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4 Download: 0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행위 관련 요인

Title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행위 관련 요인
Other Titles
Factors related to Smoking Behaviors of out-of-school Adolescents based on Ecological modeling
Authors
송혜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moking behavior related factors for out-of-school adolescents on individual,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rough an ecological model.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97 out-of-school adolescents aged between 13-18 who visited J area’s counseling center.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the 15th of February, 2020 to the 31st of March. We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χ2 testing, correlat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smoking behavior.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It showed that there were more high school student than middle school student adolescent smokers outside of school,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significant(t=-6.59, p<.001). Also, it showed that there were a greater number of smokers who had an earlier time for the discontinuation of studies(χ2 =8.73, p=.003), who had low household economic status among the causes of the discontinuation of studies(χ2 =10.66, p=.001), who met with friends outside of school(χ2 =23.37, p<.001), who had conflicts with their parents(χ2 =14.98, p<.001), and who low grades(χ2 =29.60, p<.001). 2.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moker and non-smoker groups appeared in self control ability, which is an individual factor for out-of-school adolescents(t=-16.08, p<.001), parental attachment, which is a factor between individuals(t=-12.73, p<.001), friends ratio(t=4.41, p<.001), average contact frequency(t=3.20, p=.002), average social support(t=-2.63, p=.009), social support frequency(t=2.50, p=.013), support related to smoking(t=7.90, p<.001), support related to quitting smoking(t=-5.49, p<.001), quality of bonding(t=3.09, p=.002), social network smoker(t=20.38, p<.001), friends smoking(t=23.06, p<.001), involvement in smoking(t=4.22, p<.001), and smoking cessation policy, which is a organizational factor(t=2.70, p=.007). 3. The Odds Ratio (OR) for the research subjects’smoking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to be significant in age, duration of discontinuation of studies, and grades. It appeared that the possibility of smoking is high when the subjects are young, have an early time for the discontinuation of studies, and have less than 1 year of discontinuation of studies. 4. In model 2, it especially appeared that the act of smoking was reduced as self control becomes higher(95% CI: 0.73∼0.82). 5. In model 3, smoking decreased 8% when the parents attachment increased by 1 unit. Smoking increased by 4% when friends’ smoking increased by 1 unit(95% CI: 1.02∼1.05). 6. Smoking decreased 85.0% when the duration of the discontinuation of studies was less than 1 year compared to more than 1 year(95% CI: 0.03∼0.71). Smoking decreased 15% when the self-control ability increased by 1 unit(95% CI: 0.78∼0.93). Smoking decreased 7% when the parents attachment increased by 1 unit. In contrast smoking increased by 4% when the friends’ smoking increased by 1 unit(95% CI: 1.02∼1.05). In planning youth smoking prevention programs outside their school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uration of the discontinuation of their studies, their self control, their parents' attachment to them, and their peers' smoking habi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theoretical base for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out-of-school adolescents by investigating the smoking behavior related factors on individual,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rough an ecological model. ;본 연구는 McLeroy 등(1988)의 생태학적 모형을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개인 간, 지역사회 요인을 분석하여, 학교 밖 청소년 흡연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내의 J도 11개 청소년 상담 복지 센터를 방문한 만 13-18세의 학교 밖 청소년 297명을 편의 추출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 실태를 분석하였다. 