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2 Download: 0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평가지표의 개발과 적용

Title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평가지표의 개발과 적용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valuation Index of Museum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Program on Court Exhibition
Authors
이현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영찬
Abstract
With the growth of museum education-related projects and support for them, people have become increasingly conscious of the importance of museum education, resulting in expansion of such education programs and surge of participants. However, most of such education programs are various kinds of performance-oriented programs which lack mid- and long-term schedules, and frequently emerge and disappear depending on changes of the situations. As of now, museum education should grow in quality, beyond quantity. One of the ways to go to qualitative growth is ‘evaluation of education programs.’ The most frequently used evaluation index for evaluation is based on learning results. But, To evaluate education programs only with learning results has limits that it does not review the whole process of learning. Education occurs in complex situations where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the learning results. Accordingly, to evaluate education programs only with learning results is to evaluate only part of the educational process. To review the whole proces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motivation of learners, cause of learning results, and learning process. To evaluate the whole learning process, this research offers an evaluation index covering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process as well as learning results. By applying the offered evaluation index to 'Gain's Dream, My Dream',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Court Exhibi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hich applied the new index to evaluate 'Gain's Dream, My Dream' are as follows. First, 'Gain's Dream, My Dream' classes fails to completely fulfill the course purpose. Second, learners of the 'Gain's Dream, My Dream' course had better experiences and memories on the learning on the court out of the two components of the course. Such findings prove that the program failed to make any differences. Third, learners commonly pointed out that the textbook should be revised. It was possible to notice some problems of the program from the existing simple evaluation. But, we could not get critical opinions of learners on the program from the existing method. With this evaluation index based on a concrete theory, it was possible to get honest and various opinions of learners. There was no learner who did not answer to constructed-response questions. In addition, the causes of various experiences and learning results of learners were also revealed. We can conclude that, when we use the evaluation index based on concrete theory rather than quantitative and simple index, we can get more meaningful results. Consequentl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by offering an evaluation index which allows us to review the whole learning process as well as learning results, and suggest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and some points to revise it, it pointed ou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qualitative growth of the education program.;박물관 교육 관련 사업과 지원이 증가함에 따라 박물관 교육에 대한 인식과 중요성이 상승하게 되었고, 이는 교육 프로그램의 확산과 참여자 수의 대폭 증가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 프로그램은 성과위주의 다종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중장기적인 계획 없이 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라 생기고 없어지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현 시점에서 박물관 교육은 양적인 측면을 넘어서 질적으로 성장해야 한다. 질적인 성장으로 갈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는‘교육 프로그램 평가’이다. 다양한 목적에서 시행되는 평가를 진행하기 위하여 많이 활용되고 있는 평가지표는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학습 결과만을 가지고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것은 학습의 전체 과정을 살펴보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교육의 상황은 단순히 결과에 대한 간섭을 분리시킬 수 없는 복잡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학습 결과만을 평가하는 것은 교육의 일부분만을 살펴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학습의 전체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동기, 학습 결과의 원인, 학습의 과정까지도 평가해야 한다. 연구자는 학습의 전체적인 평가를 위해서 학습 결과뿐 아니라 학습 동기와 학습 과정도 살펴볼 수 있는 평가지표를 제안하였다. 연구자가 제안한 평가지표를 통해 실제 법원전시관의 교육 프로그램‘가인의 꿈 나의 꿈’에 적용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현 상태와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지표를 통해 법원전시관 교육 프로그램 ‘가인의 꿈 나의 꿈’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인의 꿈 나의 꿈’수업은 목표를 완벽하게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학습자들은‘가인의 꿈 나의 꿈’수업의 2가지 구성 중 사법부 학습과 관련한 형태에 더 좋은 경험과 기억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가인의 꿈 나의 꿈’수업의 차별성이 두드러지지 않는다는 것으로 이어진다. 셋째, 학습자들은 교재에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는 공통된 의견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단순한 형태의 평가를 통해서는 어느 정도의 반응은 알 수 있지만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문제와 학습자들의 비판적인 의견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보다 구체적이고 이론이 바탕이 된 평가지표를 통해서는 학습자들의 솔직하고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으며 서술형 문항에 있어 무응답의 형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습자가 느끼고 생각한 다양한 경험들과 학습 결과에 따른 원인까지도 드러났다. 평가지표의 형태는 양적 목표가 중심이 되는 정량적 형태의 간략한 평가보다는 구체적이고 이론이 바탕이 되는 평가지표를 사용할 때 보다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 결과 뿐 아니라 학습 전체 과정을 살펴 볼 수 있는 평가지표를 제안하고 실제 적용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의 현 상태와 개선점을 제안함으로써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성장을 위한 평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재고했다는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