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희-
dc.contributor.authorAI, XIAOLI-
dc.creatorAI, XIAOLI-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0:44Z-
dc.date.available2020-08-03T16:30:44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3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31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45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 서울 및 대구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의 면담 조사를 통해 실제 호칭 사용의 특징과 문제점을 찾아내고, 결혼이민자 대상의 교재를 분석하여 호칭어 교육의 문제점 및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2019년 8월 결혼이민 입국자 통계월보에 따르면 중국인 결혼이민자가 5400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 그리고 정민주(2017)에서는 다문화 가정에서 결혼이민자가 가족들과 직면하는 갈등 유형은 언어적 상호작용 속에서 표면화된다고 지적하였다. 문화적 배경이 달라 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생활 전반의 갈등 및 차이가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호칭어는 두 사람의 관계를 반영하는 장치이며 말을 시작하는 표지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 가족을 호칭할 때 ‘님’이나 ‘씨’ 등 존경의 의미를 가지는 접미사를 사용하기도 하며, 화자의 성별에 따라 사용하는 호칭어가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한국어 친족 호칭어가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매우 어렵게 인식된다. 따라서 체계적인 호칭어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중 호칭어 비교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들이 사회언어학 관점에서 양국의 호칭어 사용과 사회적 요인의 관계를 다루었지만 단순하게 기술만 하고 그 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대화문을 활용하여 분석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리고 호칭어 교육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들이 양적 연구인 설문 조사를 통해 대다수의 결혼이민자가 가족들에게 사용하는 호칭어와 가족들에게 불리는 호칭어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호칭어에 대한 질적 연구가 아직 활발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담화 분석을 활용하여 한중 호칭어를 비교하고 면담 조사를 통해서 설문 조사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 찾을 수 없는 부분을 보완하였다. 이에 결혼이민자의 심리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호칭어 사용 문제와 어려움을 도출하여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익섭(1995)에서는 호칭어와 경어법이 함께 사람들의 사회적 행위를 가장 잘 보여 주는 의사소통 범주 중의 하나라고 하였다. 량홍(2014)은 호칭어와 청자대우법은 대화참여자 서로의 사회적 관계를 명시해주는 것으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호칭어의 사용을 검토함에 있어서 청자대우법을 함께 다룰 필요가 있다. 결혼이민자가 호칭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어떤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먼저, 한중 호칭어를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호칭어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공통점에 있어서 가족 간 손윗사람이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 이름으로 직접 부르는 것과 같은 호칭을 여러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차이점에 있어서 첫째, 한국에서는 시가 가족들을 부를 때 남편과 사용하는 호칭어가 다르고 손위인 시가 가족들에게 존대법을 사용해야 한다. 둘째, 한국에서는 호칭 대상이 결혼했느냐 안 했느냐에 따라 사용하는 호칭어가 다르다. 셋째, 화자의 성별에 따라 같은 호칭 대상을 부르는 말도 다르다. Ⅲ장에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결혼이민자의 호칭어 사용 양상과 난점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한 다음에 10명 대상을 뽑아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부부 사이, 시부모와 며느리 사이, 남편의 동기들과의 사이에서 사용하는 호칭과 존댓말에 대해서 면담하였고 결혼이민자의 호칭 사용 특징과 문제점을 밝혔다. 결혼이민자가 ‘새언니’, ‘여보’, ‘애’ 등 호칭어에 대한 오해가 있고 가족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거리감을 해소할 수 있는 호칭어 사용 전략을 수행하고 있으며, 가족과의 나이와 항렬 불일치 해소 전략을 잘 수행하지 못했다. 또한, 감정에 따라 남편의 체면을 위협할 수 있는 ‘야’ 호칭어를 사용하고, 혈연을 유대로 가족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아이 매개형 호칭어를 사용하고 싶지 않다다는 반응을 알아냈다. 그리고 호칭어 사용의 난점은 남편 동기들에 대한 시가 호칭어의 인지도의 부족, 계촌법(計寸法)과 경어법에 대한 어려움, 현실 호칭어 사용이 드라마에 나타난 호칭어의 불일치하다는 점에 기인한 것임을 알아냈다. 그 다음으로 Ⅳ장에서 결혼이민자 대상의 교재를 분석하여 존재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습 목표 명세화, 단계별로 친족 호칭 어휘 목록 설정, 과제 활동 다양화, 대화 자료의 재설정 네 가지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면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남편과 시부모에 대한 호칭어의 교육 방안과 남편의 동기들에 대한 호칭어의 교육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혼이민자가 호칭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말하기 연습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actual use of titles by Chinese marriage immigrants through interview survey and analyze the textbooks for marriage immigrants to identify and supplement problems in the education of the appellation and to establish customized methods for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suffixes with respect, such as “님(nim)” or “씨(xi),” are sometimes used to refer to family members, and a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speaker. It is perceived as very difficult for Korean learners because Korean relatives are more complex and diverse than Chinese. Therefore, systematic appellation education is necessary. Besides,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studies on the education of the appellation are mostly studies dealing with the extended use of the kinship appellation for Chinese learners and neglects the general use of the appellation for marriage immigrants. There are more and more Chinese who came to Korea for marriage. According to the August 2019 Statistical Monthly of Marriage Immigrants, 5,400 Chinese immigrants topped the list. Also, Jung