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다중언어적 평가요소에 따른 5~7세 말소리장애 아동의 철자쓰기 발달 특성 연구
- Title
- 다중언어적 평가요소에 따른 5~7세 말소리장애 아동의 철자쓰기 발달 특성 연구
- Other Titles
- A Study on Spelling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abilities 5 to 7 Years of Age According to Multilingual Evaluation Factors
- Authors
- 강진경
- Issue Date
- 2020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Doctor
- Advisors
- 김영태
- Abstract
- 아동기 발음의 문제는 학령전기를 거쳐 학령기 혹은 성인기까지 읽기, 쓰기와 관련한 학업이나 적응의 문제, 직업 등 일반적인 사회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선행연구에서는 말소리장애에서 회복된 경우라도 이들 중 절반 이상이 학령기 이후의 읽기, 쓰기, 학업성취에서 어려움을 보였다고 보고되었다. (Bishop & Adams, 1990; Hayiou‐Thomas et al., 2017) 이는 곧 말소리장애 아동에게 조음치료 뿐 아니라 학령기 이후의 읽기 및 쓰기발달에 대한 조기 평가 및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말소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철자쓰기와 관련한 연구는 아직 드물다.
본 연구는 만 5세부터 초등학교 1학년인 말소리장애아동 30명과 일반아동 30명 총 6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철자쓰기 발달의 특성을 음운지식, 형태지식, 표기지식, 의미지식을 포함한 다중언어적 평가요소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말소리장애 아동의 철자쓰기 발달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알려진 읽기능력, 음운인식능력이 조음능력과 철자쓰기 발달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회귀분석을 통한 조절된 매개분석 또는 매개된 조절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말소리장애아동집단은 다중언어적 평가요소를 고려한 모든 쓰기평가요소에서 일반아동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둘째, 평가요소별로 살펴보았을 때 말소리장애아동은 표기지식 평가요소에서 가장 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음운지식, 형태지식 순으로 수행력을 보였고, 의미지식에서 가장 좋은 수행을 보였다. 일반아동의 경우에도 말소리장애아동과 같은 순서대로 쓰기 평가요소 종류에 따른 수행력의 차이를 보였다 표기지식의 수행 정확도는 모든 평가요소 중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만 4세에서 5세 전후로 음운지식을 적용한 쓰기의 발달이 시작되고 점차 형태 및 표기지식을 적용한 철자가 가능해지지만, 몇몇 형태 및 표기지식의 발달은 초등 중학년 이후까지도 지속된다고 볼 수 있다. 집단과 평가요소에 관한 유의미한 이원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아동의 조음능력, 읽기능력, 음운인식능력 및 철자쓰기 능력의 관계를 탐색하고 더 나아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변수 또는 조절변수를 통해 이해하기 위하여 Muller et al.(2005)의 통합모형의 분석절차에 따라 회귀분석 접근법을 의한 매개된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한 연구의 가정을 통해 조음능력을 독립변수로, 철자쓰기 능력을 종속변수로, 읽기능력을 조절변수로, 음운인식능력을 매개변수로는 상정하였으며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대상자의 조음능력, 읽기능력, 음운인식능력, 쓰기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변수들 간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조음문제는 음운인식능력과 관련 있으며 읽기 및 철자쓰기 발달에 있어서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한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전체대상자에 대하여 조절된 매개효과,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완전 매개된 조절효과 모형이 도출되었는데, 이를 통해 음운인식능력은 조음능력과 읽기 및 쓰기능력을 포함한 문해력에 결정적인 작용을 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으며, 이는 선행연구의 맥락과 일치한다. 또한 음운인식은 조음능력과 쓰기능력을 매개하나, 낱말 재인 능력이 좋은 경우에만 조음능력이 음운인식능력의 매개효과를 통해 철자쓰기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능력 즉 낱말 재인 능력이 우수한 경우에만 음운인식능력이 조음능력과 쓰기능력을 매개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초등학교 입학 이후의 정규교과과정 이후 증가된 읽기능력의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초등 입학 이전 어린 연령의 아동의 경우 아직 읽기 및 철자쓰기 능력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아 각 요인들 간의 명확한 관계를 밝히기에 어려울 수 있다고 보여지며, 읽기 정규 교육이 시작되는 초등학교 입학 이후 읽기능력이 능숙해지면서 조음능력과 철자쓰기 능력의 관계가 뚜렷이 드러날 것으로 추측된다.
둘째, 장애군만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말소리장애아동집단만을 대상으로 한 조절된 매개효과,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말소리장애아동집단의 조음능력, 음운인식능력, 읽기능력, 철자쓰기 능력은 음운인식능력의 철자쓰기 능력에 대한 매개효과가 읽기능력에 의해 조절되는 조절된 매개효과모형으로 도출되어 전체 아동집단을 대상으로 한 매개된 조절효과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소리장애아동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 조음능력이 철자쓰기 능력에 영향을 주고, 음운인식능력은 조음능력과 철자쓰기 능력의 관계를 간접적으로 매개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나타난 읽기능력의 수준이 조음능력과 철자쓰기 능력의 관계를 조절했던 효과와 읽기수준이 조음능력과 음운인식능력의 관계를 조절했던 효과는 말소리장애아동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아동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조음능력이 음운인식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읽기능력의 조절효과가 작용하여 낱말 재인 수준이 중하인 경우 철자쓰기 능력을 예측할 수 없었다. 그러나 말소리장애아동의 경우 조음능력이 음운인식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는 읽기능력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음운인식능력이 철자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낱말 재인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말소리장애아동의 조음능력은 음운인식능력의 매개효과를 통해 철자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나, 이때 음운인식능력의 간접효과는 낱말 재인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철자쓰기 능력을 예측하였다.
