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안정훈 | - |
dc.contributor.author | 변수정 | - |
dc.creator | 변수정 | - |
dc.date.accessioned | 2020-08-03T16:30:43Z | - |
dc.date.available | 2020-08-03T16:30:43Z | - |
dc.date.issued | 2020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168445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445 | en_US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450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provid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symptoms of depression patients through Systematic Review and based on this. We want to conduct careful consideration of effective programs through age analysis by type of art therapy. The search engine used RISS,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DBpedia. This study, among the first works of literature publish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from 2000 to May 2020, conducted studies tha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art therapy program for depressed patients in Korea. It i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degree of effectiveness by integrating it into a systematic review method, which is a core method. In this study, 1,931 domestic academic papers of art therapy targeted at patients with depression were collected. Excluding duplicates, reviewing title abstracts, and reviewing the original text, the number of the first selected national academic research literature was 26. The 26 papers were single study-15 and independent variable study-11 wi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data analysis method of primary studies used independent sample, response sample and effect size statistical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art therap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difference in symptom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depress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26 volumes of literature, 9 out of 14 single studies, excluding Kim Sun-myung (2014), who had no standard deviation, and all 11 of the 11 independent variable studies we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art therap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20.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by type was analyzed for which art therapy was effective for patients with depression. However, since the 11th par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group was a group art therapy, it was not analyzed separatel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single group, which divided the selected literature into four types, nine out of 10 group art treatments, one out of three art treatments, one collage, and one HTP-picture test were found to be effective. Because the independent variables, Part 11 and Part 10, are collective art therapy studies, it has been found that it is somewhat unreasonable to discuss which art therapy was more effective for depression, so various types of treatment are neede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7-19 years old), adults (20 to 64 years old), and old age (65 years old or older), original research and independent variable group research showed that art therapy had significant effects regardless of age group. As a result, art therapy, regardless of the type of art therapy, is effective in patients with depression in a single study and in independent variable group study. However, in order to analyze which art therapy among various treatment techniques was more effective for patients with depression, it seems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effect of art therapy with the results of individual studies, and it is required that a sufficient number of samples should be secured. By age, art therapy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in all age groups of depression patients in a single study and independent variable group study. However, it seems that research methods need to be added as a method of various programs of art therapy.;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을 통해 미술치료가 우울증 환자의 증상 개선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의 종류별과 연령별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종합적인 고찰을 하고자한다. 검색엔진은 Riss, 국회도서관, Dbpia를 사용하였다. 2000년부터 2020년 5월까지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목적으로 출간된 1차 문헌들에서 국내 우울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들을 근거중심 의학의 핵심적 방법인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으로 통합하여 효과의 정도를 종합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우울증 환자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의 국내학술논문 1,931편을 수집하였으며, 중복배제, 제목⦁초록검토, 원문을 검토 후 최종 선정된 일차 선행 국내학술연구 문헌의 수는 26편이다. 26편의 논문에서 단일연구-15편, 실험군과 통제군이 있는 독립변인연구-11편으로 일차연구들의 자료분석방법은 독립표본, 대응표본, 효과크기 통계방법을 사용 하였다. 연구결과, 미술치료는 우울증 환자의 증상 개선에 차이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26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표준편차가 없는 김선명(2014)의 문헌은 제외한 단일연구 14편 중 9편이, 독립변인연구 11편 중 미술치료를 받은 실험군에서 11편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20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미술치료의 종류별 효과성에 대해 어떤 미술치료가 우울증 환자에게 효과적 인지 분석 하였다. 단 독립변인군의 11편은 집단미술치료여서 따로 분석하지 않았다. 최종 선정된 문헌에서 4종류별로 나누어진 단일군의 연구 분석 결과로는 집단미술치료 10편 중 9편, 미술치료는 3편중 1편, 콜라주 1편, HTP-그림검사 1편의 분석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 되었다. 독립변인의 11편과 단일연구 10편이 집단미술치료여서 어떤 미술치료가 우울증에 더 효과적이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다양한 종류별 치료가 필요하다. 연령별구분으로 나눈 아동⦁청소년기(7~19세), 성인기(20~64세), 노년기(65세 이상)에게서 단일연구, 독립변인군 연구 분석 결과 연령층에 상관없이 미술치료가 효과크가 유의한 값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단일연구와 독립변인군 연구에서 미술치료 종류에 상관없이 미술치료는 우울증 환자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다양한 치료 기법 중 어떠한 미술치료가 좀 더 우울증 환자에게 효과적이었는지에 대한 분석을 하기에는 개별 연구들의 결과만으로 미술치료의 효과를 확신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여져 충분한 표본수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요구된다. 연령별에서 단일연구와 독립변인군 연구에서 미술치료는 우울증 환자의 모든 연령층에게서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나, 미술치료의 다양한 프로그램의 방법으로 연구방법이 추가 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선행연구 고찰 8 A. 우울증 8 B. 미술치료 10 Ⅲ. 연구방법 12 A. 문헌검색전략 12 B. 문헌선정기준 14 C. PICOTS-SD 17 D. 분석방법 18 Ⅳ. 연구결과 19 A. 문헌선정 과정 및 선정 결과 19 B. 미술치료에 대한 우울증 분석 21 1. 미술치료의 우울증 증상 호전에 대한 분석 21 2. 미술치료 종류에 따른 효과분석 25 3. 연령대별 미술치료의 효과 30 Ⅴ. 논의 36 Ⅵ. 결론 및 제언 40 참고문헌 42 부록1. 최종선정된문헌목록 45 부록2. 문헌 배제사유 48 ABSTRACT 70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805429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 |
dc.subject.ddc | 362 | - |
dc.title | 미술치료가 국내 우울증 환자의 증상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문헌고찰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The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Art Treatment on the Improvement of Symptoms of Depression Patients in Korea | - |
dc.creator.othername | Byoun Su Jung | - |
dc.format.page | v, 72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임상보건융합대학원 보건정책학전공 | - |
dc.date.awarded | 2020. 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