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3 Download: 0

스마트 폰 기반 기억 보조· 걷기운동 중재가 주관적 인지저하 여성의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itle
스마트 폰 기반 기억 보조· 걷기운동 중재가 주관적 인지저하 여성의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a smartphone-based, memory support and walking intervention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ve symptoms, and self-esteem in women with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Authors
방양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옥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martphone-based, memory support and walking intervention for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in women. The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led trial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memory support and walking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rom September 25, 2019 through March 30, 2020. A total of 42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Experimental Group 1 applied the calendar and walking exercise interventions based on the smart phone app (n=18), Experimental Group 2 applied a calendar intervention based on the smart phone app (n=12), and a Control Group did not apply the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 period was 12 week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12th week,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Cognitive function was measured by attention/working memory, memory function, and executive function test items on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Core (SNSB-C). Memory contentment, depressive symptoms, and self-esteem were measured by a questionnaire.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software Version 26.0 (IBM, Armonk, NY, US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mmediate Recall to check memory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in Experimental Groups 1(t=-3.522, =.001), and 2(=-4.258, <.001) and in the Control Group(=-3.114, =.005). Delayed Recall to assess memory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in Experimental Groups 1(=-2.233, =.020) and 2(=-5.613, <.001) and in the Control Group(=-2.130, =.028). 2. The results of the Word Stroop Test to assess executive function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in Experimental Groups 1(=-3.945, <.001) and 2(=-2.804, =.009). The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results showed that executive function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in Experimental Groups 1(=-2.184, =.022) and 2(=-2.826, =.008). 3. Memory contentment(=-2.862, =.005), depression(=1.944, =.034), and self-esteem(=-2.051, =.028)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in Experimental Group 1. 4. The interaction effect of time and type of intervention was significant( =.677, =.042).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F=4.869, =.013) result and Memory contentment(F=4.789, =.014)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Results of the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increased in Experimental Groups 1 and 2 over time and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Memory contentment increased over time in Experimental Group 1, remained stable in Experimental Group 2, and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The smartphone-based memory support and walking intervention conducted in this study improved the cognitive function of women with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It can be used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maintaining cognitive function of individuals with subjective cognitive decline.;본 연구는 주관적 인지저하 여성에게 스마트 폰 기반 기억보조·걷기운동 중재를 적용하여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ㆍ사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주관적 인지저하를 경험하는 50세 이상 여성으로 서울시, 경기도에 위치한 교회 5곳, 노인복지센터 1곳에서 모집되었다. 대상자는 실험군1 18명, 실험군2 12명, 대조군 12명으로 총 42명이었으며 실험군1은 스마트폰 기 반 기억보조·걷기운동 중재를, 실험군2는 스마트폰 기반 기억보조 중재를 12주 동안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중재 전과 12주 중재기간 후에 시행되었으며 인지기능은 서울신경심리검사 단축형(SNSB-C)으로 측정하였다. 주의집중/작업기억은 숫자 바로따라 외우기/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 기억력은 즉시회상 및 지연회상, 집행기능은 색-단어스트룹 및 통제단어 연상으로 확인하였으며 일상생활 기능과 관련된 기억력 만족감과 우울 및 자아존중감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1, 실험군2, 대조군의 중재 전후 주요 변수에 대한 변화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에 대하여 중재 전·후에 중재처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변량 이원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실험군1, 2와 대조군은 기억력을 확인하는 즉시회상, 지연회상 점수가 중재 후에 유의하게 높아졌다. 실험군1, 2는 집행기능을 확인하는 색-단어 스트룹, 통제단어 연상 점수가 중재 후에 유의하게 높아졌다. 실험군1은 일상생활기능과 관련된 기억력 만족감, 우울, 자아존중감이 중재 후에 유의하게 높아졌다. 인지기능에 대하여 중재 전·후에 중재처치에 따른 효과가 유의하게 달라졌으며 통제단어 연상은 중재 후에 실험군1, 2에서 높아지고 대조군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억력 만족감은 중재 후에 실험군1에서 높아지고 실험군2는 유지되었으며 대조군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스마트 폰 기반 기억보조·걷기운동 중재는 주관적 인지저하 여성의 인지기능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어 지역사회의 주관적 인지저하 대상자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