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7 Download: 0

재한 몽골 이주노동자의 효과적인 귀환을 위한 재통합정책의 필요성

Title
재한 몽골 이주노동자의 효과적인 귀환을 위한 재통합정책의 필요성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cessity of the Reintegration of Returning Mongolian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Authors
BATTOGTOKH, URANGOO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대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재통합정책을 성공적으로 실행 중인 국가인 필리핀의 귀국지 원프로그램 사례와 정부 주체 아래 재통합 활동 지도 및 상담을 위한 재통합 센 터를 분석하여 몽골에 적용하고자 함에 있다. 전 세계 이주자의 수는 현재 10억 명에 이르고 있다. 이는 지구상에 살고 있는 사람의 7명 중 1명이 이주자라는 것을 뜻한다. 그 중 아시아 지역 이주자는 2013년도 기준으로 7천 1백만 명이다. 대부분의 이주자들은 더 나은 경제적 기 회와 삶을 위해 모국을 떠나 다른 국가로 향한다. 이주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 생하지만 대부분 이주자들은 더 높은 임금과 주거환경, 또는 가족과의 결합 등으 로 인한 삶의 질 향상과 보다 행복한 삶을 위해 이동하는 것이다. 특히, 개발도상 국인 몽골에서 선진국인 한국으로의 이주 형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한 국은 2007년 고용허가제를 통해서 외국인력을 유입하고 있다. 하지만 이주노동자 는 정해진 계약 기간이 만료하면 다시 모국으로 귀국하고, 사정이 여의치 않으면 계약 기간이 만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남아 불법체류자로 삶을 영위하고 있다. 이들이 불법체류자로 남기 원하는 이유는 모국에서의 빈자리로 인해 발생할, 커다란 변화를 맞을 준비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모국으로 돌아왔을 때 느끼 는 고립된 감정, 외로움, 근심, 좌절을 견디지 못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들이 모국에서 자신들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적절한 수단을 제공해 주는 것과 그들 의 자립을 위한 교육과 취업을 목표로 하는 것이 재통합정책이다. 한편, 전 세계 국제이주기구 사무소는 현지 방문, 귀환자 면담, 사례별 진행사 항 관리 등으로 귀환자들의 재통합 필요를 여러 방면으로 지원해왔다. 더불어 지원 프로그램으로 인해 귀환이주노동자들의 재통합을 위한 실질적 지원이 수행되 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필리핀의 사례는 귀환 이주노동자들의 취업 지원 및 정착이라는 경제적 재통합을 목표로 프로그램이 진행될 뿐만 아니라 귀환 이주노동자들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의 현실에 제대로 반영되어 있 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발적 귀환 및 재통합 프로그램의 도 움으로 귀환하는 이주노동자들과 지역사회 모두가 재통합 지원의 혜택을 받는다 는 것이다. 또한 자발적 귀환 및 재통합 프로그램을 통한 소규모 창업이 귀환자들 과 그 가족들에게 소득원이 되고 있음이 분명했고, 이들은 교육과정을 통해 습득한 기술로 더 많은 취업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재통합 정책이 귀환 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 사례에서 살펴본 결과, 무엇보다 몽골은 귀환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관리가 미흡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몽골은 민주주의 국가로서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고용창출 한계 및 낮은 임금 수준으로 인해 인력을 계속해서 송 출하는 국가로 관련법이나 정책이 인력 송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심지어 몽골 정부는 한국으로 입국 전, 교육과 정책 프로그램이 없고 귀환이주노동자에 대한 관리가 소홀하다. 나아가 한국에서 몽골 노동자들의 현실을 잘 모르고 현실을 제 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필리핀의 사례를 토대로 몽골 귀환 이주노동자들의 인적 자본이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외 몽골 정부 차원에서 창업을 하고자 하는 귀환 이주노동자에게 창업할 분야의 정보 및 지식, 기술 등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할 필요가 있으며, 귀환 후 바로 경제적 활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국 내에서 준비할 프로그램도 요구된다. 본 연구는 몽골 이주노동자들의 귀환을 위한 재통합 프로그램 개발의 주요 정 보 수집 첫 단계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필리핀 재통합 정 책 사례를 바탕으로 보편화한 연구이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의 사례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In the worldwide, The number of immigrants is now 1 billion. This means that 1 in 7 people on Earth are immigrants. Among them, as of 2013, there were 71 million immigrants. Most immigrants leave their home countries and move to other countries for better economic opportunities and lives. Of course, immigration is caused by a variety of factors, but most immigrants move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Like higher wages and living conditions, or to join their families, and to live a happier life. In particular, the form of immigration from developing countries (for example Mongolia) to developed countries (for example Korea) is increasing. And Korea is introducing foreign workers through the 2007 employment permit system. However, immigrant workers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when their contract period expires or if the circumstances are unsuccessful, So, They remain in Korea as illegal immigrants even though the contract period has expired. The reason they want to remain as illegal is that they are not ready to face the big changes that they will have to face in relation to their employment in their home countries. When they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they cannot bear the isolated feelings, loneliness, anxiety, and frustration. In this context, reintegration policy is aimed at providing adequate means for them to live in home countries and improve their education and employment for independenc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return to Korea support program. Philippines has successfully implemented the reintegration policy. So, Analyzing Philippines's case and applying for the reintegration centers as guidance is counseling on reintegration activities under the government. Meanwhile, offices of international immigration organizations around the world have been supporting in many ways for the need of the reintegration of returnees through on-site visits, returnee interviews, and case-by-case progres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 program or practical support for the reintegration of returning immigrant workers is being carried ou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hilippines, it was found that not only the program aimed at economic reintegration which is to support and settle the employment of returning immigrant workers but also the management of returning immigrant workers reflected in their reality. Most importantly, both immigrant workers and communities returning with the help of voluntary return and reintegration programs benefit from reintegration support. Moreover, it was evident that small entrepreneurship through voluntary return and reintegration programs is a source of income for returnees and their families, and they have more opportunities to work with the skills acquired through the curriculum.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integration policy had a positive effect on returnees.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case study, it was found that Mongolia lacks management for returning immigrant workers. Mongolia is a democratic country, but continues to send out the workforce because of the limit of job creation and low wage levels. The Mongolian government does not have education or policy programs for the immigrants from Mongolia before entering Korea, so the management of returning immigrant workers is neglected. Furthermore, many problems have arisen in Korea because they do not know the reality of Mongolian worker's life and do not properly reflect reality.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maximum utilization of human capital of immigrant workers returning to Mongolia by using the case of the Philippines. Also, it is necessary to open an educational program to help immigrant workers who want to start a business at the Mongolian government level acquire information, knowledge, and skills in the field to start a business and prepare in Korea to start economic activities immediately after returning. A program to do is also required. This study can be the first step in collecting key information on whether a voluntary return and reintegration support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However, because it is a study based on the case of the Philippines' reintegration polic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through case studies on how reintegration is being done in other countries. The link between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ending country needs to be examined in more detai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