2020년 2월 15일부터 3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한 후, 기술통계, χ2 검정, 상관 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흡연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모형 1은 일반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모형 2는 개인 요인을 추가로 투입하였으며 모형 3은 개인 간 요인을 추가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형 4는 일반적 특성, 개인 요인, 개인 간 요인, 지역사회 요인을 모두 투입하여 최종 모형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교 밖 청소년의 연령이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더 어린 것으로 나타났다(t=-6.86, p<.001). 또한, 학업중단 시기가 빠른 경우(χ2 =8.73, p=.003), 학업중단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χ2=37.53, p<.001), 학업중단 원인 중 가정 경제적 형편이 나쁜 경우(χ2 =10.66, p=.001), 학교 밖 친구들과 교제를 하는 경우(χ2 =23.37, p<.001), 부모님과의 갈등이 있는 경우(χ2 =14.98 p<.001), 성적이 낮은 경우(χ2 =29.66 p<.001), 평균 용돈이 적은 경우(χ2 =21.93 p<.001) 흡연자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자기통제력은 비흡연군이 흡연보다 높았다(t=-16.08, p<.001). 개인간 요인의 부모애착이 흡연군보다 비흡연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12.73, p<.001). 개인간 요인의 사회관계망을 보면 비흡연군에 비해 흡연군에서 높게 나타난 요인은 친구의 비중(t=4.41, p<.001), 평균 연락빈도(t=3.20, p=.002), 사회적 지지 빈도(t=2.50, p=.013), 흡연지지(t=7.90, p<.001), 유대관계의 질(t=3.09, p=.002), 사회관계망의 흡연자(t=20.38, p<.001), 친구흡연(t=23.06, p<.001), 사회관계망 구성원의 흡연침투 정도(t=4.22, p<.001)이었다. 반면에 흡연군에 비해 비흡연군에서 높게 나타난 변인은 사회적 지지 평균(t=-2.63, p=.009), 금연행위 지지(t=-5.49, p<.001)이었다. 3. 학교 밖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을 투입하여 구축한 모형 1을 보면, 연령은 높을수록 흡연행위 가능성이 46% 감소(95% CI: 0.43∼0.69), 학업중단 기간은 1년 미만에 비하여 1년 이상인 경우 흡연행위 가능성이 8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5% CI: 0.06∼0.34). 성적은 상인 경우에 비하여 하인 경우가 흡연행위 가능성이 3.77배 증가하였다(95% CI: 2.15∼6.59). 4. 개인 요인인 자기통제력을 추가 투입시켜 구축한 모형 2에서 자기통제력이 1단위 높아질수록 흡연행위가 2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5% CI: 0.73∼0.82). 5. 개인 간 요인인 부모애착과 사회관계망을 추가 투입시켜 구축한 모형3을 보면, 부모애착은 1단위 증가할 때 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95% CI: 0.86∼0.99), 친구흡연이 1단위 증가할 때 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5% CI: 1.02∼1.05). 6. 일반적 특성, 개인 요인, 개인 간 요인, 지역사회 요인으로 구축한 최종 모형4를 보면 흡연행위는 학업중단 기간은 1년 미만에 비하여 1년 이상인 경우 85% 흡연행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95% CI: 0.03∼0.71). 자기통제력은 1단위 증가할 때 흡연행위 가능성이 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5% CI: 0.78∼0.93). 그리고 부모애착은 1단위 증가할 때 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95% CI: 0.86∼1.00), 친구흡연이 1단위 증가할 때 흡연행위 가능성이 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5% CI: 1.02∼1.05).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 예방 및 금연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학업중단 기간 1년 미만, 자기통제력, 부모애착, 친구흡연을 고려하여 흡연 예방 및 금연프로그램을 기획할 필요성이 있다. 학교 밖 청소년이 학업중단 기간 1년 미만일 때 흡연율이 높았는데, 이 기간에 흡연 예방 및 금연프로그램을 통하여 흡연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하여 흡연율을 낮춰야 한다. 자기통제력과 같은 개인 심리적 특성이 재학생들보다 낮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전반적인 삶에 대한 접근을 통한 금연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부모애착이 학교 밖 청소년 흡연행위에 영향을 주므로, 청소년만이 아닌 부모 대상으로도 흡연 예방 교육을 할 필요성이 있다.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는 흡연 친구가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할 때, 대상자뿐만 아니라 흡연 친구와 같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생이 아닌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행위 영향요인을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여 다차원적으로 관련 요인을 파악하였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행위가 개인간 요인에 초점을 맞춘 흡연 예방 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