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ZHANG, TENGYUE-
dc.creatorZHANG, TENGYUE-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0:45Z-
dc.date.available2020-08-03T16:30:4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5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51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46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questions based on literature-related texts in the reading session of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se types of questions in terms of level of difficulty. Also, this study intend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literature-related questions and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 of these questions which could help properly assess comprehension on culture were evaluated as well. In general, the level of difficulty of many questions in TOPIK that are associated with literature texts such as essays and novels were found to be inappropriate.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 questions are set to assess the ability to understand factual information and the reasoning skills, however there are only few questions aiming to test the comprehension of cultural elements from certain literature text. The criteria for the vocabulary level of literature texts and the coverage of cultural elements need to be set clearly, and the goals of these questions in order to assess learners’ specific abilities should be set in detail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e direction of selecting literature texts for the evaluation of cultural literacy in TOPIK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questions for the evaluation of cultural literacy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In Chapter II, in order to analyze the literature-related questions in TOPIK, the significance and current situation of literature-related questions, the criteria of literature evaluation and analysis of literature-related questions were examined. Two criteria were being used to analyze literature-related questions of TOPIK: “Literature Texts’ level of Difficulty Analysis Criteria” and “Literature Text Understanding Evaluation Criteria.” And the difficulty level of literature text concludes ‘vocabulary’ and ‘comprehension of culture’, and the criteria for analysis of questions were set to mainly focus on ‘factual comprehension ability assessment’ and ‘reasoning skills assess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n Chapter III, some finding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difficulty on how much the person is familiar with the literature texts, it is found that learners may still find it hard to comprehend the meaning of the text while reading due to cultural factors, even if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vocabulary. In other words, not only vocabulary comprehension skills but also cultural understanding abilities are required in the course of reading literature texts. Secondly, not all literature texts involve Korean cultural ele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whether the learner's ability to comprehend literature texts can be fairly assessed. Thirdly,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while the questions on testing one’s factual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and comprehension of a person’s feeling are the most essential ones, the number of questions related to literature seemed to be just few. In addition, although the questions related to culture understanding required reasoning skills on cultural elements, it is hard to conclude in a way that these questions were attached with an objective to evaluate the level of a learner’s comprehension of the culture. Thus, systematic questions which can effectively evaluate advanced learners’cultural understanding abilities are needed. In Chapter IV, some methods to improve and develop the literature-related questions in TOPIK were proposed. First of all, in order to fulfill the evaluation of learners’ level of cultural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f selecting literature texts what are suitable was suggested. This study also intended to justify the significance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types of assessment questions, while searching for ways to improve the existing questions and alternative development paths for the evaluation questions. In this way, ideally the role of literature-related evaluation of TOPIK will be enhanced and its development will be explored. 