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0 Download: 0

장애-비장애 아동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 기반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

Title
장애-비장애 아동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 기반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Music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SEL) for Social Inclusion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uthors
김은애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feasibility of music activity programs based on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hereinafter referred to as “SEL”) to encourage social inclusion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studying together in inclusive classes of general schools. The subjects of the program were set up with 5th or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12 sessions that could be implemented dur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lass. Then,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wo times by a group of teachers experts.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eded in two phases: Literature review and development. First, in the review phase, the components were extracted through the review and analysis of the literature of social inclusion and SEL programs, and the process of selecting music activities was carried out in the music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SEL. After that, the selected components were classified on the dimension of SEL, and the program framework was established by structuring the music activities that could in intervene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ype and form. In the development phase, the components were hierarchical into four phases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expanding environments, and then a total of 12 music activity programs were developed. For organizing activities, the goals of each session were converted into musical behaviors, and the selected music activities from the literature review phase were modified for the musical behaviors. The features of the program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program presents the model of a music activity program that promotes social inclusion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rough enhancement of their social and emotional capacity. The model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study can specifically explain the impact of musical activities on realizing social inclusion. Second, the program is structured by presenting the musical behavior of children with different phases, sessions, and objectives. This presents that music activities can be used to achieve non-musical goals such as social and emotional abilities. Third, the program presented a variety of musical activities and activity materials to the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to participate on an equal footing. Materials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program may assist on the scene of inclusive educ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program could supplement the problems of existing programs, which used to express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ly as objects of sympathy. The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twice by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wo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experience in inclusive education, music therapy or music education research to ensure the feasibility. The assessment contents of the experts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 program’s organization ·operation and suitability with go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lidity verification, the developed program secured high feasibility by receiving 4.4 points in the first verification and 4.7 points in the second verification from two expert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4.3 points in the first verification and 4.8 points in the second verification from the other two experts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Especially, the items that received the highest scores in the two verification processes were the provided materia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is study reflects the needs of the school site that require modified materials for inclusive classes. Also, it suggests that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music activity program developed for inclusive education, the music materials in the program should be presented to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processed by development and validity verification, the developed music activity program based on SEL could promote the social inclusion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 was appropriate to be applied at school sites. The academic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first study ever to apply music activities to SEL for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gether in inclusion classes. Second, rather develop a program for teaching musical subjects, it is a study to develop the music therapy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students' sociality and emotional capacity. Third, this study i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the social inclusion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rough music activities. The music activit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the sociality and emotional capacity for the children at inclusive classes and could be used for the social inclusion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초등학교 통합학급에 배치된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의 사회적 통합을 증진하기 위해 사회정서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지적장애 아동이 포함된 초등 5-6학년 학급을 프로그램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에 실행 가능한 12회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교사전문가 집단에게 2회의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고찰과 개발의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고찰단계에서는 사회적 통합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문헌고찰 및 분석을 통해 구성요소를 추출하였고, 사회정서학습 기반 음악활동 프로그램에서 음악활동을 선정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선정된 구성요소를 사회정서학습의 차원으로 배치한 후, 이를 중재할 수 있는 음악활동을 형태와 종류에 따라 구조화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개발틀을 설정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구성요소를 환경확대법에 따라 네 단계로 위계화 한 후, 총 12회기의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회기별 활동을 구성하고자 각 회기의 목표를 음악적 행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쳤고, 고찰단계에서 선정된 음악활동을 음악적 행동에 부합하도록 수정·보완함으로써 회기별 활동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사회정서적 역량 증진을 통해 장애-비장애 아동간의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는 음악활동 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모형을 통해 음악활동이 사회적 통합을 실현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위계적인 단계와 회기 구성 및 목표에 대한 음악적 행동 제시를 통해 프로그램을 구조화하였다. 이는 음악활동이 사회정서적 능력과 같은 비음악적 목표를 성취를 위해 활용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특징이다. 셋째, 통합학급의 장애·비장애 아동이 동등한 입장에서 참여할 수 있는 음악활동과 다양한 활동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는 장애아동을 배려의 대상으로만 표현하던 기존 장애이해교육의 문제점을 본 프로그램이 보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타당성 확보를 위해 통합교육 경력과 음악치료 및 음악교육연구 경험이 있는 초등특수교사 2명과 일반초등교사 2명에게 두 차례 검증을 받았다. 전문가의 평가내용은 프로그램 편성 및 운영과 내용의 목표 적합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된 5점 척도와 회기별 활동에 대한 의견 서술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타당도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프로그램 편성 및 운영과 목표 적합성 항목에 대해 초등특수교사 전문가 2명에게 1차 검증에서 4.4점, 2차 검증에서 4.7점을 받았고, 일반초등교사 전문가 2명에게는 1차 검증 시 4.3점. 2차 검증시 4.8점을 받아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특히, 두 번의 검증과정에서 가장 높은 배점을 받은 항목은 프로그램 진행에 필요한 자료제시 항목으로, 이는 본 연구가 통합학급을 위해 수정된 활동자료를 필요로 하는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교육을 위해 개발된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내 장애아동의 특수성을 반영한 음악자료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프로그램 개발 및 타당도 검증으로 진행된 연구의 결과, 개발된 사회정서학습 기반 음악활동 프로그램은 장애-비장애 아동의 사회적 통합을 촉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고, 학교현장에서 적용되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의 장애·비장애 아동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정서학습에 음악활동을 적용한 첫 번째 연구이다. 둘째, 본 연구는 음악 교과학습을 위한 프로그램이 아닌 학생들의 사회·정서적 능력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교육적 프로그램 개발 연구이다. 셋째, 음악활동을 통한 장애-비장애 아동의 사회적 통합 촉진의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음악활동 프로그램은 통합학급 아동들의 사회정서적 역량 증진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장애-비장애아동 간의 사회적 통합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