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키에르케고어와 리쾨르의 '미학적 자기됨' 연구

Title
키에르케고어와 리쾨르의 '미학적 자기됨'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esthetic self-becoming’ in Kierkegaard and Ricoeur: With a focus on aesthetic possibility and mimesis theory
Authors
신사빈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명수
Abstract
본 논문은 종교개혁 때 신학에서 배제된 미와 예술을 다시 회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두 명의 프로테스탄트 사상가 쇠얀 키에르케고어(Søren Kierkegaard, 1813–1855)와 폴 리쾨르(Paul Ricœur, 1913-2005)을 채택하여 실존적 인간학의 틀에서 미와 예술을 통해 인간이 되고 자기가 되는 길을 마련하였다. 이 길이 ‘미학적 자기됨’의 길이다. 방법론적으로는 우선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사상에서 “가능성” 범주를 미학의 독립적 범주로 확보하였고, 다음으로는 미적 가능성이 현실성으로 이행하는 부분에서 리쾨르의 “삼중 미메시스론”을 접목시켰다. 가능성 범주의 확보가 중요한 것은 기존 신학에는 미학의 독립범주가 부재하기 때문에 미가 진과 선의 논리에 함몰되어 미학의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자기가 되는 연구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키에르케고어에게 실존은 신 앞에 단독자로 홀로 서는 것이다. 그리고 실존의 이념은 참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인간이 되고 자기가 되는 것이며, 범주적으로는 '가능성' 으로부터 '현실성' 으로의 이행으로 설명된다. 그런데 이 이행이 키에르케고어의 사상 안에서는 초월적 비약(leap)에 막혀 실천이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미학은 가능성에 고립되고 미적 실존은 자기가 되지 못하고 절망한다. 이러한 키에르케고어의 미학적 한계 지점에서 본 논문은 리쾨르의 '자기이해의 해석학'을 접목시키며 돌파구를 찾았다. 말로 다 할 수 없는 실존영역을 가시화하는 것이 예술 작품이고, 이것을 해석하면서 새로운 자기이해에 이르는 과정을 총칭하는 개념이 "삼중 미메시스"이다. 여기서 전개되는 “해석학적 순환”으로 키에르케고어에서는 가능성에 고립된 미학이 현실성으로 연결되며 미학적 자기됨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삼중 미메시스는 키에르케고어의 미적 실존에게 '구원'을 의미한다. 초월적 비약의 벽에 부딪혀 절망하는 대신 예술의 창작과 해석을 통해 현실성으로 나아가고 '자기'가 된다. 이렇게 산출된 '미학적 자기됨'의 길은 이제까지 철학에서 우위를 차지해온 실체적 존재론과는 다른 방식으로 존재에 이르는 길이며 이론적으로는 “가능과 현실의 존재론”으로 형식화된다. 즉 형이상학의 실체적 존재론이 간과하는 인간의 실존문제를 끌어안고 간다. 가능과 현실의 존재론의 확보로 일상에서 경험되는 개인의 다양한 미적경험들이 신학으로 수용되는 길이 열렸다. 이 길이 신학에서 미와 예술을 회복하는 방법론으로 제시되는 길이다. 이 길은 가톨릭 신학에서의 회복방식과는 차별화된다. 가톨릭 신학에서는 신의 영광이 미의 기준이지만, 미학적 자기됨에서는 개인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미적경험이 미의 기준이다. 전자가 신적 관점에서 예술을 회복한다면, 후자는 인간 실존의 관점에서 예술을 회복한다. 개신교 미학이 가야할 길은 후자이다. 이 길에 인간 개인의 내적 신앙을 강조한 종교개혁의 정신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개신교신학이 미와 예술을 새롭게 회복하는 방법론으로 미학적 자기됨을 제시했다. 이 길은 인간의 실존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이 방법론으로 개신교 신학은 신 앞에서 실존하는 개인의 다양한 미적경험들을 종교적 차원에서 수용할 수 있고 미와 예술을 통해 하나님과 관계하는 길을 열 것이다. 관건은 해석이다. 결국 해석을 통해 미학적 자기됨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The present work was written to restore beauty and art in theology that were excluded during the Reformation. To this end, two Protestant thinkers, Søren Kierkegaard (1813-1855) and Paul Ricœur (1913-2005), were involved to find ways to become self and human being through beauty and art, in the context of existential anthropology. This is the path of aesthetic self-becoming. In terms of method, I first secured Kierkegaard's modal term possibility as an independent category of aesthetics, and then joined Ricoeur’s theory of triple mimesis there where the aesthetic possibility transitions to reality. Securing the independent category of aesthetics is important because existing theology lacks it and it is therefore impossible to examine the path of self-becoming in the field of aesthetics because this is collapsed in the logic of truth and good. For Kierkegaard, existence means standing alone before God. And the ideal of existence is to become a Christian. This is becoming human and becoming self which process is categorically explained by the transition from possibility to reality. But this transition does not happen in Kierkegaardian thinking because of the theory of transcendent leap. Thus, the aesthetics at Kierkegaard is isolated within the possibility and the aesthetic existence cannot become a self and is desperate. In this dilemma of Kierkegaardian aesthetics, I found breakthrough by connecting ‘hermeneutics of self-understanding’ by Ricoeur. Work of art visualizes the unspeakable realm of existence and the triple mimesis is the term for the process of achieving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work of art. The ‘hermeneutic circle’ that emerges here frees aesthetics to reality and thus creates the path of aesthetic self-becoming. In this sense the triple mimesis means salvation for Kierkegaard's aesthetic existence. It becomes now self through creation and interpretation of art, instead of despair. The path of aesthetic self-becoming created in this way is theoretically formulated as an ‘ontology of possibility and reality’. In this ontology one achieves God and Being in another way as ‘substantial ontology’ which has so far been dominated in philosophy. It encompasses namely the problem of human existence overlooked by metaphysics. With Securing this ontology of possibility and reality, the way to incorporate various aesthetic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into theology is opened. On this point, aesthetic self-development is to be proposed as a method for restoring beauty and art in theology. But it differs from the way that Catholic theology does. In Catholic theology the yardstick of beauty is the glory of God, but in the aesthetic self-becoming it is the aesthetic experience that takes place inside the individual. If the former accepts work of art into theology from the divine perspective, the latter does it from the existential perspective of human being. I maintain the latter is the way Protestant aesthetics should go. This is because the spirit of the Reformation emphasizing the individual's inner faith is reflected in the latter. This study proposes aesthetic self-becoming as a method for the Protestant theology to restore beauty and art in the realm of human existence. The path makes it possible to incorporate various aesthetic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into theology and to open the way to relate to God through beauty and art. The key is interpretation. Because the aesthetic self-becoming is only realiz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work of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