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6 Download: 0

고등학생의 결핍이 진로성숙도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고등학생의 결핍이 진로성숙도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eprivation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 Comparison of General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Authors
이승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결핍이 진로성숙도 및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성취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일반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진로발달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학교 유형에 따른 개입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학교 유형에 따라 일반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 집단을 비교하였다는 점은 기존 연구와의 큰 차별점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2017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의 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일반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이다. 일반고등학교 학생은 583명,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은 431명으로 총 1,014명이다. 결핍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활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SPSS 23.0과 MPLUS 8.4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핍지수는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로준비행동의 경우에는 결핍지수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순히 경제적인 지원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의 성장 과정에 있어서 필요한 환경 및 기회 제공과 함께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진로프로그램을 지원해야 진로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행동으로 실천함으로써 청소년들의 다각적인 진로발달에 효과를 보일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와 자아존중감이 결핍과 진로성숙도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진로에 대한 개입을 위해 학업적 지원과 함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내용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결핍지수가 높은 청소년을 대상으로는 지역아동센터를 활용하여 자아존중감 향상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진로에 대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학업에 대한 지원과 함께 담당 사회복지사들에게 청소년 진로상담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면 결핍지수가 높은 청소년을 위한 적절한 지원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교 유형에 따라 결핍→진로준비행동, 학업성취→진로성숙도, 학업성취→진로준비행동 경로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결핍에서 진로준비행동으로 가는 경로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일반고등학교 학생보다 부적인 영향이 컸으며, 학업성취도에서 진로성숙도로 가는 경로와 학업성취도에서 진로준비행동으로 가는 경로에서는 일반고등학교 학생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과 비교해 정적인 영향이 큼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진로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차별화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일반고등학교는 학업성취도 향상, 특성화고등학교는 결핍지수 향상을 위한 서비스 및 기회 제공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면 학교 유형에 따라 더욱 효과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일반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 외의 다양한 고등학교 유형을 함께 분석하거나 지역 및 학교급별 차이를 살펴본다면 더욱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결핍과 진로성숙도 및 진로준비행동을 매개하는 변수로 환경적 변인인 가정요인, 학교요인, 사회적 요인 등을 포함시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단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시기의 결핍이 진로성숙도 및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적인 변화과정을 살펴보면 아동·청소년의 진로에 대해 폭넓은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심층인터뷰 또는 초점집단인터뷰 등을 활용한 질적연구를 함께 수행하여 청소년 진로에 관한 다양하고 풍부한 의견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riv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a group difference betwee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also intends to provide basic yet multifaceted resources in understand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adolescents, and therefore suggest possible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high schools.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research as it identifies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from general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The data for the following analysis was obtained from the 「2017 Report on Dreams of Korea’s Future Generation」.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totaled to 1,014 adolescents: 583 from general high schools and 431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in SPSS 23.0 and MPLUS 8.4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depriv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well as the two mediating effects: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deprivation had no effect on career maturity, high levels of deprivation resulted in low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can be noted that not only is economic support during a youth’s growth necessary in promoting higher level of career maturity, but provision of a suitable environment and opportunity is also crucial. Additionally, planning and implementing career programs that generate positive factors of career maturity will positively affect an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in multiple ways. Second, the result that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is th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ivation, and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alidates the importance of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self-esteem and academic support in high school career programs. For example, when dealing with an adolescent with severe levels of deprivation, a community child center will take on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programs that both academically supports the adolescent and improves his/her self-esteem. Providing social workers with an educational background on career development counselling will also serve as a helping hand for adolescents with high levels of deprivation. Third, group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high schools were identified in the paths of deprivation→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ademic achievement→career maturity, and academic achievement→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negative effect of depr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larger i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 maturity was larger i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an that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imilarly, the positiv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larger i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an that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se results implicate the necessity for differentiation in career programs according to the type of high schools. Planning career programs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hereas planning career programs which focus on increasing services and opportunities to mitigate depriv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ill enable effective personalized career programs. More meaningful results may be obtained in follow-up research that analyze other differences such as school level, region, etc., rath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l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Furthermore, it is suggested in future research to include environmental, family, school, and social factors as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ivation, and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ducting a longitudinal research which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deprivation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ll provide significant data in understanding the long-term process of changes in an adolescent’s career. Finally, it will be important to reflect on diverse opinions in context regarding an adolescent’s career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