neurotic resistant type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loneliness at the same time indirectly was associated through lower level of self-compassion. In comparison to stable extroverted type, neurotic resistant type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loneliness at the same time indirectly associated through lower level of self-compassion. This research discussed the latent profile type of the Big Five personality as a personal variable predicting loneliness in early adulthood wome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profiles and self-compassion and loneliness, it was confirmed which personality type was adaptive and resili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intervention in a counseling scene taking a self-compassionate attitude considering personal variables for loneli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