결과적으로 읽기능력의 수준에 따라 조음능력이 철자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한 연구 가설 1이 연구 결과를 통해 입증되었고, 음운인식능력은 읽기능력의 수준에 조절이 되어 조음능력과 철자쓰기 능력을 매개할 것이라고 예측한 연구 가설 2가 입증되었다. 단, 전체 대상자를 포함한 분석에서는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나, 조음능력이 철자쓰기 능력에 미치는 조건부 효과가 읽기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말소리장애아동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 조음능력이 음운인식능력을 통해 철자쓰기 능력에 미치는 간접효과의 경로에서 읽기수준이 높을 때에만 음운인식능력의 매개효과가 철자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체 대상자를 포함한 분석 결과와 말소리장애아동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는 서로 차이점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 연구 가설 3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국내에 부족했던 말소리장애 아동의 쓰기발달 특성에 대한 정보를 기초적인 언어지식단위인 음운, 철자, 형태, 의미지식이 포함된 다중언어적인 평가요소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들의 특성인 음운처리문제와의 관계성을 탐색함으로써 언어치료 임상현장에서 비교적 빈번하게 만날 수 있는 말소리장애 아동에 대한 평가 및 중재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ell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abilities(n=30) and normal control children(n=30) through multilingual evaluation factors including phonological knowledge, morphological knowledge, orthographical knowledge, and semantic knowledge. In addition, to find out how the read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which are known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pelling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abilities, affect the development of articulation and spelling, through tests of mediated moderation or moderated medi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group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ly po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children in all writing elements considering multilingual evaluation factors. Second,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abilities showed the lowest performance in the orthographical knowledge, followed by the phonological knowledge, the morphological knowledge, and the best performance in the semantic knowledge. Even in the case of normal control childre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abilities showed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writing elements in the same order. Two-way interaction of the group and the type of writing elements was not significant
Incorporation of Muller et al. (2005)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rticulation, read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spelling abilities, and further understanding their relationships through third-party parameters or control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tical procedures of the model, moderated mediation or mediated moderation using a regression approach were performed. Through the assumptions of research through previous studies, articulation ability was assum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spelling ability as a dependent variable, reading ability as a moderation variable, and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s a mediation variable, and the verific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articulation ability, reading ability, phonological awareness, and writing ability of all subject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as found among all variables. This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reported that the articulation problem is related to phonological awareness and can be a risk factor in reading and spelling developm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oderated mediation, mediated moderation for all subjects, a fully mediated moderation effect model was derived. Through this, the phonological awareness plays a decisive role in literacy including articulation ability and reading and writing ability can be inferred,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prior research.
In addition, phonological awareness mediates articulation and writing skills, but only when the word recognition ability is good, articulation ability affects the spelling and writing abilit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phonological awareness. The fact that the phonological awareness mediates articulation and writing ability only when the reading ability, that is, the word recognition ability is excellent, can be interpreted as the effect of increased reading ability after the regular curriculum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It seems that it is difficult for children of young age before elementary school to develop clear reading and spelling skills, so it can be difficult to reveal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It is specul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ulation and spelling skills will be apparent.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analysis of moderated mediation, mediated moderation effect only for group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abilities, the mediating effect on the spelling and writing ability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was derived a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moderated by the reading abili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from the mediated control effect for the entire children's group.
As a result of analysis only for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abilities, the same result was obtained in that articulation ability influenced spelling ability and phonological recognition ability indirec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ulation ability and spelling ability. However, in the analysis of all subjects, the effect that the level of reading abil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ulation ability and spelling ability and the effect that the reading leve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ul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awareness were not found in the analysis of only for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abilities.
In the analysis of all children, it was not possible to predict the spelling ability when the word recognition level was low due to the moderating effect of reading ability in the path where articulation ability affects phonological awareness. However, for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abilities, there was no moderation effect of reading ability in the path where articulation ability affects phonological awareness, and it affects positively only when the level of word recognition is high in the path where phonological awareness affects spelling ability. That is, the articul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abilities affects the spelling abilit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but the indirect effect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predicts the spelling ability only when the level of word recognition is high.
As a result, research hypothesis 1 predicted that the effect of articulation ability on the spelling and writing ability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reading ability. Research hypothesis 2, which predicts that it will mediate spelling skills, has been demonstrated. However, in the analysis including all subjects,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was found, and the conditional effect of articulation ability on spelling ability was moderated according to the reading level. The results show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phonological awareness affects spelling ability only when the reading level is high in the path of the indirect effect of articulation ability on spelling ability through phonological awareness. That is, research hypothesis 3, which predic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analysis results including all subjects and the analysis of only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abilities, was verified.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Ph.D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