【Key Words】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Literature Text, Culture, Assessment, Exam Questions ;본 연구는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문항 가운데 문학 텍스트를 지문으로 하여 개발된 문항들을 대상으로 유형별 특성과 수준의 적절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문학 관련 문항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문화 관련 이해 능력 평가 문항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국어능력시험에서 수필이나 소설과 같은 문학 텍스트를 지문으로 하여 출제되는 문항들의 경우에 지문의 난이도나 문화 요소 포함 수준에서 다소 적절하지 못한 점들이 발견된다. 또한 문항의 경우에도 사실적 정보에 대한 이해 능력 평가와 인물에 대한 추론적 이해 능력의 평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문학 텍스트의 문화 요소를 본격적으로 묻는 문화 이해 능력 평가 문항은 그 수가 매우 적은 형편이다. 지문으로 선정하는 문학 텍스트의 어휘 수준이나 문화 요소의 포함 정도 등에 대한 기준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고, 평가 문항 또한 학습자의 어떤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문항인지 평가의 목표와 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국어능력시험의 문화 이해 능력 평가를 위한 문학 텍스트 선정 방향과 문화 관련 이해 능력 평가를 위한 문항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의 문학 관련 문항을 분석하기 위해 문학 관련 문항의 의의와 현황, 문학에 관한 평가 기준, 문학 관련 문항 분석 기준을 살펴보았다.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중 문학 관련 문항들을 분석할 때 사용할 분석 기준으로는 크게 ‘문학 텍스트 난이도 분석 기준’과 ‘문학 텍스트 이해 능력 평가 문항 분석 기준’의 두 기준을 설정하였다. 문학 텍스트의 난이도는 다시 ‘어휘 난이도’와 ‘문화 관련 체감 난이도’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평가 문항 분석 기준은 ‘사실적 이해 능력 평가’와 ‘추론적 이해 능력 평가’에 중점을 두고 분석을 할 수 있도록 기준을 설정하였다. Ⅲ장의 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 텍스트의 체감 난이도를 분석한 결과, 어휘 차원에서 이해가 용이하더라도 문화 요소 때문에 학습자가 읽기 과정에서 텍스트를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이 존재한다. 즉, 문학 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어휘 이해 능력뿐만 아니라 문화적 이해 능력까지도 필요한 것이다. 둘째, 평가에 동원된 문학 텍스트들이 모두 한국의 문화 요소를 내포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문화 요소가 없는 문학 텍스트로 문학 텍스트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 능력을 타당성 있게 평가할 수 있을지 재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문학 관련 문항은 정보의 사실적 이해 평가 문항과 인물 심정의 추론적 이해 평가 문항은 거의 필수적인 수준으로 나타나는 상황에서, 문화 특성에 대한 추론적 이해 능력 평가 문항은 매우 적게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이해 관련 문항들은 문화 요소에 대한 추론적 이해를 요구하기는 했지만, 이는 문화 요소에 대한 추론적 이해를 통해 학습자의 문화적 이해 수준을 평가한다는 본격적인 평가 목적을 가지고 출제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고급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문화 이해 능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의도된 체계적인 평가 문항이 필요한 상황이다. Ⅳ장에서는 향후 한국어능력시험의 문학 관련 문항 개발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중심으로 개선 방안을 탐구하였다. 우선 학습자의 문화적 이해 수준에 대한 본격적인 평가를 실현하기 위해 등급 수준에 맞는 문학 텍스트 선정 방향과 종합적인 읽기가 가능한 문학 텍스트 선정 방향을 제시했다. 그리고 평가 문항 유형 재구성의 의의를 확인하고 기존 평가 문항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 대안이 되는 평가 문항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방향의 연구들이 활성화됨에 따라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문학 관련 평가의 역할을 제고하고 발전을 모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주요어> 한국어능력시험, 문학 텍스트, 문화, 평가, 문항-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5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3 Ⅱ. 한국어능력시험의 문학 관련 문항 분석의 전제 17 A.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문학 관련 문항의 의의와 현황 17 1.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문학 관련 평가 문항의 의의 19 가. 수준 높은 언어 능력 측정 19 나. 문화적 요소에 대한 추론적 이해 능력 측정 22 2.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문학에 관한 평가 기준 25 가. 읽기 영역에서 문학에 관한 평가 기준 25 나. 대규모 평가의 제한점을 반영한 평가 문항 구성 28 3.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문학 관련 문항 출제 현황 29 B.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문학 관련 문항 분석 기준 32 1. 문학 텍스트 난이도 분석 기준 32 가. 어휘 난이도 분석 기준 33 나. 문화 관련 체감 난이도 분석 기준 38 2. 문학 텍스트에 대한 이해 능력 평가 문항 분석 기준 46 Ⅲ.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문학 텍스트 관련 평가 문항 분석 53 A. 문학 텍스트의 어휘 난이도 분석 53 B. 문학 텍스트의 문화적 특성 분석 57 C. 문학 텍스트 관련 문항의 체감 난이도 분석 63 1. 회차 내 문항들의 체감 난이도 양상 분석 66 2. 회차 간 동종 문항들의 체감 난이도 양상 분석 68 D. 문학 텍스트 관련 문항의 이해 능력 평가 특성 분석 70 1. 정보 파악을 통한 사실적 이해 능력 평가 72 2. 인물 심정에 대한 추론적 이해 능력 평가 76 3. 문화 특성에 대한 추론적 이해 능력 평가 79 Ⅳ.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문학 관련 문항 개선 방안 탐구 83 A. 문화 이해 능력 평가를 위한 문학 텍스트 선정 방향 84 1. 등급 수준에 맞는 문학 텍스트 선정 90 2. 종합적인 읽기가 가능한 문학 텍스트 선정 92 B. 문학 텍스트에 대한 이해 능력 평가를 위한 문항 유형 개발 96 1. 평가 문항 유형별 특성과 고려 사항 97 가. 문학 텍스트에 대한 사실적 이해 평가의 특수성 고려 98 나. 문화 관련 추론적 이해 능력 평가의 특수성 고려 99 2. 문화 이해 능력 평가를 위한 문항 개발의 실제 102 가. 평가 문항의 개선 방안 103 나. 신규 평가 문항의 개발 105 Ⅴ. 결론 108 참고문헌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60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한국어능력시험의 문학 관련 문항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텍스트의 난이도 및 문항의 이해 능력 평가 특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Related Questions in TOPIK with a Main Focus on th Difficulty Level of Test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Questions-
dc.creator.othername장등월-
dc.format.pagevii, 13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