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실-
dc.contributor.author김은지-
dc.creator김은지-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0:42Z-
dc.date.available2020-08-03T16:30:42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2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27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43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Blue와 Purple-Blue영역의 지각 차이 따라 지각적 혼동이 발생하는 색상 범위을 알아보고, 해당 영역의 색상을 어떻게 명명하는지 알아 보았다. 이를 위해, 4개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번째로, 저채도 영역에서 색상구분실험을 진행하였다. 두번째로, Blue와 Purple-Blue에 해당하는 5B와 5PB영역에서 채도의 증가에 따라 지각되는 명도의 혼동 범위와 Helmholtz- Kohlrausch 효과가 발생하는 범위를 알아보았다. 세번째로, 5B, 5PB 영역에서 혼동하는 색상과 그 색상 범위를 알아보았으며, 네번째로, 5B, 5PB 영역에서 색상을 어떻게 명명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로, 5B, 5PB, 5P영역에서 색상을 구분하는데 혼동이 있었으며, 특히, 5B와 5PB 영역에서 다른 영역보다 색상을 혼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번째로, 5B영역보다 5PB 영역에서 채도가 증가함에 따라 명도를 과대평가 하는 현상이 잘 나타났으며, 두 영역 모두 저명도, 고채도의 색상에서 H-K효과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세번째로, 색상 구분 실험 결과, 피험자가 Blue와 Purple-Blue영역에서 5B 영역보다 5PB영역에서 색상을 구분하는데 더 많은 혼동이 나타났다. 5B 영역에서 색상을 BG와 N으로 혼동하였고, 5PB 영역에서는 B와 N으로 혼동하였다. 네번째로, 색명명실험에서‘파란색’이라고 웅답한 색상은 총 9개로 5PB영역의 색상이 7개로 가장 많았으며, 중-저명도, 고채도 색상에서 응답이 발생했다.‘하늘색’이라고 응답한 색상은 총 9개이며, 5B에서 5개, 5PB에서 4개이다. 응답 색상은 5B와 5PB영역 모두 중-고명도, 중채도에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남색’이라고 응답한 색상은 총 7개이며, 저명도와 저채도 영역에서 발견되었다. ‘청록색’이라고 응답한 색상은 총 5개이며, 모두 5B영역의 중명도, 중채도의 색상이다. 마지막으로 ‘무채색’으로 응답한 색상은 총 25개로, 5B영역보다 5PB영역에 더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명도는 전 영역(2~9)에 걸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채도는 저채도(1,2)에 대부분 분포하였다. 본 연구는 Blue와 Purple-Blue영역의 지각 차이와 그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을 알아보고, Blue와 Purple-Blue영역에 해당하는 5B와 5PB 영역의 색상들을 어떻게 명명하는지 알아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Blue와 Purple-Blue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looked at the color range in which perceptual confusion occurs according to perceptual characteristics and perceptual differences in the blue and Purple-Blue areas, and how to name the colors of those areas. To that end, four experiments were conducted. First, color classific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low chromaticity area. Secondly, we looked at the confusion range of the perceived lightness and the Helmholtz-Kohlausch effect in the 5B and 5PB areas corresponding to Blue and Purple-Blue. Third, we looked at confusing colors in 5B and 5PB areas and their range of colors, and fourthly, how they were named in 5B and 5PB are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confusion in distinguishing colors in 5B, 5PB and 5P areas, especially in 5B and 5PB areas, which tended to confuse colors with other areas. Secondly, the phenomenon of overestimation of lightness in 5PB area was better than in 5B area, and both areas had the most H-K effects in high lightness and high chromaticity colors. Third, color-coded experiments showed that subjects were more confused in distinguishing colors in the 5PB area than in the 5B area in the Blue area. Color was confused with BG and N in 5B area, and B and N in 5PB area. Fourth, in the color-name experiment, the answer was" blue", with a total of nine colors, with seven colors in the 5PB area, and responses in the middle-to-low-lightness and high chromaticity colors. ‘Sky blue' is a total of nine colors, five from 5B and four from 5PB. The response colors were widely distributed in both 5B and 5PB areas in medium-high lightness and medium chromaticity. A total of seven colors answered ‘navy’ were found in the areas of low lightness and low chromaticity. There are a total of five colors answered 'blue green', all of which are medium lightness and medium chromaticity colors in the 5B area. Finally, there were 25 colors that responded with 'chromatic color' in total, and they were more distributed in 5PB than in 5B. Lightness was widely distributed over all areas (2~9), and chromaticity was mostly distributed in low chromaticity (1,2).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Blue and Purple-Blue areas and how they were named for the 5B and 5PB areas corresponding to the Blue and Purple-Blue areas, and exp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be used as a basis for the Blue and Purple-Blue stud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5 A. Blue와 Purple-Blue 색상 영역의 특성 5 1. Blue 와 Purple-Blue 색상 영역의 지각적 특성 5 2. Helmholtz- Kohlrausch 효과 6 B. Blue 와 Purple-Blue 색상 영역의 한국어 색채 범주 7 1. 색명과 색채 범주 7 2. Blue 와 Purple-Blue 색상 영역의 색명과 색채 범주 11 Ⅲ. 저채도 영역 에서의 색상 구분 실험 14 A. 실험설계 및 분석방법 14 1. 실험설계 14 2. 분석방법 17 B. 실험 결과 및 분석 18 1. 저채도에서의 지각 색상 혼동 범위 18 2. 색상과 응답 색상이 동일한 색상 범위 22 Ⅳ. Blue와 Purple-Blue영역의 채도에 따른 명도 범위 24 A. 실험설계 및 분석방법 24 1. 실험설계 24 2. 분석방법 27 B. 실험 결과 및 분석 29 1. 응답 명도와 원(原)명도 비교 29 2. Helmholtz- Kohlrausch 효과 범위 31 Ⅴ. Blue와 Purple-Blue영역의 색상 구분 및 명명 실험 36 A. 실험설계 및 분석방법 36 1. 실험설계 36 2. 분석방법 39 B. 실험 결과 및 분석 41 1. 색편의 색상 영역과 응답 색상 영역 비교 41 2. 5B와 5PB영역의 색명명 결과 47 Ⅶ. 결론 및 논의 59 참고문헌 62 부록1 저채도영역 색상 구분 실험 설문지 65 부록1-1채도 1 색상 샘플 66 부록 1-2 채도 2 색상 샘플 68 부록2 채도에 따른 명도 범위 실험 설문지 70 부록2-1 채도에 따른 명도 범위 5B 영역 응답 71 부록2-2 채도에 따른 명도 범위 5PB 영역 응답 73 부록3 색상 구분 실험 설문지 75 부록3-1 색명명 실험 설문지 76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160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Blue와 Purple-Blue의 지각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Blue and Purple-Blue-
dc.creator.othernameKim, Eunji-
dc.format.pagei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