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미각형용사 등급별 교육 방안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미각형용사 등급별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Graded Education Method of Taste Adjectives for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uthors
CAO, JIUZI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Taste adjectives, which are universal in any language, are common vocabulary in life. Korean taste adjectives extend the meaning beyond the taste of food to express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state, personality, and abilities. However, the expanded meanings of Korean and Chinese taste adjectives that express the same taste are not completely the same. Therefore, Chinese learners often have difficulty using taste adjectives. In addition, the morphological diversity of Korean taste adjectives is very suitable for teaching the unique linguistic features of Korean. In this regard, this paper focused on preparing the contents of Korean taste adjectives for Chinese learners, and sought a grading education plan for taste adjectives considering learner's learning stage. First, Chapter I reviewed the research on taste adjectiv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studies of taste adjective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described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based on its research needs and objectives Chapter II, which began with a review of the concept of 'Taste adjectives',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in the Korean and Chinese dictionaries and Korean linguistics in both countries to examine the scope and classification of the adjective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a total of 87 vocabularies belonging to the six basic taste categories, including ‘sweet’, ‘sour’, ‘bitter’, ‘salty’, ‘spicy’, and ‘astringent’.Considering the language type and linguistic/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Korean and Chinese taste adjective forms and meanings were compared, and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content and difficulty of vocabulary for Chinese learners. Moreover, for the selection and grading of the taste adjectives for educational purposes, which was one of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study analyzed discussions on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vocabulary and the classification of vocabulary in Korean vocabulary education, and determined the methods and criteria for selecting and grading educational vocabulary applicable to this paper. Chapter III examined how the 87 taste adjectiv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actually cove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list of taste adjectives extracted from Korean education materials, a list of 33 taste adjectives for education was selected. Among the selected educational taste adjectives, by examining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semantic item for a vocabulary with a multiplicity of characteristics, 20 educational expansion meaning items were selected for Chinese learners according to the actual usage rate of the semantic item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meanings of the Chinese taste adjectives. The educational vocabulary and semantic items selected for the step-by-step systematic palate education were graded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ing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ve language of Chinese learners. The 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of the expert finally confirmed the grading results. Chapter IV established education goals for each class for taste adjectives based on the vocabulary education goals for each class that were commonly discus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grading list of the taste adjectives for education obtained in Chapter III, the teaching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the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were presented. This study, which provided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vocabulary education using taste adjectives, is a step-by-step and systematic vocabulary education content, including finding vocabulary for education from selecting educational vocabulary to improving learner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vocabulary and its interpretation skills, and suggested an effective vocabulary training method. Therefore, it has the significance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pecifically targeting Chinese learners have limitations in being applied to learners from other countries. Furthermore,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in a narrow range of taste adjectives, so that more vocabulary could not be examined. In the Korean vocabulary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studies will be conducted continuously to seek step-by-step and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미각형용사는 대부분의 언어 체계에 보편적으로 존재하고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어휘이다. 한국어 미각형용사는 음식의 맛을 표현하는 데서 벗어나 의미 확장을 통해 사람의 심리 상태나 판단을 비유적으로 나타내거나 의미 전이로 활용되어 다른 감각을 표현하기도 한다. 미각형용사가 가진 확장의미의 경우, 각 언어 간 완전한 대응을 이루지 않는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미각형용사가 같은 맛을 표현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미각형용사가 가지고 있는 확장의미는 완전히 같지는 않다. 한국어 미각형용사는 그 형태적 다양성으로 인해 한국어 고유의 특성을 학습하는 데에 매우 적절하나,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는 미각형용사를 학습하고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본고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미각형용사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먼저 Ⅰ장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진 미각형용사에 관한 연구와 국어학 분야에서 미각형용사에 관한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본 연구의 연구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미각형용사’의 개념과 함께 사전과 국어학 선행 연구에서의 미각형용사 범위와 분류 설정을 살펴보고 본고의 연구 대상을 ‘달다’, ‘시다’, ‘쓰다’, ‘짜다’, ‘맵다’, ‘떫다’의 여섯 가지 기본 미각 범주의 어휘 및 복합 미각 범주에 속한 총 87개 어휘소로 한정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 간의 언어유형적·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 내용 선정과 어휘의 난이도를 판단하기 위해 한·중 미각형용사를 형태와 의미 측면에서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또한 교육용 미각형용사의 선정 및 등급화를 위해 어휘 교육에서의 관련 논의를 분석적으로 검토하여 본고에 적용할 수 있는 어휘 선정 및 등급화의 방법과 기준을 정하였다. Ⅲ 장에서는 본고가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87개 미각형용사가 한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 관련 자료에서 추출한 미각형용사 목록의 수정과 보완을 거쳐 33개 교육용 미각형용사를 선정하였다. 중국인 학습자의 미각형용사 의미 교육을 위해 여러 의미를 지닌 어휘소에 대한 의미 항목별 사용 빈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중국어 미각형용사 의미의 대응관계에 따라 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20개 교육용 확장의미 항목을 선정하였다. 이후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미각형용사 교육을 위해 선정한 교육용 미각형용사 어휘소와 의미 항목을 등급화 하였다. 등급화 결과는 전문가의 평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어휘교육론의 등급별 어휘교육 목표를 바탕으로 미각형용사의 등급별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Ⅲ장에서 얻은 교육용 미각형용사의 등급화 목록에 따라 등급별 교육 내용과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어휘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연구로서 미각형용사를 대상으로 중국인 학습자의 모국어 특징을 고려하여 한국어 미각형용사 어휘 체계의 형태와 의미적 특징을 바탕으로 교육용 어휘 선정부터 등급별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어휘 교육 내용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다만 본 연구는 특정 대상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제한적 교육 내용을 다루어 다른 여러 나라의 학습자에게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교육을 위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내용이 다양하게 마련되고 더 나아가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마련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