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1 Download: 0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Title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and Job-seeking stress
Authors
차사빈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불안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서 고통감내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청년실업의 여파로 취업이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대학생들은 더 많은 취업스트레스를 보이고 있다. 특 히 사회불안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대학생들보다 취업스트레스에 더 취약할 수 있으며 이는 심리적인 건강의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 따 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취업스트레스 사이에 어떤 심리적 기제가 있는지 살펴보고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따른 취업스트레스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대학생 3학년, 4학년과 취업을 준비 중인 졸업 유예생 30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질문과 사회불안, 고통감내력, 경험회피, 취업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에 극단치를 제외한 299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25.0 과 Mplus 7.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했다. 다음으로 2단계 접근법(Two-step approach: Anderson & Gerbing, 1988)에 따라 측정모형, 구조모형을 검정하였고, 부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의 사회불안, 고통감내력, 경험회피, 취업스트레스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경험회피를 매개로하는 이중매개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하였고,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사회불 안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경험회피의 단순매개와 이중매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생의 사회불안이 증가하면 고통감내력은 감소하고 그 결과 취업스트레스가 높아진다. 또한 사회불안이 증가하면 경험회피도 증가하 고 그 결과 취업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이 어떠한 기제를 거쳐서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관계를 밝히었다. 특히 사회불안이 취업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입증되지 않았지만 고통감내력과 경험회피라는 심리적 기제를 매개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고통감내력을 증가시키는 개입이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experience avoidance in the process of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affecting job stress. In the aftermath of youth unemployment, employment is becoming difficult, and college students are showing more job-seeking stress. In particular, college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may be more vulnerable to job-seeking stress than those who do not, which can be a risk factor for psychological health.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between social anxiety and job-seeking stress of college student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necessary to manage job-seeking stress according to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demographic questions and measures to measure social anxiety, distress tolerance, avoidance of experience, and job-seeking stress among 300 whom 3rd and 4th graders and suspended graduates preparing for employment in Korea. Was conducted. Of the collected data, 299 data excluding extrem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SPSS 25.0 and Mplus 7.4 were used f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Next,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two-step approach (Anderson & Gerbing, 1988),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by performing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jor variables,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distress tolerance, avoidance of experience, and job-seeking stress all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job-seeking stress of college students, the suitability of the dual mediation model mediating distress tolerance and avoidance of experience was appropriate. Both simple and double mediation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summary, when the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increases, the distress tolerance decreases, and as a result, job-seeking stress increases. In addition, as social anxiety increased, experience avoidance increased and as a result, job-seeking stress decrease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and job-seeking stress was revealed. In particular, although it has not been proven that social anxiety has a direct impact on job-seeking stress, interventions that increase distress tolerance may be useful to reduce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by revealing that their mediat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distress tolerance and avoidance of experi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