Min-ju (2017) pointed out that the type of conflict marriage immigrants face with their families in multicultural families surface in verbal interactions. Because each other's thoughts and views are different, uncomfortable and negative reactions are evident in verbal interactions. Lee Ik-seop (1995) says that the appellation and the honorific method together are one of the communication categories that best show people's social behavior. Recently, the use of appellation has changed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class and gender, causing misunderstandings and conflicts in Korean society. As a foreigner, I think it is necessary to teach marriage immigrants exactly how to use the term "general" to adapt to life in Korea.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Chinese marriage immigrants may have in using appellation, we first compared the Korean-Chinese appellation to find out what common and differences the two countries have. In common, there is something that can be used by many people, such as a family relative's superiors calling a person by his or her name. In terms of difference, first of all, in Korea, the title used by the city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husband when calling the family, and the honorific law should be used for the elderly family. Second, in Korea, the appellation used depends on whether the person is married or not. Third,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speaker, the words that call the same subject differ. Chapter III designed the questionnai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term used between husband and wife, between parents-in-law and daughter-in-law, and between husband's colleagues?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you have experienced in using the title?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largely in these two types. After the survey, 10 people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They interviewed couples, parents-in-law and daughters-in-law, and husband-in-law's siblings, and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using the titles. Marriage immigrants have misconceptions about appellation such as "new sister," "honey," and "love," and are carrying out strategies to use appellation that can resolve distance to maintain their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and fail to carry out strategies to resolve age and antagonism discrepancies with family members. It also has features such as using a 'yah' appellation that can threaten the face of a husband depending on his feelings, and not wanting to use a child-mediated appellation to maintain a family relationship through ties. And the difficulty of using the term is the lack of recognition of the term "poem" for the husband's classmates, the law of the Gyechon, which calculates the number of people in Korea and uses it for family members, and the inconsistency of the term "reality" in the drama. Next, the textbook for marriage immigrants was analyzed in Chapter IV to identify existing problems and to suggest four improvement directions for learning goal specification, relative appellation vocabulary listings by stages, control activities diversification, and reset of conversation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survey, the education plan for the husband and in-laws and the education plan for the husband's contemporaries were derived, focusing on the beginner learners. Education contents were designed focusing on speaking practice activities so that marriage immigrants can actively use appell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연구 4 1. 한중 친족 호칭어의 비교에 관한 연구 4 2. 친족 호칭어의 교육에 관한 연구 5 C. 연구방법 및 절차 8 Ⅱ. 이론적 배경 10 A. 호칭어의 개념 및 유형 10 1. 호칭어의 개념 10 2. 호칭어의 유형 11 B. 호칭어의 선택 요인 및 사용 전략 14 1. 호칭어의 선택 요인 14 2. 호칭어의 사용 전략 17 C. 한중 친족 호칭어의 비교 21 1. 친족 호칭어의 분류 21 2. 관계에 따른 한중 친족 호칭어의 비교 25 3. 한중 친족 호칭어의 공통점과 차이점 35 Ⅲ. 중국인 결혼이민자의 호칭어 사용의 특징과 문제점 조사 38 A. 연구 절차 및 내용 38 1. 연구 절차 38 2. 연구 대상 및 내용 39 B. 친족 호칭어 사용에 대한 설문 조사 42 1. 설문의 주요 질문 42 2. 설문 결과 및 분석 43 C. 친족 호칭어 사용에 대한 면담 조사 52 1. 심층 면담의 개요 52 2. 면담의 주요 질문 53 3. 면담 결과 및 분석 55 Ⅳ. 결혼이민자 대상의 친족 호칭어 교육의 실태 및 개선 방향 77 A. 결혼이민자 대상의 교재 분석 77 1. 교재 선정 및 분석 기준 77 2. 친족 호칭어 교육 내용의 분석 79 3. 친족 호칭어 교육의 문제점 93 B. 친족 호칭어 교육의 개선 방향 95 1. 학습 목표 명세화 95 2. 단계별로 친족 호칭어 목록 설정 96 3. 과제 활동의 다양화 97 4. 대화 자료의 재설정 98 Ⅴ. 중국인 결혼이민자 대상의 친족 호칭어 교육 방안 100 A. 결혼이민자 대상의 친족 호칭어 교육 방안의 설계 100 1. 교육 목표 설정 100 2. 교육 내용 설정 102 B. 중국인 결혼이민자 대상의 친족 호칭어 교육 방안 106 1. 남편과 시부모에 대한 호칭어 교육 방안 106 2. 남편의 동기들에 대한 호칭어 교육 방안 114 Ⅵ. 결론 122 참고문헌 125 부록 132 ABSTRACT 1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674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국인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친족 호칭어 교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ducation of Relative’s Appellation in Korean for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c.format.pageviii, 13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